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르포

‘지리산 산내 가서 지식 자랑 마세요’

생명운동의 본산 지리산 실상사와 산내면 사람들

  • 이상락│작가 writersr@daum.net

‘지리산 산내 가서 지식 자랑 마세요’

1/6
  • 도시에서 주거상황이 여의치 않아 3년 전 지리산 골짜기로 귀농한 소설가 이상락씨가 인근 실상사와 산내면 사람들 이야기를 글로 써 보내왔다.
  • 귀농해 농사만 짓는 전업농업인이 있는가 하면, 반농반업(半農半業)으로 생활을 꾸려가는 이, 생명평화운동에 몸 바친 이, 대안학교를 훌륭히 일궈가는 이도 있다. 돈은 많이 벌지 못하지만 마음은 부자인 사람들의 중심에 도법스님이 있다.<편집자>
‘지리산 산내 가서 지식 자랑 마세요’
“초기 사찰들의 기록을 보면 부처님의 가르침을 중심으로 사찰과 지역주민들이 함께하는 공동체적 삶을 실천했던 전통이 있습니다. 그런데 후대로 오면서 이념이 퇴색하고 변질되어 이해관계로 흘러서 갈등을 불러오게 되었지요. 말하자면 사찰이 지주(地主)로 군림하면서 공동체가 깨져버린 것입니다. 저는 실상사가 소유한 농지를 귀농학교에 내놓아서 귀농인들을 위한 실습장으로 활용할 생각입니다. 그러나 성공적인 귀농을 위해서는 먼저 귀농 희망자들의 세계관이 변해야 하기 때문에….”

지금부터 12년 전인 1999년 봄, 나는 ‘신동아’의 인물탐방 꼭지 ‘이 사람의 삶’을 취재하기 위해 지리산 자락의 실상사로 내려갔다. 당시 주지이던 도법스님은 사찰 울타리 밖의 실습지 이곳 저곳을 분주히 오가면서, 이제 막 문을 연 귀농학교의 갈피를 챙기느라 여념이 없었다. 도시생활을 청산하고 농사를 지으며 살겠다고 찾아온 ‘학생들’은 어딘지 어색하고, 서툴고, 자신 없고, 서먹한 표정이 역력했다. 거기 비하면 불교적 세계관에 입각한 농촌공동체의 복원을 역설하는 도법스님의 설법에는 힘이 실려 있었다.

“우리의 삶이 지속가능한 것으로 되기 위해서는 생태순환의 사고, 공동체적인 마음가짐을 갖지 않으면 안 됩니다. 영농기술을 배우기 전에 세계관부터 바꾸자는 것이지요. 그래서 조계종 총무원과 실상사가 공동 주최하여 귀농 희망자를 상대로 서울에서 15강좌의 이론교육을 먼저 실시하고 나서 이곳으로 내려와 실습에 들어가는 것입니다.”

취재를 마친 나는 그해 5월호에 도법스님과 귀농학교에 관련된 기사를 실었다. 물론 이후로도 나는 그 귀농학교가 도법스님이 구상한 대로 잘 진행되고 있는지에 대한 관심이 아주 없지는 않았으나, 10년 남짓의 세월이 흐르다보니 실상사 귀농학교는 내 기억 속에서도 헤실바실 묽어져버렸다. 물론 가끔 언론 매체를 통해서 ‘생명·평화’를 기치로 탁발순례를 하는 도법스님의 모습이며, 혹은 오체투지의 고행을 마다않는 수경스님의 모습을 대할 수는 있었다.

그리고 2008년 봄, 나는 뜬금없이 서울 수도권을 떠나 덜컥 지리산 산곡마을로 거처를 옮겨버렸다. 지리산 자락으로의 이주를 뜬금없다 한 것은, 남해안의 섬마을 출신인 내가 인생 하반기의 하방(下放) 후보지로 바닷가가 아닌 산골마을을 그려본 적은 추호도 없었기 때문이다. 당시 일이 어찌어찌 꼬이는 바람에 주거상황이 안정적이지 못했는데 어느 날 인터넷 서핑을 하던 아내가 말했다.



