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He & She

미술 철학 대중강의 나선 이광래 강원대 명예교수

  • 글· 정현상 기자 | doppelg@donga.com, 사진제공 ·이광래

미술 철학 대중강의 나선 이광래 강원대 명예교수

철학자 이광래(68) 강원대 명예교수가 인문학 부재의 시대에 역저 ‘미술 철학사’로 대중에게 풍성한 교양을 선사한다. 이 교수는 4월 2일 파주 출판단지 내 ‘미메시스 아트 뮤지엄’에서 그 첫 강연에 나선다.

원래 ‘이미지’인 미술에 무슨 철학이 있을까 싶겠지만, 이 교수의 눈에 둘은 서로 궁합이 잘 맞는 보완적 영역이다. 얼마 전 이 교수는 원고지 8400장 분량의 텍스트와 도판을 담은 ‘미술 철학사’(3권)를 출간했다. 1권을 열면 첫 장에 ‘나는 분명히 미술의 역사가 철학적 문제로 점철되어 있다는 생각에 사로잡혀 있다’는 미학자 아서 단토의 글귀가 눈에 들어온다. 그의 분석에 따르면 철학 없이 그림을 그린 이들은 역사에서 금세 사라졌고, 본질적 철학을 파고든 미술가들은 살아남았다.

“미술엔 기술이 아니라 철학이 담겨야 하는데, 요즘 그림을 보면 그렇지 않은 게 많습니다. 역사적으로 봐도 많은 사상가와 예술가가 두 영역의 경계를 허물며 넘나들었지요.”

이 교수는 ‘미술 철학’ 용어를 만들었고, 2002년부터 대학에서 이 주제로 강의했다. 인간의 원초적 욕망이 역사적으로 미술에 어떻게 투영돼왔는지를 ‘미술 철학사’에서 흥미롭게 설명했다.

이 교수는 ‘미셸 푸코 : 광기의 역사에서 성의 역사까지’(1989) 등을 통해 현대 프랑스 철학을 일찍이 국내에 소개한 철학자다. 미술과 문학의 경계를 무너뜨린 작가들의 이야기를 담은 ‘미술과 문학’을 곧 탈고할 예정이며, 필생의 역작이 될 ‘욕망의 철학’도 쓰고 있다.








신동아 2016년 4월호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미술 철학 대중강의 나선 이광래 강원대 명예교수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