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나가수’ 임재범 노래가 감동 주는 생물학적 이유

‘나가수’ 임재범 노래가 감동 주는 생물학적 이유

1/4
  • 가수들이 노래실력을 겨뤄 탈락자를 정하는 MBC 음악프로그램 ‘나는 가수다’가 연일 화제다. 임재범은 뛰어난 가창력으로 시청자를 매료시키며 스타덤에 올랐다. ‘나가수’의 노래가 감동을 주는 생물학적 이유가 무엇인지 알아봤다.
‘나가수’ 임재범 노래가 감동 주는 생물학적 이유
‘나는 가수다’는 수백만 명의 시청자를 TV 앞으로 불러 모은다. 이 프로그램의 진행 내용 그 자체가 뉴스가 되고 있고 사회적으로 큰 파장을 일으킨다.

심지어 방송될 내용을 미리 흘려 김을 빼는 스포일러마저 등장하고 있다. 출연자인 임재범과 이소라가 싸웠다는 엉뚱한 소문으로 인터넷이 시끌벅적하기도 했다. JK김동욱이 가사를 잊어 재녹화했고 이것이 불공정하다는 이유로 당사자가 하차하기로 했다는 소식까지 들린다.

‘나는 가수다’뿐 아니라 ‘세시봉 콘서트’ ‘슈퍼스타 K’ ‘위대한 탄생’ 같은 음악 프로그램이 최근 인기다. 이러한 현상은 우리의 귀가 감동에 얼마나 굶주려 있었는지를 보여준다. 첨단 음향장비로 다듬어 만든 음악이 아니라, 진짜 목소리로 들려주는 음악을 듣고 싶어하는 것이다. 출연자들이 기타를 치는 모습이 방영된 뒤 통기타가 불티나게 팔린다는 뉴스도 있다.

일종의 아날로그가 주는 감성이다. 1990년대 초 서양의 언플러그드 음악 열풍이 떠오르기도 한다. 그렇다면 때로 거칠기도 하고 애절하기도 한 가수들의 걸러내지 않은 목소리가 왜 우리에게 감동을 주는 것일까? 또한 사람이 동물과 달리 그렇게 촉촉하거나 굵거나 감미롭거나 청아한 온갖 소리를 낼 수 있는 이유는 무엇일까?

목소리와 기타의 원리



사람은 부모에게서 목소리의 특성을 물려받는다. 대체로 아들은 아버지, 딸은 어머니와 목소리가 비슷하다. 성대와 머리의 형태가 부모와 비슷하기 때문이다. 악기를 피리 비슷하게 만들면 피리 비슷한 소리가 나고, 나팔 비슷한 형태로 만들면 나팔 비슷한 소리가 나는 것과 같은 이치다. 말투도 부모에게서 배울 테니 부모와 더욱 비슷해진다.

목소리를 만들어내는 곳은 성대다. 성대는 목에서 공기가 지나가는 통로에 있는 엄지 손톱만한 기관이다. 위에서 보면 납작한 고무 밴드가 두 개 걸쳐 있는 듯하다. 숨을 내쉬면 폐에서 나오는 공기의 압력에 고무 밴드가 양쪽으로 벌어진다. 이때 소리가 생긴다.

성대가 전부는 아니다. 기타를 예로 들어보자. 줄을 튕기면 진동하면서 소리를 낸다. 이 소리의 근원이 음원이다. 그러나 실제로 기타 줄에서 나는 소리는 어느 한 음이 아니라 여러 음이 뒤섞인 것이다. 줄의 장력과 길이가 완벽하게 고정된 것이 아니기에 진동할 때 예를 들어 ‘솔’이라는 음이 주로 나더라도 다른 음들도 섞인다. 기타의 몸체인 울림통은 이 잡음들을 걸러내 ‘솔’이라는 소리만 증폭시킨다. 증폭된 소리는 기타 한가운데에 있는 구멍을 통해 나온다. 구멍은 확성기 역할을 한다.

목소리를 낼 때에도 마찬가지다. 성대가 음원이라면 성대부터 입까지 이르는 통로는 울림통 역할을 한다. 성도라고 하는 이 울림통은 길이가 15~20㎝쯤 된다. 성도를 통해 걸러지고 증폭된 목소리는 입을 통해 밖으로 나온다.

1/4
이한음 | 과학칼럼니스트 lmglhu@hanmail.net
목록 닫기

‘나가수’ 임재범 노래가 감동 주는 생물학적 이유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