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직격 인터뷰

“국보 1호 공사도 도급에 하청, 목수 품값도 제때 주지 않다니…”

숭례문 복원 진두지휘 신응수 대목장의 일갈

  • 백경선│자유기고가 sudaqueen@hanmail.net

“국보 1호 공사도 도급에 하청, 목수 품값도 제때 주지 않다니…”

1/2
  • 3월 8일 숭례문 상량식이 열렸다. 12월에는 숭례문 복원 공사가 완전히 끝난다. 숭례문 복원공사에 도편수로 참여한 중요무형문화재 신응수 대목장은 “복원된 숭례문을 국민에게 선뵐 날을 생각하면 벌써부터 설렌다”면서도 한편으론 “문화재 뒤편에서 묵묵히 땀 흘린 숨은 노력도 생각해주길 바란다”고 당부했다.
“국보 1호 공사도 도급에 하청, 목수 품값도 제때 주지 않다니…”
숭례문 복원 공사는 12월에 완전히 마무리됩니다. 숭례문은 그전에 볼 수 있을 거예요.”

2008년 2월 방화로 불타버린 숭례문의 복원 공사에 도편수로 참여하고 있는 신응수(70) 대목장은 “10월쯤 복원된 숭례문을 볼 수 있을 것”이라고 귀띔했다. 국민에게 숭례문을 선뵐 날을 생각하면 벌써부터 설렌다고 한다.

신응수 대목장에게 숭례문 복원 공사는 특별한 의미를 지닌다. 1962년 그는 스승 이광규 씨와 함께 숭례문 중수 공사에 참여했고, 그 현장에서 궁궐 복원 도편수로서 전설적인 인물인 최원식 씨의 수제자이자 이광규 씨의 스승인 조원재 씨를 만났다. 당시 숭례문 중수 공사에는 조 씨가 도편수로, 이 씨가 부편수로 참여했다.

보답하는 마음으로…

그는 반세기가 지났지만 그때가 아직도 생생하게 떠오른다고 한다. 그리고 당시 막내(조원재 씨와 이광규 씨의 측근으로 대우를 받긴 했지만 나이로는 가장 막내였다고 한다)였던 그가 지금은 도편수로서 숭례문 복원 공사를 진두지휘하니 감회가 남다르다고 했다.



1958년, 중학교를 졸업한 그는 고향(충북 청원)을 떠나 사촌형이 있는 서울로 올라왔다. 동사무소 급사로 취직해 야간학교에 다닐 꿈을 안고 상경했는데, 취직이 뜻대로 되지 않았다. 하지만 그는 다시 시골로 내려가지 않고 목수인 사촌형을 따라다니며 한옥 공사 현장에서 잔심부름을 하기 시작했다.

“어른들이 대패를 잡아보라고 해서 ‘그냥 한번’ 잡아보았는데, 잘했나 봅니다.(웃음) 다들 입을 모아 사촌형에게 ‘사촌동생 목수 시켜보라’고 그럽디다. 하라 니까 했고, 그렇게 목수가 되었죠.”

목수의 길을 걷게 된 그에게 1960년과 1962년은 잊을 수 없는 해라고 한다. “행운과 기회의 해”라고 그는 말했다. 먼저 1960년, 신촌 봉원사 암자 신축 공사 현장에서 우리나라 고건축의 거목인 이광규 씨를 만났다.

“공사 현장에 있는 사람들 대부분이 40대 후반에서 50대였는데, 그 가운데 어린애가 하나 있으니까 이광규 선생님이 많이 귀여워해주셨어요. 그 인연으로 선생님의 제자가 되었죠.”

그리고 1962년 스승을 따라간 숭례문 보수 공사 현장에서 스승의 스승인 조원재 씨를 만났다.

“지금의 제가 있는 것은 이광규, 조원재 두 분 선생님 덕분입니다. 이광규 선생님이 전통 고건축 대목의 길로 저를 이끌어주셨다면, 조원재 선생님은 저를 큰 대목으로 거듭나게끔 밑바닥부터 단련시켜주셨죠.”

