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소녀 김연아’를 말한다

노래방과 보아 좋아하는 열여덟 여고생의 ‘낯가림 극복기’

  • 김태성 동아일보 대학생 인턴기자 11kojjang@hanmail.net

‘소녀 김연아’를 말한다

1/3
  • 2006년 세계 시니어 그랑프리 파이널대회에서 한국인 최초로 우승을 차지하며 빙판의 여왕으로 등극한 김연아는, 그러나 아직 열여덟 살의 어린 소녀일 뿐이다. 그 또래 여느 여고생들처럼 그에게도 은사(恩師)가 있고, 추억을 함께 나눈 친구들이 있으며, 천재적 재능을 가진 ‘선수’와 낯을 많이 가리던 평범한 ‘소녀’의 모습이 공존한다. 은반을 비추는 화려한 조명 뒤에 숨어 있던 ‘소녀 김연아’를 따라가봤다.
‘소녀 김연아’를 말한다
김연아는 1990년 김현석·박미희씨의 두 딸 중 막내로 태어났다. 피겨 스케이팅을 처음 시작한 것은 유치원에 다니던 일곱 살 때로, 어린 시절 피겨 스케이팅을 배웠던 어머니를 따라 집 근처 과천시민회관 빙상장을 찾은 것이 계기가 됐다. 당시 그의 재능을 대번에 알아보고 선수로 키워낸 유종현 전 코치는 김연아를 “순발력이 굉장히 뛰어난 아이”로 기억한다.

“제가 국가대표 출신이고 많은 아이를 지도했기에 연아의 뛰어난 재능은 한 눈에 들어오더군요. 기초적인 점프를 배울 때부터 순발력이나 유연성에서 정말 남달랐어요. 신체적으로는 타고났다고 봐야죠.”

과천에서 코치로 근무하면서 수많은 어린이를 가르쳐온 그가 먼저 학부모에게 지도를 맡겨달라고 부탁한 경우는 김연아가 유일했다. 비슷한 시기 유 코치와 함께 김연아를 가르친 과천시민회관 변성기 코치가 기억하는 김연아의 첫인상도 그와 비슷하다.

“기술적으로 연아는 서전트 점프(제자리 높이뛰기)가 굉장히 높았어요. 피겨의 경우 점프력이 좋은 선수들이 고난도 기술을 해낼 수 있거든요. 그걸 보고 유 코치가 연아를 발탁한 거죠.”

코치들이 주목한 김연아의 천재성은 열두 살 무렵에 다섯 종류의 트리플 점프를 완성하는 것으로 증명됐다. 어린 김연아는 지는 것을 무엇보다 싫어했다. 그리고 ‘강단지다’는 표현이 딱 어울릴 만큼 담이 컸다. “어린아이들이라 간단한 게임 같은 걸 많이 했는데, 연아는 아무리 하찮은 승부라도 꼭 이겨야 만족했다”는 게 유 코치의 회고다.



“처음 스케이트 타는 아이들을 대상으로 하는 7개월짜리 초보자 코스가 있어요. 과정 중에 스케이트를 타고 돌면서 빙판 위에 원을 그리는 과제가 있거든요. 연아가 장갑을 짝짝이로 끼고 있길래 장난 삼아 놀렸는데 전혀 동요하지 않고 과제에만 집중하더라고요.”

변 코치는 김연아가 지금껏 큰 기복 없이 꾸준하게 높은 성적을 유지해온 이유가 여기에 있다고 말한다.

“저 아이, 군인 같아요”

“군인 성격이라고 하면 맞을 거예요. 사춘기 때 여자아이들은 아주 예민한데, 연아는 그런 면이 없었어요. 자기가 해야 할 일 외에는 별 관심을 보이지 않았어요. 남자같이 무덤덤해서 자기 감정도 조절할 줄 아는 편이었죠.”

초등학교 때 김연아에게 점프 기술을 가르친 신혜숙 코치는 미국 전지훈련 때 지켜본 김연아를 이렇게 기억한다.

“연아가 5학년 때 미국으로 전지훈련을 갔어요. 어느 주말에 비가 와서 오후 훈련을 쉬었어요. 그래서 아이들 모두 오랜만에 놀고 있었는데 연아가 갑자기 사라진 거예요. 깜짝 놀라 찾아보니까 장갑을 손수 빨아서 침대 머리맡에서 말리고 있더군요. 다음주에 쓸 장갑을 주말에 미리 준비해놓은 거죠.”

1/3
김태성 동아일보 대학생 인턴기자 11kojjang@hanmail.net
목록 닫기

‘소녀 김연아’를 말한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