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괴상한 현대음악의 이유 있는 역사

괴상한 현대음악의 이유 있는 역사

1/4
  • 현대인임에도 ‘현대’란 말이 붙은 예술장르는 난해하다. 현대소설은 무슨 얘기를 하는지 모르겠고, 현대미술은 이게 작품인가 싶을 때가 있다. 현대음악도 마찬가지다. 듣는 것 자체가 곤욕일 때도 있다. 모차르트 음악 역시 바흐 음악에 익숙한 사람들로부터 ‘가볍고 과장됐다’는 혹평을 받았다. 위대한 전통을 만들어낸 사람들도 처음엔 새로운 것을 추구했다.
괴상한 현대음악의 이유 있는 역사

(왼쪽) 작곡가 에드가 바레즈 (오른쪽) 모차르트

‘현대음악’을 말 그대로 정의해보면 ‘지금 존재하고 만들어지는 음악’이지만, 클래식음악에서 현대음악은 조금 다르게 분류된다. 쉽게 말해 브리트니 스피어스나 원더걸스의 노래를 현대음악이라고 하지 않는다. 일단 대중음악은 제외하고 ‘순수음악’ 안에서 이야기한다. 그런 다음 우리와 동시대 사람이 작곡한 ‘순수’ 음악을 포함한다. 죽은 사람의 것이라도 두 번째 경우에 속한 음악과 같거나 그 음악에‘영향’을 줬으면 그것도 현대음악이다. 1995년에 타계한 윤이상의 음악, 1992년에 타계한 존 케이지의 음악은 분명 20세기 음악이고, 지금은 21세기지만 우리는 현대음악이라고 부른다. 지금의 음악에 분명한 영향을 행사하고 있고, 오늘날의 음악이 그 범주 안에 있기 때문이다. 그렇기에 우리는 20세기 초의 음악도 현대음악이라고 부르며, ‘괴상한 음악’이라고도 표현한다.

20세기에는 각 악기의 새로운 연주법들이 두각을 나타낸다. 현악기에서 줄을 활로 긋지 않고 활대로 때리는 ‘콜레뇨’ 기법은 오래전부터 존재했지만 많이 사용된 건 20세기에 들어선 이후다. 헝가리 작곡가 바르톡은 줄을 아주 세게 잡아 뜯어서 ‘탁’ 소리가 나게 했고, 그것은 결국 ‘바르톡 피치카토’라고 불렸다. 관악기를 혀를 입천장에 대고 호루라기처럼 떨어서 소리를 내기도 한다. 피아노는 건반을 두드리는 것이 아니라 뚜껑을 열고 그 안에 있는 줄을 건드려서 소리를 내기도 한다. 악기뿐만이 아니다. 사람의 목소리, 즉 성악도 독특한 발음과 발성이 음악에 반영됐다. 이렇게 작곡가들은 전통적인 악기들이 낼 수 있는 소리의 한계를 넘어섰다.

미국의 작곡가 헨리 카웰(Henry Cowell)은 독특한 피아노 주법으로 유명하다. ‘에올리안 하프’라는 곡은 하프곡이 아니라 피아노곡인데, 뚜껑을 열고 줄을 두드리며 연주한다. ‘밴시’라는 작품에서도 피아노줄을 사용하는데, 이번에는 구둣주걱 같은 것으로 문질러 공포영화 분위기를 자아낸다. 밴시(banshee)는 켈트족의 전설에 등장하는 유령의 이름이다. 구슬픈 울음소리로 가족 중 한 명이 곧 죽게 될 것임을 알리는 여자 유령이다.

여자 유령의 구슬픈 울음소리

가전제품회사로 잘 알려진 필립스도 현대음악 발전에 한몫한 적이 있다. 필립스는 미래지향적인 회사 이미지를 위해 전위적인 형태의 건물을 지으려고 했다. 예술 건축을 아무에게나 부탁할 수는 없어 그 유명한 건축가 르 코르뷔지에에게 의뢰했다. 마침내 르 코르뷔지에가 파빌리온이라고 명명된 이 건물을 디자인하고 성대한 준공식을 기다리고 있었다. 이제 준공식에서 울려 퍼질 음악을 맡아줄 작곡가를 선정하는 일이 남았다. 미래지향적인 건물의 준공식인 만큼 전위적인 음악을 작곡하는 사람이 어울릴 것이라는 생각에 현대음악 작곡가인 에드가 바레즈에게 의뢰했다.



바레즈의 ‘전자시대의 시(Poeme Electronique)’라는 작품은 이렇게 탄생했다. 400개의 확성기를 통해 종소리와 삑삑대는 고주파소리, 전자음으로 만들어진 삐걱거리는 소리, 경찰차의 사이렌 소리, 그리고 그레고리안 성가인지 원주민 부족의 노래인지 구분이 안 갈 정도로 이상한 톤으로 중얼거리는 소녀의 기괴한 목소리가 흘러나왔다. 이런 음악을 듣고 르 코르뷔지에는 같은 예술가로서 좋아했을지 모르지만 필립스 측은 적잖이 당황했을 것이다. 후배들보다 더 전위적이었던 바레즈는 이 일로 더 유명해졌다.

클래식음악의 역사는 이탈리아, 독일, 오스트리아가 점령하고 있었다. 그러다 19세기 중반에 러시아가 낭만음악의 바통을 이어받았고, 체코에서 드보르작과 말러 같은 위대한 음악가를 탄생시키기도 했지만 근대음악은 영국과 프랑스가 이끌어간다. 20세기가 되자 훨씬 다양한 나라들이 클래식음악사에 동참한다. 브라질의 에이토르 빌라로보스(Heitor Villa-lobos)는 관악을 포함한 실내악, 관현악, 성악곡에 이르기까지 거의 모든 장르에서 자국의 음악을 현대성의 경지에 올려놓았다. ‘브라질풍의 바흐(Bachianas brasileiras)’는 바흐의 작품을 아름답게 편곡한 것이다. 그러나 그 역시 현대음악가라 다른 작품에서는 매우 전위적이다. 하지만 대중이라는 끈을 놓지 않았고 전통과 전위를 잘 혼합한 작품을 내놓았다.

1/4
조윤범│현악사중주단 콰르텟엑스 리더 yoonbhum@me.com│
목록 닫기

괴상한 현대음악의 이유 있는 역사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