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왼쪽) 작곡가 에드가 바레즈 (오른쪽) 모차르트
20세기에는 각 악기의 새로운 연주법들이 두각을 나타낸다. 현악기에서 줄을 활로 긋지 않고 활대로 때리는 ‘콜레뇨’ 기법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많이 사용된 건 20세기에 들어선 이후다. 헝가리 작곡가 바르톡은 줄을 아주 세게 잡아 뜯어서 ‘탁’ 소리가 나게 했고, 그것은 결국 ‘바르톡 피치카토’라고 불렸다. 관악기를 혀를 입천장에 대고 호루라기처럼 떨어서 소리를 내기도 한다. 피아노는 건반을 두드리는 것이 아니라 뚜껑을 열고 그 안에 있는 줄을 건드려서 소리를 내기도 한다. 악기뿐만이 아니다. 사람의 목소리, 즉 성악도 독특한 발음과 발성이 음악에 반영됐다. 이렇게 작곡가들은 전통적인 악기들이 낼 수 있는 소리의 한계를 넘어섰다.
미국의 작곡가 헨리 카웰(Henry Cowell)은 독특한 피아노 주법으로 유명하다. ‘에올리안 하프’라는 곡은 하프곡이 아니라 피아노곡인데, 뚜껑을 열고 줄을 두드리며 연주한다. ‘밴시’라는 작품에서도 피아노줄을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구둣주걱 같은 것으로 문질러 공포영화 분위기를 자아낸다. 밴시(banshee)는 켈트족의 전설에 등장하는 유령의 이름이다. 구슬픈 울음소리로 가족 중 한 명이 곧 죽게 될 것임을 알리는 여자 유령이다.
여자 유령의 구슬픈 울음소리
가전제품회사로 잘 알려진 필립스도 현대음악 발전에 한몫한 적이 있다. 필립스는 미래지향적인 회사 이미지를 위해 전위적인 형태의 건물을 지으려고 했다. 예술 건축을 아무에게나 부탁할 수는 없어 그 유명한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에게 의뢰했다. 마침내 르 코르뷔지에가 파빌리온이라고 명명된 이 건물을 디자인하고 성대한 준공식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제 준공식에서 울려 퍼질 음악을 맡아줄 작곡가를 선정하는 일이 남았다. 미래지향적인 건물의 준공식인 만큼 전위적인 음악을 작곡하는 사람이 어울릴 것이라는 생각에 현대음악 작곡가인 에드가 바레즈에게 의뢰했다.
바레즈의 ‘전자시대의 시(Poeme Electronique)’라는 작품은 이렇게 탄생했다. 400개의 확성기를 통해 종소리와 삑삑대는 고주파소리, 전자음으로 만들어진 삐걱거리는 소리, 경찰차의 사이렌 소리, 그리고 그레고리안 성가인지 원주민 부족의 노래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이상한 톤으로 중얼거리는 소녀의 기괴한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이런 음악을 듣고 르 코르뷔지에는 같은 예술가로서 좋아했을지 모르지만 필립스 측은 적잖이 당황했을 것이다. 후배들보다 더 전위적이었던 바레즈는 이 일로 더 유명해졌다.
클래식음악의 역사는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가 점령하고 있었다. 그러다 19세기 중반에 러시아가 낭만음악의 바통을 이어받았고, 체코에서 드보르작과 말러 같은 위대한 음악가를 탄생시키기도 했지만 근대음악은 영국과 프랑스가 이끌어간다. 20세기가 되자 훨씬 다양한 나라들이 클래식음악사에 동참한다. 브라질의 에이토르 빌라로보스(Heitor Villa-lobos)는 관악을 포함한 실내악, 관현악, 성악곡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장르에서 자국의 음악을 현대성의 경지에 올려놓았다. ‘브라질풍의 바흐(Bachianas brasileiras)’는 바흐의 작품을 아름답게 편곡한 것이다. 그러나 그 역시 현대음악가라 다른 작품에서는 매우 전위적이다. 하지만 대중이라는 끈을 놓지 않았고 전통과 전위를 잘 혼합한 작품을 내놓았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