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현종(金鉉宗) 신임 외교통상부 통상교섭본부장이 그 주인공이다. 그의 통상교섭본부장 발탁은 여러모로 강금실 전 장관을 떠올리게 하는 깜짝 인사다. 우선 나이가 그렇다. 세계 경제전쟁의 한국군 야전사령관격인 통상교섭본부장은 위상도 장관급이다. 김 본부장은 올해 45세. 전임 황두연 본부장보다 18세 연하이며, 휘하 국장들도 4∼5세 연상이다. 46세에 장관에 올라 50대 간부들을 거느린 강금실 전 장관과 사정이 비슷하다.
또한 강 전 장관이 외부 영입 케이스로 화제를 모은 것처럼 김 본부장도 직업 관료 출신이 아니다. 미국 변호사, 대학교수, WTO(세계무역기구) 법률자문관 등 다양한 경력을 지닌 김 본부장은 지난해 3월 외교통상부 통상교섭조정관으로 영입됐다. 그러니 공무원 경력은 고작 1년 2개월에 불과하다.
통상교섭조정관은 외교통상부에서 이른바 ‘G7(차관·차관보·기획관리실장·외교정책실장·의전장·외보안교연구원장·통상교섭조정관 등 1급 7명)’의 하나로 꼽히는 요직. 외교통상부 고위 관료 출신들이 맡아온 이 자리에 그가 임명된 것도 입이 벌어질 일이었는데, 공무원 조직 입성 1년 만에 장관으로 수직 상승했으니 외교통상부 직원들이 받은 충격은 짐작하고도 남는다.
김 본부장에겐 지연, 학연 등으로 얽힌 두터운 인맥도 없다. 서울에서 태어나긴 했지만, 외교관인 부친을 따라 성장기의 대부분을 해외에서 보냈고 사회 경험도 주로 외국에서 쌓았기 때문이다. 물론 외무·행정고시나 사법시험을 치른 적이 없으니 고시 인맥이 뒤를 받쳐줄 리도 만무하다.
“내 ‘에센스’는 국익”
김현종 본부장의 트레이드 마크는 ‘국익’이다. 입만 열면 ‘국익’ ‘국가관’ ‘애국심’ 같은 ‘교과서 용어’가 튀어나온다.
연봉이 절반 이상 줄어드는 것을 감수하고 외교통상부에 들어간 것에 대해서 그는 “사람들에게는 자신만의 에센스(essence)가 있는데, 내게는 국익과 국가관이 에센스다. 국익을 위해 일할 수 있게 돼 행복하다”며 공복(公僕) 의식을 강조했다. 자녀를 조기 유학 보내는 부모들에겐 “아이들이 한국인이라는 민족 정체성을 잃지 않게 하는 게 가장 중요하다”는 당부를 잊지 않는다. 무역협상을 앞두고 대책회의를 갖는 자리에선 “국익에 도움이 된다고 판단되면 앞만 보고 몰아붙여라”고 주문한다.
초등학교 3, 4학년만 서울에서 다녔을 뿐 중등학교와 대학, 대학원을 모두 미국에서 마치고 직장생활도 미국에서 시작한 김 본부장이 그렇듯 남다른 국가관을 갖고 있다는 게 의아하다. 그는 생각도 영어로 하고 꿈도 영어로 꾸지만 우리말도 잘한다. 그저 불편없이 의사소통을 하는 정도가 아니라 한자어가 수두룩한 공문이나 법전을 읽어내는 데 어려움이 없는 수준이다. 필요한 경우에는 육두문자도 자연스럽게 구사한다.
세 남매 모두 아이비리그 진학
사정이 이렇다 보니 현직과 관련된 얘기뿐 아니라 그의 성장환경과 교육적 배경, 커리어 등 개인사에 대해 궁금해하는 이도 적지 않다. 조기 유학, 미국 명문대(컬럼비아대) 진학, 미국 변호사 자격 취득, 월스트리트 유수의 로펌 근무, 대학교수, 국제기구 활동을 거쳐 모국의 장관직에 오른 과정 하나하나가 시선을 끌기 때문이다.
그의 두 동생도 명문대를 나와 전문직에 종사하고 있다. 남동생 현용(鉉容·43)씨는 스탠퍼드대 비즈니스 스쿨 MBA 출신으로 홍콩의 투자금융회사에 근무하다 최근 홍콩에 회사를 공동 창업해 독립했으며, 스탠퍼드대 로스쿨 법학박사 출신의 여동생 미형(美亨·40)씨는 금호아시아나그룹 수석고문변호사 겸 부사장이다.
김 본부장의 부친은 정통 외교관료로 우루과이, 노르웨이 대사를 지낸 김병연(金炳連·74) 전 코리아헤럴드·내외경제신문 회장. 김 전 회장은 맏아들의 유별난 ‘민족 정체성’이 어린 날의 ‘상처’에서 비롯됐을 것이라고 추측한다.
“일본대사관에 근무할 때 아들이 취학연령이 됐다. 당시만 해도 외교관 자녀에 대한 학자금 보조가 미미해 국제학교는 엄두도 못 내고 동네 소학교에 입학시켰다. 그런데 일본 아이들이 ‘조센징’ 어쩌고 하면서 놀려댄 모양이었다. 제딴은 큰 상처를 받았는지 학교엘 안 가겠다고 했다. 집에서도 설득하고 학교측도 신경을 많이 써줘서 겨우 마음을 돌려놓긴 했는데, 그 무렵부터 ‘나는 이 나라 사람이 아니다’고 의식한 것 같다. 그 후에도 쭉 외국에서 공부했지만 어딜 가도 ‘나는 한국인이다’ ‘아버지가 일을 마치면 우리는 한국으로 돌아가 산다’고 생각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