교육적 인간상으로서 인촌이 21세기의 우리에게 갖는 의미의 첫 번째 요소는 어찌 보면 유전적으로 갖고 태어나는 인간의 본성과 관련되는 것이다. 기존의 인촌 연구물들이 인촌에 대해 어떻게 표현하고 있는지를 정리해보면 다음 몇 가지 공통점이 보인다.
첫째는 교육자와 관련된 모습으로, ‘옛것을 받아 새것을 만들어낸 존고창신(存古創新)의 교육자’라는 표현을 비롯해, 일본 유학에서 돌아온 직후 백산학교 설립을 주도하던 시기의 모습을 권오기는 ‘청년 교육자’로 표현하고 있다. 이화여대 총장을 지낸 김옥길은 ‘한국 민족의 스승’, 고 김수환 추기경은 ‘수많은 인재를 키워낸 선구적 교육자’라 했으며, 교육역사사회학자 김기석은 ‘우민화(愚民化) 정책에 맞선 원대한 교육가’라고 했다.
둘째는 ‘민족의 거성(巨星)’을 비롯해 대인(大人), 위인(偉人), 영웅(英雄), 거인(巨人), 거목(巨木), 어른 등의 표현이다. 조병옥은 1955년 동아일보에 게재된 추모사에서 인촌을 일러‘민족의 거성’이라고 표현했고, 제4대 대통령 윤보선은 1980년 인촌 서거 25주기 추모사에서 ‘평범한 위인, 범용한 영웅’이라는 표현을 사용했다. 또한 고 김수환 추기경은 ‘모든 사람을 한 품에 포용하는 거인’ ‘아무라도 그 그늘에서 쉴 수 있는 거목’이라고 표현했는데, 그의 문장을 인용해보면 다음과 같다.
“선생은 중앙학교와 고려대학교를 설립·운영했지만 인기 있는 교사나 유명한 학자는 아닙니다. 또 경성방직을 설립한 것은 사실이나 대재벌의 기업가도 아닙니다. 동아일보를 창간했어도 대기자가 아니며, 광복 후 한국민주당의 산파였으나 대정치가라 하기도 어렵습니다. 오히려 덕망 있는 교사나 유명 교수가 인촌이 경영하는 학교에서 많이 나오고 훌륭한 기술자나 산업역군이 인촌 선생의 기업에서 배출되었으며, 일제의 폭압에 대항하고 민중의 참 길잡이가 되는 대기자가 인촌의 신문사에서 육성됐으며, 인촌 선생이 창당한 정당에서 나라의 동량이 될 만한 대정치가가 나왔습니다.”
이렇게 보면 교육적 인간상으로서 인촌에게서 볼 수 있는 면모는 바로 사람들을 포용하는 ‘큰 그릇’이자 ‘어른’의 풍모다. 일제강점기인 1930년대 보성전문을 인수하며 좌파와 우파를 가리지 않고 민족 최고의 지성을 모셔다놓은 사람이 인촌이었고, 해방 정국의 어수선함 속에서도 고려대학교 안에서 자유토론이 보장되도록 권장했던 사람이 인촌이다.
셋째는 그의 인품과 관련된 것으로 인(仁)과 덕(德), 공명정대(公明正大)함은 인촌의 인간됨을 표현하는 중요한 단어들이다. 특히 인촌(仁村)이라는 아호가 고향마을의 이름에서 유래한 것이지만, 이를 아호로 쓰게 되는 과정을 보면 1920년 초 영남의 명인 석재(石齋) 서병오(徐丙五)가 지어주었다는 사실이 주목된다. 여기서 인이란 “청허(淸虛)로써 자수(自守)하고 비약(卑弱)으로써 자지(自持)하는 것”이라 하였다. 맑은 물에는 오히려 물고기가 많이 살지 못한다고 하지만, 인한 품성은 스스로를 맑게 비워 지키고, 스스로 낮추어 보존하는 모습이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그려지는 인촌의 모습은 카리스마적 권위나 공식적 직책에 따른 권한에서 비롯되는 하드파워(hard power)보다, 비전의 공유나 일에 대한 사명감과 열정을 통해 다른 사람들의 신뢰를 끌어내는 비공식적 힘에서 비롯되는 소프트파워(soft power)의 리더에 더 가깝다고 하겠다. ‘맹자’에서 대인이란 “자기 몸을 바르게 함에 남이 바르게 되는 자를 이른다”하였다. 인덕(仁德)으로 수기치인(修己治人)하는 대인(大人)의 모습이야말로, 보수와 진보로 편 가르는 오늘날 한국 사회에서 가장 요구되는 인간상이 아닐까?
가정교육과 좌우명-공(公)과 신의(信義)
교육적 인간상으로서 인촌이 21세기의 우리에게 갖는 의미의 두 번째 요소는 가정교육에 의해 형성된 그의 좌우명 혹은 가훈의 교육적 의미라 할 수 있다. 인촌은 아들이 없던 큰아버지 원파(圓坡) 김기중(金祺中)(이하 원파공)에게 세 살 때에 입양되었다는 점에서 유교적 전통이 강한 가정에서 자랐음을 알 수 있다.
친부인 지산(芝山) 김경중(金暻中)(이하 지산공)과 양부 원파공은 아래윗집에 함께 살며 남다른 형제애를 보였다고 하는데, 특히 양부 원파공이 기거하던 방에는 ‘양입계출(量入計出)’ ‘민부국강(民富國强)’ ‘공정광명(公正光明)’ ‘춘풍화기(春風和氣)’라는 4가지 좌우명이 쓰여 있는 액자가 걸려 있었다. “수입에 맞추어 지출을 헤아리면, 국민이 넉넉하고 나라가 부강해지며, 매사 공정하고 분명하면 봄바람처럼 화기가 넘친다”라는 내용으로, 결국 쓰임새를 수입에 맞추기 위해서는 검소함이 몸에 밸 수밖에 없겠지만 그럼에도 인색하지 않고 덕을 베푸는 것이 공정광명의 가치일 것이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