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명박 캠프 정치공작 커넥션”
2007년 8월7일 박근혜 한나라당 대선 경선후보 선거대책위원회는 ‘국정원 현직 간부를 동원한 이명박 캠프의 정치공작’이라는 발표에서 김유환 당시 국정원 경기지부장(1급) 등을 이명박 후보 캠프와의 유착의혹 당사자로 지목했다. 박근혜 후보 캠프는 김 지부장에 대해 “(국정원) 윗선의 배후라는 제보가 있다”고 했다. 이어 언론에 배포한 ‘이명박 후보 캠프 정치공작 커넥션’에도 김 지부장을 “국정원 고위간부 K모씨(고려대 영남 출신)”이라고 표기해 포함시켜 놓았다.
한나라당 대선후보 경선 과정에서 박근혜 후보 캠프는 ‘이명박 후보 캠프와 국정원 측의 유착으로 박근혜 후보가 비방에 시달리고 있다’는 피해의식을 줄곧 토로해왔다. 이명박 후보의 측근인 정두언 의원의 보좌관은 김해호씨로 하여금 박근혜 후보 비방 자료를 폭로하는 기자회견을 하도록 사주했다. “박근혜 후보와 관련 있는 최태민 목사와 그의 딸 등이 육영재단을 통해 거액의 재산을 증식했다”는 내용이었다.
자료의 출처와 관련해 검찰은 사실관계가 확인되지 않은 안기부 자료가 불법 유출됐을 가능성을 수사했다. 자연히 안기부의 후신인 국정원에서 나온 것이라는 의심을 샀다. 김씨는 허위사실유포 혐의로 구속됐다. 정두언 의원은 이 사건으로 검찰에 지명수배되어 도피 중이던 자신의 보좌관에게 수개월간 월급을 지급했다. 박근혜 후보 캠프는 이 사건에 대해 “이명박 후보 캠프가 국정원과 내통해 추악한 정치공작을 벌인 것”이라고 주장했다.
경선 무렵인 2007년 6월27일 국정원의 전신인 중앙정보부가 작성했다는 이른바 ‘최태민 보고서’가 PC방에서 은밀하게 인터넷에 올려진 일도 발생했다. 최태민 보고서는 고(故) 최태민 목사가 박정희 정권 시절 박근혜 전 대표에게 접근해 각종 비리를 저질렀다는 의혹을 담은 문건이었다. 검찰은 문건을 인터넷에 올린 용의자를 찾지 못했다.
또한 이명박 후보 캠프의 이재오 의원(현 국민권익위원회 위원장)은 2007년 6월21일 방송에 출연해 박근혜 후보를 겨냥해 “차마 말하기가 창피한 정도의 안기부 보고서를 봤다”고도 했다. 이 발언에 대해 박근혜 후보 캠프는 “국정원 측과 내통하고 있다는 증거”라고 했다.
이명박 후보가 대선에서 승리한 직후인 2007년 12월 하순 김유환 국정원 경기지부장은 대통령직인수위원회 전문위원으로 발탁됐다. 공교롭게도 박근혜 후보 캠프가 대선 경선 당시 ‘이명박 후보 캠프와 국정원의 접점 의혹’으로 지목했던 양 당사자인 ‘정두언 의원’이 ‘김유환 지부장’을 인수위 전문위원으로 밀었다는 소문이 돌았다. 이후 김 지부장은 공직에서 물러나 한화석유화학 고문으로 들어갔다.
이명박 정권 출범 직후인 2008년 4월 국정원은 과거의 정치공작 행태를 개혁한다는 차원에서 국정원 내 박근혜TF팀의 실체에 대한 사찰에 나섰다. 박근혜TF팀은 박근혜 전 대표에 대한 뒷조사를 수행해 자료를 수집·작성해둔 것으로 알려져왔었다. 이런 국정원의 행보에 “내부개혁 메스 들었다”(OO일보 4월7일자 보도), “국정원 잦은 외도 반성”(△△일보 5월5일자 보도) 등 언론의 호평이 이어졌다. 그러나 이 사찰은 시작만 거창했다. 국정원은 사찰 결과를 공개하지 않았다. 국정원의 박근혜 뒷조사 및 이명박 캠프와의 유착설은 이처럼 무수한 의문만 남겨둔 채 미스터리로 남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