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하눌타리 덩굴과 열매인 과루실.
나무꾼이 그 소리를 따라가보니 커다란 나무 몇 그루가 서 있는 동굴에서 맑은 물이 흘러나오고 있었다. 달게 목을 축인 나무꾼은 나무 그늘 아래 누웠다가 설핏 잠이 들었다. 그런데 잠결에 웬 사람 소리가 났다. 비몽사몽 중에 맞은편 나무 그늘에서 바둑을 두는 두 노인의 모습이 눈에 들어왔다. 나무꾼은 혹시 저들이 신선이 아닐까 생각하며 그들의 이야기를 엿들었다. 한 노인이 “우리 동굴에 올해 황금박이 두 개나 열렸네” 하고 말하자 다른 노인이 “쉿!” 하며 “건너편에 나무꾼이 자고 있는데 다 듣겠네” 하며 주의를 줬다.
“듣는다고 해도 뭘 걱정하나. 동굴 안으로 들어가지도 못할 텐데.”
“그렇지. 칠석날 정오에 동굴 앞에 서서 ‘하늘 문 열려라, 땅 문 열려라, 황금박의 주인이 들어간다’ 하고 주문을 외워야 동굴 문이 열리지”.
나무꾼은 그 이야기를 듣다 잠을 깼다. 사방을 두리번거렸지만 방금 봤던 노인들의 모습은 온데간데없었다. 꿈치곤 너무도 생생해 나무꾼은 꿈속에서 들은 대로 해보기로 마음먹었다.
드디어 칠석날이 되었다. 나무꾼은 산으로 올라가 동굴 앞에서 주문을 외웠다. 그러자 갑자기 큰 소리가 나며 돌문이 열렸다. 동굴 안으로 들어가니 번쩍이는 물체가 보였다. 가까이 가보니 하늘로 뻗은 나무덩굴에 금빛 찬란한 박 두 개가 매달려 있는 것이 아닌가. 흥분한 나무꾼은 진귀한 보물일 것이라고 생각하고 이를 따들고는 한달음에 산을 내려왔다. 집에 와서 정신을 차리고 보니 손에 든 것은 보물은커녕 식용도 할 수 없는 쓸모없는 열매였다. 나무꾼은 크게 실망해 이를 마당에 내던져버렸다.
며칠 뒤 나무꾼은 다시 그 동굴 가까이 나무를 하러 갔다. 그러다 누워서 쉬고 있는데 또 그 노인들이 나타났다. 다시 노인들의 대화를 엿듣게 되었는데, 그들이 황금박을 도둑맞은 걸 아쉬워하고 있었다. 노인들은 황금박이 쓸모없다고 생각하지만 용도를 알면 황금보다 더 귀한 약재라고 했다. 그 열매를 달여 먹으면 낫기 어려운 폐의 병을 고치고 열을 내리는 좋은 약이라는 것이었다.
나무꾼은 내던져버린 황금박을 찾아 정성스럽게 그 씨를 땅에 심었다. 그리고 이듬해 가을에 주렁주렁 황금박이 열렸다. 마침 그해 기침과 가래가 끓고 숨결이 가빠지는 환자와 폐병 환자가 많았다. 나무꾼은 황금박의 열매를 달여 환자들에게 주었는데 모두 병이 나았다. 주변에 이 신기한 약의 이름을 물어봤지만 아는 이가 없었다. 그 후 이 약재의 덩굴이 나무나 울타리를 타고 기어올라가 높은 누각(樓) 같은 곳에서 참외(瓜) 같은 열매를 연다 하여 ‘과루(瓜蔞)’라고 부르게 됐다. 과루는 ‘신농본초’는 ‘괄루(?樓)’라 쓰고 있고, ‘과라(果?)’라고도 하는데 이외에도 이명(異名)이 많다.
열매는 과루실
시골 마을 돌담장을 담쟁이덩굴처럼 무성하게 덮고서 소박한 흰 꽃을 피워내는 과루는 우리 이름으로 ‘하눌타리’라 한다. 우리나라 중부 이남의 산야나 인가 주변에서 쉽게 볼 수 있는 식물이다. 덩굴손이 있어 호박이나 오이처럼 큰 나무나 담장 울타리 등에 잘 달라붙어 높은 꼭대기까지 뻗어 올라간다. 이로 인해 ‘하늘타리’ 또는 ‘하눌타리’라는 이름이 유래되었다고 한다. 그런데 중국에서 과루를 ‘천원자(天圓子)’라고도 해 이를 번역한 것이 하눌타리가 됐다는 말도 있다.
박과(호로과)의 식물로 꽃도 박꽃처럼 밤에 피어서 아침까진 실타래를 푼 듯 여러 갈래로 갈라진 꽃을 피우다가 낮이 되면 조막손같이 오므라든다. 7~8월에 수꽃과 암꽃이 같은 줄기마디에 달린다. 암꽃은 꽃만 있는 수꽃과 달리 둥근 씨방이 달려 있는데, 수꽃의 화분을 받아들이면 꽃이 떨어지고 씨방이 커지기 시작한다.
장마가 끝나고 오곡이 익는 가을이 오면 하눌타리는 시든 잎들 사이로 황금색의 빛깔 좋은 열매들을 내보인다. 이 열매를 ‘과루실(瓜蔞實)’이라고 한다. 그렇지만 옛이야기 속의 나무꾼이 그랬듯이 과루실을 거들떠보는 이는 거의 없다. 생긴 건 그럴듯하지만 먹을 수 있는 것이 아니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