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작가 구효서씨가 고 박완서 선생을 추모하며 ‘현대문학’에 기고한 에세이 ‘지난 겨울은 추웠네’의 한 부분이다. 지난 1월 박완서 선생이 타계했을 때 공개된 영정 속에서도 작가는 이렇게 웃고 있었다. 고인을 기억하는 이들은 작가가 그 미소만큼이나 소박하고 ‘가지런한’ 이였다고 말한다.
마지막 모습도 그랬다. 그는 생전에 지어놓은 이야기만 남긴 채 먼 길을 떠났다. 애초에 구리시는 고인이 타계 전까지 살았던 관내 아치동에 ‘박완서 문학마을’을 조성하려 했다. 자택 주위에 문학관, 문학공원, 문학비를 만들고 작가의 산책로를 따라 ‘문학 둘레길’을 닦겠다는 계획도 세웠다. 그러나 맏딸인 수필가 호원숙씨 등 유족들이 “어머니가 원치 않으실 것”이라며 정중하게 거절함으로써 작가는 책으로만 이름을 남기게 됐다.
9월 중순, 추석을 앞두고 고인의 자택에서 호씨를 만났다. 지금은 대를 이어 딸이 살고 있는 집이다. 그는 “어머니가 생전에 ‘나중엔 네가 여기서 살아라’라고 말씀하시곤 했다. ‘기념관이나 문학관 만들지 말고 그냥 살아라’ 하신 게 돌아보면 어머니의 유언이었다”고 했다. 작가의 타계 후 출간된 책 ‘모든 것에 따뜻함이 숨어 있다’ 서문에서도 호씨는 이러한 어머니의 뜻을 밝혔다.
“차가운 돌로 된 명패와 기념관보다는 따뜻하게 가족이 모여 숨을 쉬고 웃으며 이야기를 나누고 식탁을 차리고 포도주 잔을 부딪히기를 바라신 게 아닌가. 새 생명 아기가 태어나고 자라 노할머니가 무릎을 꿇고 가꾸던 잔디 위에서 걸음마를 배우고 발에 흙을 묻히기를 꿈꾸신 게 아닐까.”
책 쓰는 할머니

“가끔 그런 말씀을 하셨어요. ‘그림 같은 건 보관하려면 공간이 필요하지만 책은 얼마나 심플하냐. 나는 책으로 남는다. 책이 있으니 나를 기억하려고 굳이 애쓰지 않아도 된다’.”
그런 작가가 생전에 단 한 번, 자신의 이름을 허락한 곳이 있다. 구리시 인창도서관의 ‘박완서 자료실’이다. 구리시는 2009년 도서관 내에 66㎡ 규모의 방을 만들고 작가를 기념하는 공간으로 꾸몄다. 데뷔작 ‘나목’의 초판을 비롯한 출간 서적과 친필 원고, 사진 등을 전시한 이 자료실은 지금도 그 모습 그대로 운영 중이다. 호씨는 “사실 그때 나는 반대하는 마음이 있었다. 이왕 하실 거라면 좀 더 좋은 모습이면 좋겠다고 생각했다. 그런데 어머니는 ‘마을에 있는 공공도서관 아니냐’며 오히려 나를 나무라셨다”고 회고했다.
작가는 생전에 자택 근처 마을회관에 책 1000권을 기증했을 정도로 ‘동네 도서관’을 아꼈다. 호씨는 구리시에서 ‘박완서 마을’ 조성 계획을 발표했을 때 어머니의 그 자료관이 떠올랐다고 했다.
“아이들이 와서 책을 읽으며 ‘작가 할머니’에 대해 알게 되는, 작지만 알찬 공간을 원하신 게 아닐까 하는 생각이 들었어요. 형제들 의견도 마찬가지여서 구리시에 ‘새로 뭔가 짓는 것을 원치 않는다. 이미 마련돼 있는 자료실을 잘 가꿔달라’는 뜻을 전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