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1879년 론진이 선보인 크로노그래프
올림픽 타임키핑 역사는 첫 근대 올림픽인 1896년 대회로 거슬러 올라간다. 어떤 나라의 어떤 업체가 1회 올림픽 타임키퍼가 되는 영예를 누렸을까?
스위스 시계 브랜드 론진이 첫 올림픽 타임키핑을 맡았다. 론진의 기술력은 당대 최고였다. 1879년 5분의 1초까지 측정이 가능한 기록기를 최초로 선보였다. 아테네 대회에서 사용한 기록기는 1879년 등장한 것보다 기술적으로 진화한 제품이었다. 시·분·초침이 하나로 놓인 포켓 크로노미터(휴대용 정밀 태엽시계)가 육상 100m 공식 기록을 계측하는 데 사용됐다.
1회 대회 타임키퍼는 론진론진은 오랫동안 타임키핑 분야에서 맹활약했다. 특히 동계올림픽에서 두각을 나타냈다. 1940년 헬싱키, 1952년 오슬로, 1960년 스쿼밸리, 1964년 인스부르크, 1968년 그레노블, 1980년 레이크 플래시드, 1984년 사라예보, 1988년 캘거리, 1992년 알베르빌에서 론진이 기록을 측정했다.
론진은 한국과도 인연이 깊다. 1988년 서울올림픽의 타임키퍼가 론진이다. 2002년 부산아시아경기대회 때는 전문가 40명과 35t의 측정 장비, 30㎞의 케이블을 지원했다.
론진은 하계올림픽으로는 서울올림픽 외에 1972년 뮌헨, 1976년 몬트리올, 1980년 모스크바, 1984년 로스앤젤레스에서 활약했다.

런던 올림픽 공식 타임키퍼는 오메가다.
태그호이어는 1916년 론진을 뛰어넘은 기술을 선보인다. 100분의 1초까지 측정 가능한 회중시계 마이크로그래프를 세계 최초로 출시한 것. 시간을 기록하고 측정하는 장치를 일컫는 ‘크로노그래프’ 분야에서 태그호이어는 당시 세계 최고였다. 1920년에는 1만분의 1초까지 측정 가능한 ‘인디 500’을 세상에 내놓는다. 1920년 안트베르펜, 1924년 파리, 1928년 암스테르담 올림픽 타임키퍼는 당연히 태그호이어의 몫이었다.
정밀 기기 제작에 일가견이 있는 스위스는 공식 타임키퍼 최다 배출국이다. 론진, 태그호이어, 오메가 등이 타임키퍼로 일했다.
육상이나 수영처럼 기록으로 승부를 결정짓는 종목에서 측정은 경기의 알파요 오메가다. 10분의 1초, 100분의 1초 차이로 금메달 주인공이 바뀌므로 타임키퍼가 되려면 100분의 1초의 오차도 허용하지 않는 기술력을 가져야 한다.

오메가의 올림픽 홍보대사 타이슨 게이
황영조 기록 측정한 세이코 일본, 독일 브랜드가 타임키퍼로 활동한 적도 있다. 세이코는 1964년 도쿄 올림픽 타임키퍼가 되고자 각고의 노력을 기울였다. 1962년 ‘경기용 스플릿 세컨드 스톱워치’라는 긴 이름의 장비를 개발해 국제육상경기연맹 인증을 받았다. 세이코는 도쿄 올림픽 때 시계 1274개를 제공했다. 1972년 삿포로 동계올림픽 타임키퍼도 세이코가 맡았다. 세이코가 일본에서 열린 대회에서만 활약한 것은 아니다. 황영조가 마라톤에서 금메달을 땄을 때 기록을 측정한 시계가 세이코다. 1992년 바르셀로나 올림픽 때 세이코는 시계 제작비로만 15억 엔을 사용했으며 운용요원 250명을 자사 부담으로 스페인에 파견했다. 경향신문(1992년 6월 29일자) 보도에 따르면 세이코는 “오메가가 시계 제작비와 운영 요원 경비로 바르셀로나 올림픽조직위원회에 약 46억 원을 요구했으나, 세이코는 모두 자사 부담으로 하겠다고 해서 공식 시계로 지정받았다”고 한다. 세이코는 1994년 릴레함메르 동계올림픽에서도 타임키퍼로 활약했다.
1972년 뮌헨 올림픽 때는 독일 브랜드 융한스가 타임키퍼로 활동했다. 1969년 10월 13일자 동아일보에 실린 “오메가 時計 올림픽 公式 기록용 은퇴”라는 제목의 기사를 읽어보자.

