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이회창 대선자금 ‘목격자’ 이두아 변호사 전격 증언

“昌측, 대선잔금 세탁하고 ‘이수연 보호’ 위해 검찰진술 조작”

이회창 대선자금 ‘목격자’ 이두아 변호사 전격 증언

1/7
  • “삼성 채권, 수연씨 친구 5개 차명계좌로 현금화”
  • “이회창 가족이 대선잔금 보관·사용” 논란
  • “검찰 수사 앞두고 ‘이수연’이 ‘서정우’로 둔갑”
  • “가공의 인물, 시점, 장소, 정황 꾸며 말 맞추기” 논란
  • 핵심인사 “대선 자금, 한복 구입에도 사용”
  • 강훈 “서정우, 삼성 채권 교환한 수표로 昌 여비 제공”
  • “대선자금 보관한 적도, 사용한 적도 없다”
이회창 대선자금 ‘목격자’ 이두아 변호사 전격 증언
검찰은 2004년 5월 ‘2002년 대선자금 사건’과 관련해, 한나라당의 불법 대선자금 규모는 823억2000만원이고 민주당의 불법 대선자금은 113억8700만원이라고 밝혔다. 이후 한나라당은 24억7000만원, 민주당은 6억원이 추가로 드러났다.

당시 검찰 수사결과에 따르면 한나라당 김영일 사무총장은 삼성 측이 준 대선자금 324억7000만원 중 선거운동에 사용하고 남은 잔금 138억원(무기명 국민주택채권)을 이회창 전 총재의 최측근인 서정우 변호사에게 전달했다. 서 변호사는 대선 당시 삼성으로부터 대선자금을 직접 받아 한나라당 측에 전달한 당사자였다.

서 변호사는 대선 잔금 138억원을 당시 삼성 구조조정본부 김인주 사장에게 반환한 것으로 되어 있다. 검찰 조사결과에는 이회창 전 총재가 대선자금의 모금-사용-잔금 반환에 관여하지 않은 것으로 돼 있었다.

이회창 측의 ‘시사IN’ 고소

이후 검찰은 삼성이 2000년 10월부터 2002년 12월까지 전 삼성증권 직원 최모씨 등을 통해 명동 사채시장 등지에서 사들인 국민주택채권 837억원어치를 밝혀냈다. 이중 2002년 대선에 사용된 채권은 361억1000만원 정도(한나라당 324억7000만원, 민주당 21억원, 자민련 15억4000만원)여서 나머지 443억3000만원의 용처에 대한 의혹이 제기됐었다. 한나라당 측이 대선자금을 모두 선거운동에만 사용했다는 점을 믿을 수 없다는 의혹, 검찰 발표보다 더 많은 대선잔금이 있다는 의혹이 제기됐다. 노무현 대통령 측에 대해선 한나라당에 비해 기업체로부터 받은 돈이 지나치게 적다는 의혹이 여러 언론에서 제기됐다.



이회창 전 총재가 지난해 11월 한나라당을 탈당, 무소속으로 대선에 출마하자 2002년 대선자금 관련 논란이 다시 불거졌다. 이런 가운데 시사주간지 ‘시사IN’은 제11호, 제12호 기사에서 “이회창씨가 2002년 대선잔금을 직접 보관하고 그 중 일부를 사용했다”는 주장을 기사화했다.

‘출국금지’와 ‘고소취하’

이 전 총재 측은 기사 작성자인 고재열 기자를 ‘공직선거법상 선고보도 위반’ 혐의로 검찰에 고소했다. 사건을 맡은 서울지검 공안1부는 기사의 사실관계 파악을 위해 대선잔금 유용 의혹에 대해 수사했다.

그런데 검찰은 2008년 1월28일 이 전 총재의 차남 수연씨와 서정우 변호사에 대해 출국금지 조치를 취했다. 고소인 측에 대한 출국금지는 이례적 조치였다. 당장 이 전 총재 측은 “(자유선진당) 창당 방해공작”이라며 크게 반발했다.

한편으로 이 전 총재 측은 1월26일 고 기자에 대한 고소를 취하했다. 그러나 검찰은 고소 취하와 관계없이 대선잔금 유용의혹 부분의 수사를 진행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졌다. 이 때문에 이 문제는 대선잔금 의혹의 확산, 정치보복 논란 등 쟁점이 되고 있다. 상당수 언론 보도는 검찰이 출국금지 이유에 대해 설명하지 않고 있는 점을 근거로, ‘정치보복’ 주장에 동조하는 경향을 보였다.

1/7
허만섭 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이회창 대선자금 ‘목격자’ 이두아 변호사 전격 증언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