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논객’ 진중권 탕수육

배고픈 신경세포 잠재우는 새콤달콤한 보복

‘논객’ 진중권 탕수육

1/3
  • 중국 정통요리 중 한국 최고의 베스트셀러는 단연 탕수육이다. 중국에서 태어났지만 꽃을 피운 건 한국이다. 본명은 ‘탕추러우(糖醋肉)’. 설탕, 식초, 고기로 만들었다고 해서 붙여진 이름이다. 자장, 짬뽕과 함께 요식업계 ‘3대 중식’으로 꼽히는 탕수육이 임자를 만났다.
‘논객’ 진중권 탕수육
“‘대통령이국민을 바라보지 않고 거울을 보고 정치하는 것 같아 걱정스럽다.’ 노회찬 의원이 한 말이랍니다. 만일 ‘거울아, 거울아, 이 세상에서 누가 제일 진정하니?’ 거울이 이렇게 대답하면 어떡하죠? ‘그야 물론 수첩 공주님이죠.’”(9월9일 진중권의 SBS전망대)

“참을 수 없는 존재의 천박함이라고 할까요? 전여옥 대변인의 학력 발언은(중략) 공당의 대변인 자리에는 정상적인 사람을 앉혔으면 좋겠습니다. ‘대변인’ 됐다고 입으로 ‘대변’보는 해괴한 분이 아니라….”(6월4일 진중권의 SBS전망대)

진중권(陳重權·42)씨가 매일 아침 출근시간대에 진행하는 라디오 방송 클로징멘트 중 일부다. 제3자라면, 그리고 그의 말에 동조한다면 박장대소할 만한 어깃장이다. 어떤 이는 배설욕구를 대리 충족할 수도 있다. 하지만 당사자라면 웃으려야 웃을 수 없는, 때론 피가 거꾸로 솟구치는 불쾌함을 느끼기에 충분하다.

그에게 ‘논객’이라는 칭호가 괜히 붙은 게 아니다. 어느 누구라도 그의 표적이 되는 순간 논쟁의 전장으로 끌려나올 수밖에 없다. 2000년 그는 정치풍자집 ‘네 무덤에 침을 뱉으마!’를 통해 대표적인 보수논객 조갑제씨의 논리를 통렬하게 비판하면서 안티조선 운동의 선봉에 섰다.

예를 들면 이런 식이다. 조갑제씨의 “친북은 친일보다 더 악질적이다”라는 발언에 대해 진씨는 “강도보다 나쁜 것은 유영철이란 말과 같다. 친일 자체가 잘못인데 이를 옹호해서 피해가겠다는 것은 정직하지 못한 태도다. 안쓰럽다”고 적절한 비유를 섞어가며 상대방 논리의 모순을 적나라하게 파헤쳐버린다.



‘논객’ 진중권 탕수육

“어디서 이런 걸 배웠어?” 어머니 서화순(70)씨가 아들 진중권씨가 만든 탕수육을 맛보며 기특하고 희한하다는 듯 너털웃음을 터뜨렸다.

그에게는 아군과 적군이 따로 없다. 그는 성향이 비슷한 진보논객이자 한때 글을 기고했던 ‘인물과 사상’의 발행인 강준만 교수(전북대 신문방송학과)를 향해서도 비수를 날렸다. 그가 지지했던 유시민 의원(열린우리당)이나 당원으로 가입했던 민노당도 예외는 아니다. 그의 표현처럼 그는 자신의 신경세포에 불쾌한 자극을 가하는 것에 대해서는 철저하게 보복한다. 그것이 그의 즐거움이다.

“인터넷에서 주로 논쟁을 하는데 저는 그걸 즐깁니다. 누구나 즐겨야 합니다. 근본적인 문제는 표현 방법이 아니라 논쟁에서 논리보다 감정이 앞서고 시시비비보다 누구편이냐를 먼저 따진다는 거죠.”

요리 중에도 그의 표적이 된 것이 있다. 서울대 미학과를 졸업하고 대학원에서도 미학을 전공한 진씨가 1994년 독일 베를린자유대학으로 유학을 떠나 그곳 기숙사에서 지내며 언어철학과 박사과정을 밟을 때다. 가난한 유학생들은 음식을 직접 해먹는 경우가 많은데 서로 자신이 터득한 요리비법을 전수하곤 한다. 그때 그가 다른 유학생에게서 전수받은 것이 탕수육이다.

그는 탕수육 장사를 했다. 매주 화요일 기숙사 건물 반지하층에 있던 바를 저녁식사 이후 빌려 맥주와 함께 탕수육과 스시, 우동을 팔았는데 탕수육의 인기가 가장 높았다. 수입도 꽤 괜찮았다. 두 달쯤 장사해서 방학 때 일본인 아내와 함께 처가와 친가를 방문할 비행기표 값을 해결한 것.

요리법은 먼저 돼지고기나 쇠고기를 가늘고 길게 썰어 간장과 후추, 청주를 약간 쳐서 3~4시간 재놓는다. 밑간이 골고루 배면 고기에 달걀과 녹말가루를 섞어 만든 튀김옷을 입혀서 튀긴다. 이때 기름이 너무 뜨거우면 타기 때문에 불의 온도조절이 중요하다. 고기는 튀긴 후 식혔다가 한 번 더 튀겨야 고소해지고 제 맛이 난다.

1/3
글·엄상현 기자 gangpen@donga.com / 사진·김용해 부국장 sun@donga.com
목록 닫기

‘논객’ 진중권 탕수육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