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故 조경철 박사 묘소.
과학계에서 우리나라 최초의 스타가 바로 조경철 박사일 것이다. 그는 천문우주 교양서를 100권 이상 썼고, 대중 강연을 수도 없이 했다. ‘과학의 달’ 4월을 맞아 독자들이 과학자의 역할에 대해 생각해봤으면 한다. 학교와 연구소에서 묵묵히 연구에 전념하는 과학자들도 중요하지만, 이들의 업적을 널리 알리는 것도 중요한 일이다. 나는 조 박사를 우리나라 최고의 ‘과학 유통가’였다고 말하고 싶다.
봄날 ‘소풍’ 다녀간 조경철 박사
나는 조 박사와 함께 여러 나라를 다니며 천문 현상을 관찰했다. 1995년 10월이었다. 태국의 나콘사완에서 개기일식을 관측했다. 당시 67세였던 조 박사는 밤을 꼬박 새우며 촬영 준비를 했고, 20여 명의 한국 관측팀 중 가장 멋진 개기일식 사진을 찍었다. 그는 내게 한 가지 부탁을 했다. 그의 고향인 평양에서 2035년 9월에 있을 개기일식을 관측하러 갈 때 자신이 갈 수 없는 처지라면, 자신의 무덤을 파서 뼛조각이라도 가져가달라는 것이었다.

머리털자리 은하단.
자, 이제는 봄철의 밤하늘 이야기를 시작한다. 사실 봄에는 황사와 안개 때문에 맑은 하늘을 보기가 쉽지 않다. 1년 중 별 보기가 가장 힘든 계절이 바로 봄이다.
봄철 밤하늘의 가장 큰 특징은, 우리 은하 너머 먼 우주를 볼 수 있는 기회를 준다는 것이다. 지구에서 볼 때 봄철 별자리가 모여 있는 하늘 부분은 우리 은하의 북극 방향으로, 은하 평면에 비해 별이 많지 않다. 하지만 여기엔 우리가 볼 수 있는 외부 은하의 절반 이상이 모여 있다. 그중 은하들이 조밀하게 모여 있는 지역을 ‘성운의 집’이라고 한다. 100년 전만 하더라도 은하와 성운을 구별하지 못해 ‘은하의 집’이라 하지 않고 ‘성운의 집’이란 이름이 붙여졌다. 우리는 수많은 은하 중 하나인 ‘우리 은하’ 속에 살고 있다.
우주에는 우리 은하처럼 1000억 개 이상의 별을 가진 은하가 1000억 개 정도 된다. 1000억의 1000억 배에 달하는 많은 별 중 하나인 태양, 그 태양 아래서 우리는 살고 있다. 그 많은 별 중 어딘가에서 또 다른 문명체가 우리를 향해 망원경을 돌리고 있진 않을까.
우리는 이처럼 무한대에 가까운 우주 공간 속 지구라는 아주 작은 공간에서 살고 있다. 그리고 137억 년의 우주 역사 중 100년도 못되는 짧은 순간을 살아간다. 그런 짧은 시간이나마 함께할 수 있는 가족과 친구가 곁에 있다는 것이 얼마나 큰 행복인가. 불교에서는 ‘겁(劫)의 인연’이란 말을 쓴다. 겁이란 가로, 세로, 높이가 각각 약 14.4km(1유순, 즉 소달구지로 하루 걸리는 길의 거리)인 바윗돌이 100년에 한 번씩 선녀의 날개옷에 스쳐서 다 닳을 때까지 걸리는 시간을 가리킨다. 우주의 광대함을 생각한다면 우리가 매일 사소하게 스치는 작은 만남도 겁의 인연에 의한 것이란 말이 실감나지 않는가.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