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자립정신 일깨워준 매정한 어른

자립정신 일깨워준 매정한 어른

1/4
  • 아버지는 항상 내 머리 위에 올라가 있던 무거운 바윗돌 같은 존재였다.
  • 나는 그렇게 권위적인 아버지가 싫었고, 그 아버지로부터 빨리 벗어나려고 몸부림쳤다.
  • 어느덧 세월이 지나 노인이 된 나는 지난 세기 일본은 ‘아버지 죽이기’에 몰두한 사회였다는 것을 발견했다. 일본에 아버지는 없다.
자립정신 일깨워준 매정한 어른

구로다 특파원의 부친 구로다 쓰카사(黑田司)씨는 결혼 후 구로다 특파원의 형(1936년 생)을 낳은 후 1937년 중일전쟁이 일어나자 육군 공병대 병사로 입대했다. 제대하고 나서 구로다 특파원이 태어났는데, 부친은 다시 출전해 대만과 필리핀전선에 투입되었다.

일본에 전해 내려오는 옛말에 ‘효도하고 싶을 때 부모님은 안 계신다’ 라는 게 있다. 살아 생전에 부모님께 효도하지 못한 것에 대한 후회와 죄송스러운 마음을 나타내는 말이다. 자식들은 부모가 돌아가시고 난 뒤에야 효도를 생각하는데, 그때는 이미 늦다. 한국 사회는 일본보다 유교적인 가치관이 강하게 남아 있어, 이런 옛말이 없는지도 모르겠다. 효도하고 싶을 때 부모는 안 계신다. 지금 이 말은 내 가슴에 깊숙이 새겨져 있다.

나의 부모님은 1980년대에 돌아가셨다. 두 분 다 70대였다. 지금은 80 인생이 보통이지만, 나름대로 장수하셨다고 해도 좋을 것이다. 나는 4형제 중에 둘째다. 그런데 한국에 살았기 때문에 부모님의 임종을 지키지 못했다. 항상 멀리 떨어져 있다 보니 제대로 효도 한번 못했다.

지금의 일본은 국가적으로나 민족적으로 쇠퇴의 길을 걷고 있다. 국민적 작가로 존경받다 10년여 전에 사망한 유명 작가 시바 료타로(司馬遼太郞)씨는 일본 국민에게 다음과 같은 유언을 남겼다. “아름답게 늙자”라고.

아버지를 죽인 일본의 근대화

일본은 이미 고령화사회가 된 지 오래다. 도처에서 노인들이 눈에 띈다. 나도 이제는 그런 사람 중에 한 명이 되었다.



나는 불효자였지만, 한 가지 효도는 했다고 생각한다. 부모님이 내 걱정은 하지 않게 살아왔다는 점이다. 학교성적이나 취업, 가정생활, 돈문제. 무엇하나 걱정을 끼쳐드리지 않았다.

그런데 걱정을 끼쳐드리지 않은 것이 오히려 불효였는지도 모르겠다는 생각이 든다. 나는 의존하지 않는 ‘독립정신’을 부모님으로부터 배워 그렇게 살았다. 그러다 보니 자연 부모님 곁을 일찍 떠나 사회인으로서 독립 생활을 하게 됐는데, 이것이 결과적으로 부모님과 소원해지는 요인이 됐다.

‘개인으로서의 독립정신’과 ‘부자(父子)간의 정’은 원래 대립하는 것이 아닐지도 모른다. 그러나 젊은 시절의 나는, 이 둘을 공존시키는 지혜가 부족했다. 내가 젊었던 시절 일본에서는 근대적인 정신을, ‘자아확립’ 즉 가족으로부터 개인을 독립시키는 것이라 생각했다. 이를 위해서는 먼저 ‘부자간의 정’에서 벗어나야만 했다. ‘근대화 일본의 아들’중의 한 명인 나는 그렇게 믿고 그렇게 살려고 노력해왔다.

내가 특파원으로 서울에 온 것은 1980년 9월이었다. 그해 일본의 NHK TV는 대하드라마 ‘사자(獅子)의 시대’라는 사극을 방영하고 있었다. 이 드라마는 일본의 근대화혁명인 메이지(明治)유신을 소재로 한 것이었다. 드라마의 무대가 된 곳은 내 고향인 사쓰마(현재의 가고시마·鹿兒島)였다. 사쓰마 출신 엘리트들은 메이지유신의 주체세력으로, 메이지 정부에서 군이나 경찰 같은 권력의 핵심을 차지했다.

메이지 정부는 근대화를 위해 신분제를 폐지하고 그때까지의 지배계급이던 무사계급을 없애버렸다. 메이지유신이라는 근대화혁명을 일으킨 것은 무사계급이었지만, 혁명에 성공한 후 이들은 스스로 계급적 특권을 포기한 것이다. 이것은 세계 역사에서 전례 없는 일로 메이지유신 혁명만이 갖고 있는 독특한 특징이다.

이러한 정책에 반대하는 무장반란이 공교롭게도 메이지유신을 일으킨 사쓰마에서 일어났다. 반란을 일으킨 것은 수구적인 무사계급이었다. 그러자 신정부는 무력을 동원해 이들을 진압했다. 사쓰마는 일본의 남서부에 위치했기(규슈 섬 남쪽) 때문에 ‘서남전쟁’으로 불렸는데, 내란은 거의 8개월간 지속되었다.

‘사자의 시대’에는 이러한 역사가 잘 그려졌다. 주인공은 혁명주체세력으로 중앙정부의 사법관료가 된 청년이었다. 주인공은 고향에서 일어난 무장반란을 진압하는 정부군의 참모로 임명돼, 고향인 사쓰마로 파견된다. 그리고 반란군에 가담하고 있던 아버지를 죽인다.

이 장면에는 ‘국민통합’과 ‘국가통합’을 위해서는 ‘부자간의 정’이나 ‘고향에 대한 배려’를 거부해야 한다는 메시지가 담겨 있었다. 이것이 바로 일본에 있어서는 근대화를 의미했다.

일본은 아버지를 죽임으로써 근대화를 달성했다. 그래서 일본의 근대사는 슬픈 역사인 것이다.

‘아버지를 죽인다’는 것은 상징적인 표현이다. 부드럽게 말하면 이것은 ‘부자간의 정에 대한 거부’이고 ‘가족과 혈연에 대한 부정(否定)’이다. 일본사람은 근대화를 위해서는 이렇게 하는 것이 필수라고 여기고 실천했다. 나도 그런 교육을 받았고 그렇게 자랐다.

1/4
글: 구로다가쓰히로 일본 산케이신문 서울지국장
목록 닫기

자립정신 일깨워준 매정한 어른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