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는 지금도 돌아가신 아버님(李德祥)을 생각하면 죄책감에 가슴이 찢어질 듯 아프다.
선친께서는 1964년 6월22일 환갑도 채 되기 전인 만 58세에 위암으로 돌아가셨다. 나는 이 불효자식 때문에 아버지께서 속병을 앓아 돌아가신 것을 생각하면 지금도 목이 메이고 가슴이 저려온다. 그 당시 하시던 사업이 기울어 마음의 고통도 있었지만 나에게 일어난 두 가지 사건이 아버지께 크나큰 충격과 고통을 안겨드리고 이것이 병을 유발한 원인이 되어 아버님이 세상을 일찍 떠나신 게 아닌가 하는 생각을 지울 수 없다.
그 두 가지 사건이란 바로 1952년 ‘공군사관학교 퇴교사건’과 1961년 ‘동아일보 필화사건’이다. 1950년 6월25일 한국전쟁이 발발하자 당시 연세대 정외과 1학년이었던 나는 ‘하늘에서 조국을 지키자’는 생각으로 공군사관학교 3기생으로 입교했다.
공사 입학식 때부터 학생 대대장으로 뽑혔던 나는 2학년 때는 생도회격인 ‘오성회(五星會)’를 조직하여, 회장으로 모임을 이끌었다. 그러나 하늘에서 조국을 지키겠다는 소박한 ‘파일럿’의 꿈은 2년 만에 무산되고 말았다.
군법회의장에서 먼 발치로 본 아버지
1953년 봄, 모든 기초훈련을 마친 우리 생도들은 비행훈련 이전에 실시하는 마지막 지상훈련을 받기 위해 대전항공학교로 이동했다. 그런데 바로 그곳에서 사건이 터졌던 것이다.
우리는 항공병 학교에서 자고 있었는데, 그날 밤 임관을 하루 앞둔 행정장교 후보생들이 유성에서 술을 마시고 돌아와 3기 사관 불침번에게 공연히 시비를 걸어 일이 터진 것이다. 물론 사건의 발단은 술에 취한 행정장교 측에 있었으나 결과적으로 많은 부상자가 생겨난 데다 전시중이라 그대로 넘길 수 없는 엄청난 사건이 되었다.
이제 열 달만 참으면 임관하게 되는데, 최소한 예닐곱 명은 어쩔 수 없이 처벌당할 위기였다. 생도회장인 난 고민했다. 그리고 결심했다.
‘비록 현장에 있진 않았지만, 회장인 내게 책임이 있다. 그러니 모든 건 내가 책임지고 동료들을 살려야겠다.’
결국 난 혼자 책임을 지고 군법회의장에 섰고 퇴교조치되었다. 아쉽게 공사를 퇴교했지만 군인사법에 의해 공사 3년이 군복무기간으로 환산되어 공군 이병으로 전역했다.
이 일은 당시 공군에서는 워낙 큰 사건이라 대구시내에 소문이 파다하게 번졌다. 아버님은 달성공원에 아침 산책을 나가셨다가 ‘이번 공군사건의 주동자가 대구 출신의 이모 생도라더라’는 소문을 듣고 깜짝 놀라 수소문 끝에 군법회의 장소인 대구 서부(西部)국민학교로 달려오셨다.
아버지는 군법회의를 받기 위해 대기하고 있던 공군본부 헌병대로 오셨으나 면회는 허락되지 않았다. 내가 군법회의장으로 호송되어 들어갈 때 먼발치에서 나를 바라보시던 수심에 가득 찬 아버지의 얼굴이 지금도 눈에 선하다.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