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허기의 간주곡<br> 르 클레지오 지음, 문학동네, 321쪽, 1만3000원
나는 두 가지 비밀스러운 야심을 갖고 있다. 그 하나는 언젠가 소설을 쓰는 것이다. (중략) 나는 이 ‘조서’가 아주 성공작은 아니라는 것을 알고 있다. 이 소설은 지나친 신중성과 기교주의와 수다의 과오를 범했을지 모른다. 이 소설에 씌어진 언어는 탈현실주의에서 현학적 예언으로까지 폭넓은 발전을 하고 있다. 그러나 나는 훗날 정말로 감동적인 소설을 완성하리라는 것에 절망하지 않는다.
고백하자면 나는, 스물세 살의 르 클레지오가 정신병원에서 탈출했는지, 군대에서 탈영했는지 알 수 없는 ‘아담 폴로’라는 떠돌이 청년을 니스 해변에 등장시켜 소설사에 전례 없는 ‘조서 형식’으로 세상에 투고(投稿)한 그의 첫 소설을 읽고 나서야 나도 ‘언젠가는 소설을 쓸 것’이고, 나의 첫 소설이 ‘신중성과 기교주의와 수다로’ 성공작은 아니더라도 ‘훗날 정말로 감동적인 소설을 완성하리라’는 각오로 절망하지 않을 수 있었다.
A. 어느 무더운 여름날, 한 남자가 열린 창문 앞에 앉아 있었다. 그는 키가 크고 등이 약간 굽었으며, 이름은 아담, 아담 폴로였다. 그는 거지처럼 구석진 벽에 몇 시간이고 계속 앉아서 햇빛의 반점을 좇고 있었다.
신중성과 기교주의와 수다, 한마디로 자의식 과잉의 소설이 한 작가의 데뷔작이 되었을 때에는, 주제와 형식이 단단하게 결합된 ‘완벽한 소설’-플로베르의 ‘마담 보바리’와 같은-에서 찾아볼 수 없는 다이너마이트급의 폭발력과 흡입력을 내장하고 있게 마련이다. 패기와 치기가 넘치는 신인의 문장, 곧 화기의 문장이 그것이다. 그것은 신인 시절에만 누릴 수 있는 특장이며, 시간이 흐르면서 소설 속으로 육화되어야 하는 열기이자 그림자이고 장식음이다. ‘조서’ 이후 다른 명작들을 발표했지만 르 클레지오를 읽을 때면 언제나 스물세 살에 발표한 그의 첫 소설로 돌아가고야 마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신인의 패기로 르 클레지오는 자신의 첫 주인공에게 인류 최초의 남자 아담의 이름을, 그리고 그의 생존 조건을 정신병자, 혹은 탈영병이라는 현대인의 불안정한 상태로 설정했던 것은 아닐까.
사랑하는 미셀…(중략) 창 아래에 두 개의 의자를 놓으면 정오엔 길게 누워 태양 아래서 잠들 수도 있어. (중략) 4시경 만일 태양이 낮게 비치거나 비스듬히 비치면 난 몸을 더 길게 뻗곤 해. 그 순간에 태양은 창문의 3/4만큼에 걸리지. 난 그걸 바라보곤 해. 태양이 아주 둥글게 바다 위에, 다시 말해서 수평선 위에 똑바로 떠 있는 거야. 매 순간마다 창 앞에서 침묵을 지키며 나는 태양이 내 것이지 다른 누구의 것도 아니라는 생각을 하곤 해. (중략) 이상한 건 처음부터 아무도 나에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것이었어. 난 친구가 별로 없었고, 여자들도 몰랐던 게 다행이야. 왜냐하면 그들은 나에게 바보 같은 짓은 이제 그만두고 도시로 돌아와서 아무 일도 없었던 것처럼 예전같이 모든 것을 다시 시작하라고 말할 게 뻔한 사람들이기 때문이야.
1857년 노르망디 출신의 귀스타브 플로베르가 소설사상 최초의 현대인으로 욕망의 화신 마담 보바리를 창조했다면, 또 1942년 북아프리카 알제리 출신의 가난한 청년 알베르 카뮈가 20세기 현대인의 전형 뫼르소를 창조했다면, 1963년 니스 출신의 혼혈 청년 르 클레지오는 아담 폴로를 등장시켜 소설사에 또 한 명의 새로운 현대인을 추가한다. 누구는 욕망 때문에, 또 누구는 태양 빛 때문에 생(生)을 죽음으로 바꾸어야 했다면, 르 클레지오의 이 청년은 태양은 자신의 것이라면서 세상 아무도 자신에게 주의를 기울이지 않는 해변의 떠돌이 삶을 선택한다. 인류가 취할 수 있는 모든 예술적 실험이 끝난 20세기 중반, 더 이상 새로운 인간, 새로운 소설, 새로운 미학을 기대할 수 없는 시기에 처한 작가의 허무와 이후에 나타날 새로운 현대인의 삶의 형식을 르 클레지오는 이 작품을 통해 표출했다고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