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스위스리 직원들이 알프스산에서 청소 자원봉사를 하고 있다.
풍부한 관광자원과 중립국이라는 이점을 살려 관광업과 보험·금융업이 발달해 1인당 국민소득은 우리보다 3 배 이상인 7만 달러에 육박한다. 관광업은 스위스 전역에 걸쳐 고루 발달한 반면 보험사와 금융회사들은 스위스 제1의 도시 취리히에 모여 있다. 취리히는 공항이 가까워 외국인이 드나들기 좋을 뿐 아니라 박물관, 미술관, 호수 등 볼거리도 많다.
‘미래가치가 핵심이다’ 시리즈의 첫 번째 주자인 ‘스위스리(Swiss Re)’도 취리히에 본사를 두고 있다. 1863년 취리히에 설립된 스위스리는 스위스 경제발전의 한 축을 담당해온 세계 2위 재보험사다. 본래 재물과 상해, 생명, 건강 관련 보험 상품과 이에 관한 재보험 서비스를 제공하는 회사지만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모습과 환경 살리기 캠페인으로 자국 내에서뿐만 아니라 전 세계적으로 존경받는 기업이다. 신용등급도 매우 높다. 스위스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이 회사는 재무건전성과 리스크 관리능력이 뛰어나 세계 3대 신용평가기관인 스탠더드앤푸어스(S·P)와 무디스에서 각기 A+와 A등급을 받았다.
스위스에 사는 교민들에게 스위스리에 대해 묻자 “자연과 사람의 조화를 중시하는 기업” “지역사회에 좋은 일을 많이 하는 기업” 등 칭찬 일색이었다. 도대체 스위스리는 어떤 방식으로 기업의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걸까. 이 회사가 긴 세월 동안 흔들림 없는 자본력과 명성을 이어온 비결이 뭘까. 스위스리의 친환경 비즈니스는 국내 기업의 그것과 뭐가 다를까. 지금부터 해답을 찾아보자.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 행복지수 높이는 데 일조
3월 마지막 주, 인천국제공항에서 네덜란드 암스테르담을 경유해 목적지인 취리히에 도착하자 싸늘하지만 청량한 공기가 낯선 객을 맞았다. 스위스에서는 3월 31일까지를 동절기로 치지만 날씨는 한국보다 푸근했다. 초행길인데다 안내원도 없어 스위스에 도착하기 전에는 헤맬까 걱정이 앞섰는데 막상 도착해보니 기우였다. 기차와 버스, 노면전차(트램), 유람선 등 여러 교통망을 하나로 연결한 스위스 트래블 시스템이 외국인을 위한 내비게이션 노릇을 하며 원하는 곳이면 어디든 갈 수 있게 이끌어줬다.
기차와 트램을 이용하니 취리히공항에서 취리히 시내에 있는 스위스리 신사옥까지 30분밖에 걸리지 않았다. 스위스에서는 매연을 내뿜는 버스나 자동차보다 친환경 교통수단인 기차와 트램이 주된 교통수단으로 자리 잡았다. 일부 지역은 자동차 진입을 전면 금지하고 있다. 도로에 홈을 파 설치한 레일 위를 달리는 트램은 버스보다 속도가 느린 대신 더 자주 운행하고 노선이 다양해 한 지역 내를 이동할 때 편리하다. 스위스가 수많은 관광객의 왕래에도 ‘청정 관광국가’라는 이미지를 지킬 수 있는 비결이 여기에 있다. 스위스리가 친환경 비즈니스에 관심을 갖게 된 것도 이러한 사회 분위기와 무관치 않아 보인다. 트램에서 내려 스위스리 신사옥까지 걸어가던 중 만난 한 스위스리 직원은 “깨끗하고 편리한 환경이 스위스의 최대 자산”이라며 이런 말을 덧붙였다.
“예전에 비즈니스로 한국에 간 적이 있어요. 인심도 좋고 아름다운 나라더군요. 한국도 스위스처럼 국토가 넓지 않으니 전국 교통망을 하나로 연결해 코리아 트래블 시스템을 구축하면 일자리 창출과 외국인 관광객 유치에 많은 도움이 될 거예요.”
무심코 내뱉은 말이지만 총선 광풍이 휩쓸고 지나간 자리에 나뒹구는 숱한 뜬구름 잡기식 공약보다 훨씬 더 가슴에 와 닿는 제안이었다. 스위스리의 본사 바로 옆에 자리한 신사옥은 현대식으로 지어진 8층짜리 건물로 보안 차원에서 사전에 미팅을 예약한 방문객이 아니면 출입을 허용하지 않았다.
스위스리 홍보를 담당하는 롤프 태너(Rolf Tanner) 수석디렉터에 따르면 이곳과 본사 등 스위스 안에서 근무하는 직원은 3500여 명이고 전 세계적으로는 그 수가 1만 명에 달한다. 스위스리 지사는 전 세계 60곳에 있는데 대륙별 점유율은 유럽이 65%, 미국 25%, 아시아와 기타 지역이 10%다. 이 회사가 아시아태평양 지역에 거점을 마련하기 시작한 것은 1956년부터다. 이후 스위스리는 한국, 일본, 싱가포르, 중국, 인도, 호주 등 아시아태평양 지역의 지사를 늘려나갔다. 이 지역 지사들을 관리 감독할 아시아본부는 홍콩에 뒀다.
롤프 씨는 “보안문제도 있고 일에 방해가 될 수 있으니 사무실 안에 들어가 직원들과 개별적인 이야기를 나누는 건 허용이 안 된다”고 전제한 뒤 넓고 쾌적한 실내를 빙 둘러볼 수 있게 안내했다. 서류뭉치를 들고 지나가는 직원, 책상 앞에 앉아 컴퓨터와 씨름하는 직원, 미팅 룸에서 회의하는 직원 등 저마다 뭔가에 열심이었다. 흥미로운 점은 이들 중 어느 누구도 분주하거나 다급해보이지 않았다. 같은 회사 안에서도 동료와의 경쟁구도 속에서 늘 긴장하며 사는 한국의 샐러리맨들과 대조적인 모습이었다. 취재에 동행한 전문통역사 문보경 씨는 “스위스 사람들은 원래 서두르지 않는다”며 “개인소득과 상관없이 삶에 대한 만족도가 높아 행복지수가 세계 6위”라고 귀띔했다.
오피스 투어를 마친 뒤 롤프 씨는 내방객이 들어갈 수 없는 옥상으로 기자를 데려갔다. 1년에 한두 번 연회장소로 활용한다는 이곳에서는 취리히 시내와 취리히 호수가 한눈에 들어왔다. 건물 옆 본사 건물도 훤히 보였다. 149년의 역사를 간직한 본사 건물은 외형은 조금 낡았어도 그 나름의 고풍스러운 멋을 자아냈다. 롤프 씨는 “본사 건물은 하도 오래돼서 누가 설계했는지 모르겠지만 신사옥은 1950~60년대에 굉장히 유명했던 건축가가 설계했다”며 “이 건물을 허물고 2017년까지 새 건물을 지을 것”이라고 밝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