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음식으로 본 한·중·일 문화인류학 3

‘쇼추텐고쿠(燒酎天國)’ 가고시마… 한국 소주는 슬프다

캬~ 한 잔 추억의 희비

  •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민속학 duruju@aks.ac.kr

‘쇼추텐고쿠(燒酎天國)’ 가고시마… 한국 소주는 슬프다

1/9
  • 가고시마 고구마 소주는 공업이 아니라 ‘농업’이라고 강조한다. 가고시마 농촌에서 생산되는 고구마만 사용하기 때문이다. 요사이 중국에서도 역사 문헌에 나오는 ‘바이주’를 재현한다고 성(省) 정부와 대학 연구소들이 앞장서 연구하고 있다. 그들이 역사에 나오는 ‘전통’에 목숨을 걸다시피 하고, 온갖 허망한 전설을 술 이름과 내력에 갖다 붙이는 것도 바이주 생산으로 지역 농촌을 살려보겠다는 의도 때문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희석식 소주 산업은 지역사회에서 과연 농업이라고 할 수 있을까. 한국에서 희석식 소주가 많이 팔리면 과연 농민들도 행복할까.
‘쇼추텐고쿠(燒酎天國)’ 가고시마… 한국 소주는 슬프다

심수관 공방의 소주 주전자.

2006년 여름, 35℃가 넘는 무더운 날씨에 일본 최남단 가고시마(鹿兒島)시에 처음 가봤다. 도쿄나 오사카에 비해 작은 도시이지만, 중앙역 앞에서 마주친 궤도전차가 인상적이었다. 일제 강점기 서울의 종로와 왕십리, 그리고 마포 종점을 왔다갔다했다던 궤도전차가 아직도 이곳에서는 중요한 교통수단이라니 신기하기도 했다. 그날 저녁 가고시마대학의 기층문화(基層文化)학과 교수인 오자키 다카히로(尾崎孝宏)씨를 만났다. 30대 중반인 그는 젊은 학생 같은 모습으로 나타났다. 이미 한국에서 만나 술 한잔을 한 적 있기에 그는 곧장 가고시마 술을 마시러 가자고 나를 이끌었다.

가고시마시에서 술집이 가장 많은 곳은 번화가 ‘덴몬칸(天文館)’이다. 가운데 대로를 두고 양옆으로 펼쳐진 덴몬칸은 마치 서울의 종로1가 골목길을 연상시킨다. 우리는 남쪽에 있는 덴몬칸 골목으로 들어갔다. 아직 해가 지지 않은 6시경이었지만, 골목에 들어선 가게마다 네온사인과 번쩍거리는 간판을 달고 있다. 이국적인 풍경에 들떠 그가 안내하는 곳으로 가면서도 곳곳에 눈길을 주느라 정신이 없었다. 술집과 점포가 연달아 이어진 골목, 그 입구에는 이곳에서 유명한 술 회사의 브랜드 로고가 붙어 있다. 정말 술맛 나는 거리다.

이윽고 그가 한 술집 입구에서 나를 불렀다. 무심코 바라본 술집 간판이 재미있다. ‘쇼추텐고쿠(燒酎天國)’다. 술집 안은 일본의 여느 도시에 있는 선술집인 ‘이자카야(居酒屋)’와 비슷했다. 그러나 다른 점 하나가 눈에 띄었다. 벽면을 온통 대개 ‘대병(大甁)’이라 부르는 술병으로 장식해놓았다. 자리에 앉으면서 오자키 교수에게 저게 모두 ‘니혼슈(日本酒)’, 즉 청주(淸酒) 술병이냐고 물었다. 그런데 대답은 아니라는 것이다. 모두 ‘쇼추(燒酎)’ 술병이란다. 나는 오사카 외곽인 이바라키(茨木)에서 역사가 100년이 다 된 술집을 방문한 적이 있다. 그 집의 카운터 뒤에도 술병들이 즐비했는데, 모두 니혼슈 대병이었다. 일본 하면 니혼슈의 나라인데, 웬 ‘쇼추’인지 의아하지 않을 수 없었다.

그래서 벽면에 진열된 대병들을 찬찬히 살폈다. 100여 개 되는 술병 중에는 새것도 있지만, 이른바 ‘키핑(keeping)’해 놓은 고객의 이름이 적혀 있기도 했다. 술의 상표도 같은 것이 별로 없어 보였다. 언뜻 보아 술병의 모양이나 상표는 니혼슈 대병과 다를 바 없었다. 알코올 도수를 확인해야 그 정체가 확인될 듯싶었다. 마침내 찾아낸 알코올 도수는 모두 25% 이상이었다. 그렇다면 소주의 종류만도 100여 개가 넘는다는 말인가. 도대체 여기가 일본인가 아니면 한국인가.

‘신식 소주’와 희석식 소주



보통 알코올 도수가 높은 술은 증류주(蒸溜酒)에 속한다. 중국의 바이주(白酒), 러시아의 보드카, 영국의 위스키, 프랑스의 브랜디가 모두 증류주다. 최근에야 알코올 도수가 20~30%까지 낮아졌지만, 원래 증류주는 40%가 넘었다. 증류를 하는 대상은 주로 양조주(釀造酒)다. 중국의 바이주는 쌀이나 수수로 만든 양조주인 청주나 황주(黃酒)를 먼저 만든 후, 그것을 증류하면 된다. 가오량주(高粱酒)는 그 재료가 수수라서 생긴 이름이다. 위스키는 주로 보리로 양조주인 맥주를 만든 후 그것을 증류해서 만든다. 브랜디는 포도를 원료로 만든 와인을 증류한 술이다. 그렇다면 한국의 소주는 과연 증류주인가.

당연히 증류주라고 해야 옳다. 다만 시중에서 즐겨 마시는 ‘국민 대중의 술’ 소주는 온전한 증류주라고 말하기 어렵다. 상표를 자세히 살펴보면 ‘희석식 소주’라고 표시돼 있다. 도대체 무엇에 무엇을 희석했다는 것인가. 고구마나 타피오카 같은 곡물을 알코올 분해해 정제시킨 주정(酒精)에 물과 향료를 희석시킨 것이 바로 이 술이다. 주정은 그냥 마시면 너무 독해서 치명적이기에 물을 섞어야 한다. 이와 같은 주정은 결코 전래의 증류 방식이 온전하게 도입된 것이 아니다. 밑술인 양조주를 굳이 만들지 않고 발효균을 원료에 넣어 기계에서 연속으로 증류시켜 만든다. 당연히 양조주가 지닌 원래의 독특한 향기도 주정에는 없다.

1/9
주영하 한국학중앙연구원 교수·민속학 duruju@aks.ac.kr
목록 닫기

‘쇼추텐고쿠(燒酎天國)’ 가고시마… 한국 소주는 슬프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