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한국농어촌공사가 주최한 2009 농어촌산업박람회.
“노사합의를 통해 전체 인력의 15%에 해당하는 844명을 감축했습니다.”
▼ 고통의 ‘분담’은 무슨 의미죠?
“전 직원을 대상으로 투표를 실시했습니다. 그 결과 남은 직원들이 자신의 연봉에서 5~30%인 87억원을 떼어 퇴직 직원들에게 드렸어요. 나는 절반을 내놓았습니다.”
▼ 공공기관이 회사 돈이나 국민 세금으로 명예퇴직금을 과다하게 지급해 문제가 되는 경우는 종종 있었는데….
“직원들이 자신의 월급에서 드린 것이니 윤리적 문제가 없는 일이죠. 공기업 직원들이 나가는 분들에게 이렇게 예의를 갖춘 경우는 없었어요. 또한 우리 노사는 공기업 최초로 ‘노동조합의 경영 및 인사 불개입 원칙’을 선언하고 단체협약을 체결했습니다.”
농어촌공사 사업 중 정부 정책사업 비중은 98%에 달한다. 정부 예산이 없어 농업 종사자의 요구를 수용하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했다. 홍 사장은 “자립도를 높이기 위해 충남 당진 도비도 개발권 등 여러 자체 수익사업을 개발했다”고 말했다.
과거 농어촌공사는 승진인사를 둘러싼 잡음으로 이미지가 훼손되는 일이 있었다고 한다. 농어촌공사 관계자는 “불합리한 인사제도와 취약한 부패척결 시스템이 근본 원인이었다”고 설명했다. 앞으로 농어촌공사 직원들은 인사-승진에서 까다로운 평가를 받게 된다고 한다.
“개방형 승진심사 제도를 도입해 투명성을 확보했다. 승진심사위원회를 구성하고 심사 때마다 심사위원 인력 풀(pool)에서 위원을 무작위로 선정한다. 위원 10명 중 3명은 감사원, NGO 등 외부인사로 채울 예정이다. 부정 승진자는 한 직급 강등된다. 이와 함께 ‘상시퇴출프로그램’도 전격 시행했다.”(홍보팀 박재근 차장)

▼ 저수지 주변 개발 사업은, 말 그대로 저수지 주변을 개발하겠다는 취지인 듯한데 이 사업을 해야 하는 이유는 무엇인가요?
“저수지 주변이 무분별하게 난개발되고 오염되는 것을 막아야 해요. 그렇다고 지금처럼 방치하는 것도 바람직하지는 않습니다. 저수지 주변 개발사업은 우리나라 농어촌의 저수지 주변을 친환경적으로, 체계적으로 개발해 새로운 부가가치를 창출하는 사업이에요. 낙후되어만 가는 농어촌을 되살리기 위해선 꼭 필요한 사업이라고 생각합니다.”
“전국 저수지를 관광명소로”
▼ 구체적으로 저수지 주변에 어떤 것을 들여놓겠다는 건가요?
“먼저 해당 지역의 특산물을 사고파는 농수산물 직거래장터를 세울 겁니다. 해당 시장 군수가 품질을 보증하는 친환경 고품질 농수산물만 취급합니다. 대신 시중가격보다 10% 정도 싸게 판매해 도시의 실수요자들이 찾도록 할 겁니다.”
▼ 도시에 사는 사람들이 농수산물 사러 시골 저수지까지 갈까요?
“유스호스텔, 오토캠핑장, 텐트야영장을 농수산물 직거래장터와 함께 만들 겁니다. 향토문화역사관 등 다양한 볼거리 시설도 설치합니다.”
▼ 메말라 있거나 주변이 지저분해 관광지로서의 가치가 떨어지는 저수지도 많은 것으로 아는데….
“전국에 1만7679개의 저수지가 있어요. 이 중 만들어진 지 50년 이상 된 저수지가 1만981개로 전체의 62%에 달합니다. 노후화가 심각해요. 저수지가 풍부한 수량을 가질 수 있도록 하고 주변도 깔끔하게 정비할 겁니다.”
농어촌공사는 “저수지 주변 개발 사업을 전국에 걸쳐 체계적으로 추진하기 위해서는 이 사업을 지원하는 새로운 법률을 만들어야 한다”고 판단했다. 직거래장터, 유스호스텔 등 상업시설, 숙박시설을 저수지 주변에 짓는 건 현행법으로는 어려움이 있었을 것이다.
이에 공사 측은 해당 정부 부처와 국회 상임위 여야 의원들을 찾아다니며 이 사업의 필요성을 역설했다. “특별법을 발의해 통과시켜달라”고 줄기차게 요청했다. 이렇게 하여 마침내 지난 4월 ‘농업생산기반시설 및 주변 지역 활용에 관한 특별법’이 국회를 통과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