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트렌드 리포트

은퇴 앞둔 베이비붐 세대의 색다른 죽음 준비

  • 송화선 기자│ spring@donga.com

은퇴 앞둔 베이비붐 세대의 색다른 죽음 준비

1/2
  • ● ‘웰빙’만큼 중요한 ‘웰다잉’
  • ● 죽음준비학교에 은퇴자 몰리는 이유
  • ● 가족 없어도 ‘고독사’ 하지 않게 도와주는 토털 서비스
  • ● 평화롭고 아름다운 죽음 준비하기
은퇴 앞둔 베이비붐 세대의 색다른 죽음 준비
4월 초 서울 노원구 하계동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에서는 ‘아름다운 생애 마감을 위한 시니어 죽음준비학교’가 열렸다. ‘왜 죽음을 준비해야 하는가’에 대한 특강이 진행되는 동안 머리가 희끗희끗한 참석자들은 시종 진지했다. 6월 5일까지 계속되는 이 ‘학교’에서는 죽음을 삶의 일부로 이해하고, 받아들이며, 나아가 적극적으로 준비하는 방법을 가르친다. 수강생들은 자서전 쓰기, 인생 그래프 그리기 등을 통해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사망기(死亡記)를 쓰면서 자신의 죽음을 객관적으로 바라보는 훈련을 한다. 또 유언장 작성, 장묘문화센터 견학 등을 통해 ‘죽음 이후’를 실질적으로 준비하는 시간도 갖는다. 속수무책으로 죽음을 ‘당하지’ 않고 편안하게 ‘맞이하기’ 위해서다. 죽음준비교육 전문 강사인 유경 씨는 “우리가 언제, 어디서, 어떻게 죽을지는 아무도 모른다. 하지만 누구나 죽는다는 것, 죽음에는 순서가 없다는 것, 죽을 때는 아무것도 가져가지 못한다는 것만은 분명하다”며 “죽음준비학교는 이 사실을 깨닫게 하고, 그렇다면 지금 내가 무엇을 해야 할지 생각해보게 하는 과정”이라고 했다.

“내 간(肝)에 종양 10개가 있고 의사들은 석 달에서 여섯 달쯤 살 수 있을 것이라고 하는데, 그 말을 들은 지 한 달이 지났으니 계산은 각자 알아서 하기 바랍니다.”

췌장암으로 시한부 선고를 받은 46세의 랜디 포시 카네기멜런대 컴퓨터공학과 교수는 2007년 9월 학생과 동료들 앞에서 이렇게 말하는 것으로 ‘마지막 강의’를 시작했다. “내가 침울하지 않아서 실망했다면 미안하다. 죽음의 신을 골탕 먹이는 방법은 오래 사는 게 아니라 잘 사는 것”이라고 말한 그는 “아직 어린 세 자녀가 해변으로 밀려온 유리병 속에서 편지를 발견하듯 훗날 이 강의의 동영상을 보며 아버지가 자식들을 얼마나 사랑했는지를 알게 되길 바라는 마음으로 이 강의를 한다”고 밝혔다. 죽음준비교육 전문가들은 랜디 포시의 이 강의를 죽음준비의 모범 사례로 꼽는다. 죽음을 두려워하지 않고 당당하게 맞이하면서 자신의 삶을 정리하고 아내와 자녀에게 아름다운 기억을 선물했기 때문이다. ‘인간다운 삶과 죽음’에 대해 연구하는 오진탁 생사학(生死學) 연구소장(한림대 철학과 교수)은 “죽음 없는 삶은 있을 수 없다. 갑자기 죽음이 찾아와도 편안히 맞으려면 평소 잘 준비해야 한다”고 말한다.

죽음을 준비해야 하는 이유

은퇴 앞둔 베이비붐 세대의 색다른 죽음 준비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의 죽음준비학교에서 한 수강생이 자서전을 쓰며 자신의 삶을 돌아보고 있다.