1932년 로스앤젤레스 올림픽 때의 오메가 광고
“지금까지 올림픽 각종 경기의 공식 기록용으로 거의 채용되어온 오메가 시계와 오메가 계기는 다음 뮌헨 올림픽부터 은퇴하게 되었다. 스위스 시계 회사는 지난 멕시코 올림픽 때의 납품이 일백만 달러였으나 그동안 계속 오른 생산 가격 때문에 이제는 입찰경쟁을 할 수 없게 되어 괴로운 표정이다.”
오메가는 뮌헨 올림픽에 시계가 아닌 다른 기술로 참여했다. 1968년 멕시코 올림픽 수영 종목에서 채택된 오메가의 터치패드 기술이 뮌헨 대회에서도 그대로 채택된 것. 선수들이 손으로 패드를 터치하면 자동으로 기록이 측정되는 기술은 당시로서는 획기적인 것이었다.
뮌헨 대회 수영 종목에선 1000분의 1초 단위로 금메달 주인이 결정되는 놀라운 일이 일어났다. 400m 혼영 결승전에서 거너 라슨(스위덴)과 팀 매키(미국)가 4분31초98의 기록으로 ‘동시에’ 골인했다. 1000분의 1초까지 비교해봤더니 매키가 4분31초983, 라슨은 4분31초981로 측정돼 있었다. 라슨이 우승자로 발표됐다. 세계수영연맹은 이후 100분의 1초까지만 기록을 측정하는 것으로 규정을 바꿨다.
종목별 대회에서 사용하는 시계 브랜드는? | 세계육상선수권대회_세이코
올림픽, 월드컵과 함께 세계 3대 스포츠 이벤트로 불리는 세계육상선수권대회의 공식 타임키퍼는 세이코다. 1985년부터 세계육상연맹(IAAF)이 개최하는 모든 대회에서 활약하고 있다. 세이코는 스위스가 장악하다시피 한 첨단 시계산업 분야에서 일본 브랜드의 자존심으로 불리면서 성장해왔다. 지난해 열린 대구세계육상선수권대회에도 50여 명으로 구성된 ‘세이코 타이밍 팀’이 파견됐다. 이 팀은 육상대회 때마다 첨단 계측 장치를 활용해 시간·거리·높이·풍향 등 대회의 모든 계시·계측을 책임진다. 대구 대회 때 세이코는 2000분의 1초까지 측정 가능한 미세분할 비디오 시스템, 필드 성적 표시판, TV용 그래픽을 구현하는 최첨단 PC 등 약 20t 분량의 첨단 장비를 일본에서 대구로 수송해왔다.
세계수영선수권대회_오메가
 수영 출발대에 오메가 로고가 선명하다. 세계수영선수권대회를 후원하는 시계 업체는 오메가다. 수상 종목의 시간 계측 및 데이터 관리에 대한 오랜 경험을 바탕으로 수영을 비롯해 수구, 다이빙, 바다수영 등에서 오메가 시계가 맹활약하고 있다. 100분의 1초가 순위를 가르는 수영 경기에서 사용되는 반자동 타이머와 터치패드는 오메가의 자랑거리다. 스포츠 타임키핑 역사에서 혁신적 발명품이라고 불리는 터치패드는 수영장의 거센 물살에는 영향을 받지 않으면서 선수들이 가하는 3㎏가량의 압력에는 예외 없이 반응한다. 수영 경기의 마지막 순간은 오메가가 개발한 하이스피드 비디오카메라(high-speed video cameras)가 촬영한다. 누구도 계측 결과에 이론을 내놓을 수 없는 이중 장치를 갖춘 것이다. 하이스피드 비디오카메라는 2008년 베이징 올림픽 남자 100m 접영 결승전에서 진가를 발휘했다. 방송 화면상으로는 우승한 마이클 펠프스가 은메달리스트 밀로라드 카비치보다 늦게 들어온 것으로 보였으나 타이머는 펠프스가 100분의 1초 차로 먼저 들어온 것으로 기록했다. 하이스피드 비디오카메라는 타이머와 ‘정확히 똑같은’ 결과를 내놓았다. 오메가의 백업 시스템이 논란의 여지를 없앤 것이다.
FIFA 월드컵_위블로
축구는 시간 계측과는 거리가 있는 스포츠지만 규모와 인기가 올림픽과 견줘 뒤지지 않는다. 월드컵의 공식 후원 시계 브랜드는 스위스 브랜드 위블로(HUBLOT)다. 2010년 남아프리카공화국 월드컵부터 공식 후원을 시작했다. 위블로는 선수 교체 시 사용하는 보드 아랫부분에 HUBLOT라는 브랜드 이름을 넣으면서 홍보 효과를 톡톡히 거두고 있다. 위블로는 유로 2008의 공식 파트너로도 활약했다. 잉글리시 프리미어리그 맨체스터 유나이티드의 공식 스폰서이기도 하다. 전설적인 축구선수 디에고 마라도나(아르헨티나)가 이 브랜드의 홍보대사를 맡고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