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특별기고

환경은 국가경쟁력 핵심 요소

김명자 환경부장관의 ‘지속 가능 발전 세계정상회의’ 참가기

환경은 국가경쟁력 핵심 요소

1/9
  • 전세계는 10년 전 리우 환경회의 이후 자연생태계와 조화를 이루며
  • 지속 가능한 발전을 해야한다는 새로운 패러다임에 눈을 떴다.
  • 그로부터 10년 만에 열린 요하네스버그 지구정상 회의는
  • 구체적으로 분야별 실천계획을 제시했다는 데 의미가 있다.
환경은 국가경쟁력 핵심 요소
지난 8월26일부터 9월4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요하네스버그에서는 지구촌 최대규모의 매머드 국제회의가 열렸다. ‘지속 가능 발전 세계정상회의(World Summit on Sustainable Development : 이하 WSSD)’라 이름 붙인 이 자리에는 88개국 정상(국가 원수급 52개국, 총리급 36개국)을 비롯하여 194개국, 86개 국제기구, NGO, 산업계 등 전세계로부터 4만∼5만명이 모였다. 우리나라에서도 정부와 민간부문에서 400여 명이 정부간 협상회의, NGO포럼, 국회의원회의, 지방의제21포럼 등 갖가지 회의에 참가했다.

공식집계가 나오지는 않았으나, 일본은 정부대표단 500여 명, NGO 300여 명 등 가장 많은 인원이 참석했고, 미국은 정부대표 164명, NGO가 2백여 명 정도 참가한 것으로 파악되었다. 우리나라 대표단도 참가규모로 따져서 상위 2∼3위에 드는 듯하니 ‘지속 가능 발전’에 대한 관심이 높다는 사실을 알 수 있다.

그런데 우리는 과연 ‘지속 가능 발전’이라는 용어의 의미를 얼마나 이해하고 있는 것일까? 어색한 번역투로 들리는 이 새로운 패러다임이 처음 제시된 것은 노르웨이의 여성 총리 브란트란트가 위원장이 되어 작성한 보고서 ‘우리 공동의 미래(Our Common Future)’에서였다. 이 용어는 20세기 최대의 국제회의였던 1992년 리우 환경회의에서도 지구촌 살림의 지향점으로 강조되었다.

이 글을 쓰노라니, 두 해 전 UN에서 열렸던 지속 가능 발전위원회 회의에서 아이슬란드 여성 환경장관이 하던 말이 떠오른다. 국민이 지속 가능 발전이라는 용어에 대해 얼마나 알고 있는지 설문조사를 해보았더니, 그 결과는 1% 남짓이었다는 것이다. 선진국인 아이슬란드의 형편이 이럴진대 다른 나라 상황은 어떻겠느냐, 환경장관이 둘러앉아서 지속 가능 발전을 논하는 것이 얼마나현실성이 있겠느냐 하는 얘기였다. 그말을 들으면서 동서는 달라도 생각은 똑같을 수 있구나 싶어서 신통했다.

1/9
목록 닫기

환경은 국가경쟁력 핵심 요소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