최근 베이비붐 세대(1955~63년 출생)의 은퇴가 시작되면서 죽음준비교육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통계청에 따르면 우리나라의 베이비붐 세대는 약 712만 명. 전체 인구의 15% 수준이다. 이미 정년을 맞았거나 곧 앞두고 있는 이들은 ‘인생 2막’과 더불어 ‘아름다운 마무리’에도 관심이 많다. 특히 자녀에게 짐이 되지 않도록 건강할 때 스스로의 죽음에 대해 고민하고, 유언장 작성과 장례 및 묘지 준비·상속 등을 마무리하려는 의지가 강하다. 이에 따라 2006년부터 죽음준비학교를 운영해온 시립노원노인종합복지관 외에도 여러 노인복지관과 평생교육기관 등이 ‘하늘 소풍’ ‘아름다운 이별’ ‘해피 엔딩’ ‘웰다잉’ 등의 이름으로 관련 프로그램을 열고 있다. 전문 강사 수가 늘고 강의 지역도 확대되는 추세다. 2002년 우리나라 최초로 죽음준비교육 전문지도자 아카데미를 만든 ‘삶과 죽음을 생각하는 회’는 올해 부산, 대구, 대전, 강릉 등 전국 6개 지역에 지도자 양성 과정을 열고, 지역 주민 5400명을 대상으로 ‘웰다잉 교육’을 실시할 계획이다.



일본에서도 몇 년 전 베이비붐 세대인 ‘단카이(團塊) 세대’(1947~49년 출생)의 은퇴와 함께 ‘종활(終活·슈카쓰)’ 열풍이 시작됐다. ‘인생의 종말을 준비하는 활동’ 정도로 풀이할 수 있는 신조어다. ‘고독사(孤獨死)’가 사회문제로 대두된 일본에서는 매년 3만 명 이상의 노인이 아무도 없는 집에서 홀로 죽음을 맞는다. 비혼·사별·황혼이혼 등 여러 가지 이유로 가족 및 사회와의 인적 네트워크가 끊어진 이들이 사망 후 수개월에서 수년이 지난 뒤 비로소 발견되는 일도 흔하다. 이들 중 상당수는 끝내 시신을 수습하거나 장례를 치러줄 사람을 찾지 못한다. 이런 상황에서 ‘종활’ 열풍은 죽음 관련 산업의 성장을 가져왔다. 2010년 가을 출간 3개월 만에 5만 부가 팔릴 만큼 인기를 모은 ‘엔딩 노트’는 죽음을 준비하는 사람이 자신의 재산 상황과 상속 및 기부에 대한 뜻, 원하는 장례 형태, 가족에게 하고 싶은 말 등을 기록할 수 있도록 만든 책. 이 책의 성공 이후 일본에서는 유사한 서적 출간이 이어지고 있다.

사망 이후 자신의 시신 처리나 유품 정리를 해줄 가족 및 친지가 없는 사람에게 예약을 받아 관련 서비스를 제공하는 업체도 성업 중이다. 이 중 도쿄 오사카 후쿠오카 등 일본 내에 5개 지점을 둔 유품정리 전문 업체 ‘키퍼스’는 2010년 ‘키퍼스 코리아’라는 이름으로 국내에도 진출했다. “천국으로의 이사를 도와드립니다”라는 캐치프레이즈를 내건 이 회사의 김석중 대표는 “부인과 사별한 뒤 홀로 지내왔다는 할아버지가 전화를 걸어‘여기에 부탁하면 정말 내가 죽은 뒤 다 알아서 해주느냐’고 물으신 적이 있다”며 “고객이 원할 경우 유품 정리뿐 아니라 장례업체 소개, 상속 상담, 차량 폐차, 부동산 매매, 시취(屍臭) 제거 등 사망 후 필요한 모든 서비스를 제공한다”고 밝혔다.

최근에는 생전에 가입해두면 사망 후 고인의 시신 화장 및 장례 과정에 참관하는 것부터 유품 정리, 상속 집행 관리까지, 유족이 할 일을 모두 책임지겠다는 업체도 문을 열었다. 유언장 작성 및 공증, 관리 등까지 포함돼 있는 이 회사의 고급 프로그램 가입비는 275만 원이다.

1/2
송화선 기자│ spring@donga.com
목록 닫기

은퇴 앞둔 베이비붐 세대의 색다른 죽음 준비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