“지리산 뱀사골 인근 민박마을에 맞춤한 집이 하나 나왔다는데 우리 거기로 이사 갈래?”

나는 별생각 없이 “그러지 뭐” 해버렸고, 우리는 곧 이삿짐을 쌌다. 그런데 공교롭게도 이삿짐 트럭은 인월이라는 곳에서 언젠가 취재차 들렀던 바로 그 실상사를 지나더니 인적 없는 산허리 길을 한참이나 더 감아 돌다가 뱀사골 유원지를 조금 못미처 오른쪽 언덕배기의 산간마을에다 세간을 부려놓았다. 그 비탈배기 산골 집 마당에 쪼그려 앉아 사위를 둘러보노라니 ‘앞산은 첩첩(疊疊)’이요, ‘뒷산은 중중(重重)’한지라, 도읍지에서 용납받지 못하고 유배형을 받은 처지, 딱 그것이었다.

계획에 없던 지리산 생활

‘지리산 산내 가서 지식 자랑 마세요’

지리산 둘레길 개통 기념식.

‘남원시 산내면 부운리’라는 새로운 주소에 대한 우편번호를 인터넷에서 검색하기 위해 ‘산내면’을 입력했다가 나는 우리나라에 산내면(山內面)이 그처럼 여러 군데 있다는 사실을 처음 알았다. 같은 전라도의 정읍에도 산내면이 있고 경상도의 경주와 밀양에도 있다. 게다가 정읍과 밀양에는 산외면(山外面)도 있어서 아예 내외를 갖추었으니 가히 산이 국토의 육십 몇 퍼센트라는 사실이 그제야 실감날 정도였다. 어쨌든 산내면 자체가 산중 고을이라는 뜻인바에 마을 이름마저 뜰 부(浮)자에 구름 운(雲)이니 주소만 적어놓고 들여다보고 있어도 위리안치(圍籬安置)의 고립감을 어찌 할 수 없다. 흥보전의 판본을 보면 ‘전라도는 운봉이요 경상도는 함양인데 운봉 함양 두 얼품에 박씨 형제가 살었것다’ 이렇게 시작된다. 내가 사는 산내 지역이 바로 남원과 함양의 얼품인데 토박이 주민들의 말투를 듣자 하니 강릉 사투리 같기도 하고 연변 말투 같기도 하다.

그건 그렇고 전국에 있는 ‘산내면’들의 특징을 들자면 글자 그대로 산간 취락으로 이뤄져 있어서 인근의 다른 면들에 비해 인구가 턱없이 적다는 점이고, 또한 인구의 감소 추세도 다른 면에 비해서 가파르다는 점이 공통점이다. 그런데 남원시 산내면은 다르다. 2000년에 인구가 2160명이었는데 2년 뒤인 2002년엔 2339명이다. 179명이 증가한 것이다. 전라북도 전체를 놓고 봤을 때 이 기간에 인구가 늘어난 면은 산내면이 유일했다. 이 ‘경이로운’ 현상은 실상사에서 귀농학교를 시작한 때가 1999년 무렵이었다는 사실을 빼놓고는 설명할 수가 없다. 이후 소폭의 증감을 계속하다가 2011년 현재의 인구는 2150명이다. 다른 면지역의 인구가 상당한 폭으로 감소한 데 비해 남원시 산내면은 11년 동안 겨우 10명이 줄어든 것이다.

나는 운전을 할 줄 모른다. 애당초 안 하고 살기로 했다. 그래서 아내가 승용차를 몰고 나가버리면 나는 산간마을에 유폐당한 처지가 된다. 물론 뱀사골이라는 유명한 관광지가 지척이어서 산내면 소재지나 인월로 나가는 버스가 다른 산골마을에 비해 자주 있는 편이다. 따라서 마음만 먹으면 실상사든 산내면 소재지든 인월이든 나들이하는 것이 크게 어려운 일은 아니다. 그런데 제발 가끔 나가서 지역사회의 일꾼들과 교분도 나누고 지내라는 아내의 권유에도 불구하고 나는 그렇게 하지 못했다. 염치가 없기 때문이다.

1/6
이상락│작가 writersr@daum.net
목록 닫기

‘지리산 산내 가서 지식 자랑 마세요’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