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궁금하다. 어떻게 일본인도 아닌 한국인이 만든 앱이 일본 시장에서 1위를 할 수 있었을까? 코코네 창업자를 보면 절로 ‘아~’ 소리가 나온다. 천양현 코코네 대표는 일본 온라인 게임업계를 개척한 독보적인 인물이다. 2000년 일본에서 한게임재팬을 설립했고 2003년 한게임재팬과 네이버재팬 합병 이후 NHN재팬 대표이사로 취임했다.
NHN 퇴직 아닌 졸업
2000년만 해도 PC게임 위주이던 일본 게임업계에서 온라인 게임 시장은 황무지였다. 2000년 등장한 한게임재팬은 판도를 바꿨다. 2004년 한게임재팬은 사이트에 10만명이 동시 접속하는 기록을 세웠고, 2007년에는 연 이익이 100억엔을 돌파했다. 지금도 한게임재팬은 온라인게임 업계에서 독보적이다.
2009년 천 대표는 NHN재팬을 떠났다. 그는 “퇴직이라기보다는 ‘졸업’”이라며 “NHN재팬이 새로운 생각을 받아들여 더 성공할 수 있도록 자리를 비켜줬다”고 말했다. 2년 만에 돌아온 천 대표. 그런데 왜 하필 교육 사이트일까?
“인터넷 사업을 10년간 하면서 인터넷 비즈니스가 얼마나 발전하는지 아주 가까이서 지켜봤죠. 검색, 전자상거래 등 많은 게 발전했지만 언어 교육 서비스는 제자리더라고요.”
▼ 인터넷 교육 사업이 발전 안 했다고요? 메가스터디 등 e-러닝 사업이 승승장구하는 걸로 알고 있는데요?
“e-러닝 사업은 동영상 서비스가 대부분입니다. 동영상 서비스는 쌍방향이 아닌 일방향이에요. ‘인터넷 서비스’라기보다는 인터넷 회선을 이용한 ‘교육서비스’에 가까워요. 이 경우 고객이 중시하는 건 동영상 내 선생님의 강의지, 인터넷이나 서비스 모델이 아니에요.”
▼ ‘코코네’가 다른 e-러닝과 다른 점은 무엇입니까?
“코코네는 일방적인 언어 학습 사이트가 아닙니다. 게임, 커뮤니티, 커뮤니케이션을 한데 모았습니다. 애니메이션, 게임을 하면서 재밌고 자연스럽게 공부할 수 있고, 반복 학습을 하면서 자연스레 언어를 습득하죠. 문법 지식이 아니라 언어에 대한 이미지를 형성하고 자연스럽게 받아들여요. 공부뿐 아니라 가상현실에서 친구도 만날 수 있어요.”
천 대표는 “보면서 설명해야 한다”며 노트북으로 코코네 일본사이트에 접속했다. 피곤한 듯 연신 얼굴을 비비던 그의 눈에 갑자기 생기가 돌았다. 천 대표는 “저는 코코네 프로그램 보면서 설명할 때 가장 기뻐요. 온갖 고생하며 만든 거라 자랑하고 싶어요”라며 활짝 웃었다.
언어를 순차적으로 이해하는 원리 이용
코코네재팬은 귀엽다. 마스코트인 하늘색 스마일은 기분 좋은 미소를 지었다. 일본 애니메이션과 문구류가 그렇듯 아기자기한 멋이 있다. 외국인이 한국어를 공부할 때 가장 어려워 하는 것은‘이, 가, 는’ 등 조사 의미는 비슷한데 뉘앙스, 상황별로 쓰임새가 다르다는 점. 그는 “전치사 공부를 한 방에 마칠 수 있는 비결이 있다”며 ‘문장연습’을 클릭했다.
사진 속에는 신랑이 신부 들러리 6명에게 둘러싸여 행복한 미소를 짓고 있다. 그리고 음성으로 “The groom is standing among the bridemaid(신랑이 신부 들러리에게 둘러싸여 있다)” 문장이 나왔다. 이어 음성은 ‘the groom’ ‘is stan-ding’ ‘among’ ‘the bridemaid’ 라고 덩어리(chunk)별로 읽어줬다. 갑자기 화면 속 ‘말 덩어리’ 순서가 뒤바뀌었다. 이용자가 각 덩어리를 클릭해 문장을 순서에 맞게 만들어야 하는 것. 깔깔 웃으며 반복하다보니 그토록 헷갈렸던 전치사 ‘among’에 대한 ‘느낌’이 머릿속에 콕 박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