그는 숭례문은 조원재란 아주 소중한 인연을 만나게 해준 곳이기에 “보답하는 마음으로 이번 공사에 최선을 다해 참여했다”고 덧붙였다. 장인들의 기술은 철저한 도제 관계에 의해서만 대물림된다. 장인들의 세계에선 기술의 전수에 따라 한 계보가 만들어지는데, 그는 최원식-조원재-이광규의 계보를 이어 이 시대 ‘최고의 궁궐 복원 도편수’가 된 것이다. 계보 안에서 스승은 절대적인 권위를 차지했다. 시대가 변해 요즘에야 스승과 제자의 관계가 어렵지 않다지만, 1960~70년대만 해도 “감히 스승과는 눈도 못 마주치고 그림자도 밟지 않을 정도로 스승은 어려운 존재였다”고 그는 회상했다.

“궁궐 공사할 때 가장 뿌듯해”

“숭례문 중수 공사에 참여하고 몇 달이 지나자 조원재 선생님께서 안암동 선생님 댁으로 들어오라 하셨어요. 방까지 내주시면서 말이에요. 그렇게 함께 살면서 선생님은 저에게 도면 그리는 법부터 건물의 비례, 장인의 정신과 자세 등을 일일이 가르쳐주셨죠. 하루 종일 무서운 선생님 밑에서 일하고, 일이 끝나고도 같이 지내야 하니까 어렵고 힘들었어요. 그땐 그랬죠.(웃음) 돌이켜보면, 그런 시절이 있었기에 지금의 제가 있는 거죠.”

그는 만일 두 스승을 만나지 못했다면 어쩌면 자신은 작은 한옥을 짓는 일반 목수로 살았을지도 모른다고 이야기했다.

목수의 길을 걸어온 지 올해로 55년째. 그간 그는 목수로서 승승장구했다. 1970년 불국사 복원 공사 때 부편수로, 1975년 수원성 복원 공사 때 도편수로 발탁됐다. 그리고 1991년에는 중요무형문화재 제74호 대목장 기능 보유자로 지정됐다. 도편수는 고건축에서 건물의 중심을 이루는 공사인 대목 분야의 총책임자이며, 대목장은 도편수 중에서 중요무형문화재 보유자로 지정된 대목 분야의 장인을 말한다.

숭례문부터 시작해 경주 불국사, 경주 안압지, 수원 장안문, 창덕궁, 창경궁, 덕수궁, 경복궁, 흥례문에 이르기까지 웬만한 문화재 보수 및 복원 공사는 거의 그의 손을 거쳤다. 그뿐만이 아니다. 단양 구인사, 분당 대광사, 청와대 상춘재와 대통령 관저, 삼청동 총리공관, 고 이병철 삼성 회장의 호암장과 승지원 등의 신축 또한 그의 손으로 이루어졌다.

내로라하는 큰 공사는 모두 그의 손을 거친 것에 대해 그는 “내 복이고 행운이라 생각한다”고 말했다. 수많은 공사 중에서도 특히 애착이 갔던 것이 무엇이냐고 물었다. 그러자 그는 ‘최고의 궁궐 복원 도편수’답게 궁궐 공사할 때 가장 뿌듯하고 보람을 느낀다고 대답했다. 궁궐은 나라의 최고 건물이지 않으냐며 그가 웃었다. 그는 또한 분당의 대광사 미륵보전 신축에 대한 자긍심도 컸다.

“분당 대광사 미륵보전은 660㎡(200평)짜리 건물을 3층으로 올렸어요. 630㎡(190평)짜리를 2층으로 올린 경복궁 근정전도 어마어마한데 그보다도 더 어마어마한 거죠. 목공사 끝나고 현재 단청만 하면 되는데, 완성되면 동양에서 제일 큰 목조건물이 되는 거죠.”

그는 “문화재 보수 공사는 몇 백 년 전 과거를 들여다보는 것”이라며 “거기에서 얻는 희열은 엄청나다”고 했다. 신축 공사 또한 “이 시대에 내 손으로 만든 것들이 언젠가는 우리 문화유산이 될 것이라 생각하면 그에 못지않은 보람과 희열을 느낀다”고 덧붙였다.

1/2
백경선│자유기고가 sudaqueen@hanmail.net
목록 닫기

“국보 1호 공사도 도급에 하청, 목수 품값도 제때 주지 않다니…”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