
4월27일 서울 프레스센터 국제회의장에서 원자력 안전 대토론회 ‘후쿠시마 원전사고, 정확한 이해와 대응방안’이 열렸다.
이재환 한국원자력문화재단 이사장은 인사말에서 “후쿠시마 원전 사고의 원인과 현 상황, 전망에 대해 검증되지 않은 정보가 확산되면서 국민에게 막연한 불안감이 퍼지고 있다. 지나치다고 할 수 있는 불안감을 해소하기 위해 국민적 소통의 장을 마련했다”고 이번 토론회의 취지를 밝혔다.
“사고 대응 절차서 준비해야”
‘일본 원전 사고의 정확한 이해와 우리나라의 대응방안’이라는 제목 아래, 토론회 기조 연설자로 한국과학기술원(KAIST) 원자력 및 양자공학과 장순흥 교수가 나섰다. 그의 설명에 따르면 현재 일본에서 운영 중인 원자력발전소는 총 54기이며, 이번 동북부 지진의 진앙지에 가까운 곳은 13기다. 후쿠시마 1발전소의 6기, 2발전소의 4기, 오나가와 발전소의 3기가 모두 지진으로 인해 가동 정지됐다. 원자로가 완전히 정지해도 원자로 안에 남아 있는 핵분열 생성물이 붕괴하는 현상은 계속된다. 이 붕괴열을 제거하기 위해서는 정지 후에도 지속적으로 전원이 공급돼야 한다.
이번 지진에서 문제는 해일이었다. 후쿠시마 원전은 대규모 쓰나미나 해일에 취약하게 설계돼 있던 것으로 드러났다. 해일로 인해 비상 발전기가 침수됐고, 결국 붕괴열 제거에 실패했다. 이것이 4개 원전에서 수소 폭발이 일어난 원인이다. 장 교수는 “도쿄전력이 발표한 사고 관리 로드맵에 따르면 원자로 용기 내외부 냉각 등을 통해 앞으로 6개월에서 9개월이면 원자로가 안정될 것으로 예상한다”고 말했다.
장 교수는 이번 사고에서 한국이 얻을 수 있는 기술적·제도적인 측면의 교훈을 각각 다섯 가지씩 지적했다. 우선 비상 시 전기 공급과 냉각 시스템, 사용 후 핵연료를 보관하는 수조의 안전성을 강화하는 일이 필요하다. 다음으로 수소제거 시스템을 점검하고 보완하는 한편 기존 원전의 안전성을 다시 한 번 확인해야 하고, 신규 원전은 전기나 펌프 없이도 안전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해야 한다는 것이다.
장 교수는 제도적 측면의 교훈이 더 중요하다고 강조했다. 그는 “중대 사고에 대응할 수 있는 절차서를 준비하고 컨트롤타워의 기능을 강화하며, 안전 연구를 매뉴얼에 반영해야 할 것”이라고 말했다. 국제 협력과 안전 문화 확립도 함께 언급했다.
후쿠시마 원전 사태에서 기술적인 측면뿐 아니라, 제도적인 측면에서 교훈을 얻어야 한다는 지적은 타당하다. 사실상 국내 원전은 후쿠시마 원전과 기술적 특성이 다르기 때문이다. 우리 원전은 몇 곳을 제외하고는 ‘가압형’, 후쿠시마 원전은 ‘비등형’ 경수로다. 아주 단순하게 말하면 터빈을 돌아가게 하는 증기를 어떻게 순환시키느냐의 차이다. 한때 가압형이 더 안전하다는 식으로 언론에 보도되는 바람에 ‘우리나라 원전은 일본보다 안전하다’와 ‘아니다, 우리나라에도 비등형 원전이 있으니 위험하다’는 주장이 부딪치기도 했다. 두 방식 모두 나름의 장단점을 지니고 있으므로, 딱 잘라 어느 것이 더 낫다고 주장할 수 없다는 게 전문가들의 의견이다. 단 가압형은 방사능 물질 유출을 막는 벽이 하나 더 있어서, 이 부분에서만큼은 일정 정도의 우위를 보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