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최우수 특성화 대학 한국항공대학교

전문인력 배출해 21세기 첨단 항공우주시대 연다

최우수 특성화 대학 한국항공대학교

1/3
  • 한국항공대는 항공우주 분야를 특성화한 국내 유일의 대학이다. 드넓은 교정을 가로지르는 활주로를 박차고 창공을 나는 비행기처럼 미래를 향해 거침없이 비행하는 항공대의 성장 비결을 알아보았다.
최우수 특성화 대학 한국항공대학교
라이트 형제가 하늘을 날고 싶어하는 인간의 소망을 실현했던 때에는 지금처럼 항공우주산업이 발전하리라고 예견한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그러나 지금은 비행기가 지구촌 구석구석을 누비고 우주에 인공위성을 쏘아올릴 뿐 아니라 우주왕복선도 띄울 정도로 항공우주기술이 눈부신 발전을 거듭하고 있다.

선진국들은 국가경쟁력을 키우기 위해 첨단 항공우주기술 개발에 열을 올리고 있다. 중국도 2003년 10월 중국 최초의 유인 우주선 선저우 5호를 발사하는 데 성공함으로써 전세계의 관심과 질투를 동시에 받았다.

우리나라도 예외는 아니다. 1990년대에는 건설산업과 선박산업에서 국가경쟁력을 키웠다면, 21세기에 들어선 지금은 고부가가치 산업인 항공우주산업으로 국가경쟁력을 키우겠다는 전략을 선택할 시점에 이른 것이다.

이러한 추세에 맞춰 새로운 도약을 꿈꾸는 대학이 있다. 경기도 고양시에 위치한 한국항공대학교다. 한국항공대는 항공우주에 관한 모든 학문과 기술을 배우고 연마하는 대학으로, 항공우주에 관련된 대학으로는 국내에서 유일하다.

오는 6월 항공우주센터 준공



비행기 한 대를 하늘에 띄우기 위해서는 많은 기술과 지식이 필요하다. 외압을 견디는 튼튼한 기체를 만드려면 금속공학에 관련된 지식이 필요하겠고, 터빈이나 프로펠러 등을 제작하기 위해 서는 기계장치에 관한 지식도 필요할 것이다. 안전한 운행을 위해서는 관제탑과의 교신도 필수 불가결하니 통신 관련 지식도 있어야 한다. 또 항공 사고에 대비해 국제법도 알아야 한다. 물론 영어나 주요 외국어를 막힘 없이 구사할 수 있어야 한다는 점 또한 빼놓을 수 없다.

그야말로 항공우주산업은 인문·자연·과학·공학 등 다양한 분야를 접목시킨 종합학문인 셈이다. 항공대가 교육부가 지정한 ‘2003년 전국 특성화 대학 최우수상’을 거머쥔 데는 그럴 만한 이유가 있다. 항공대 홍순길(洪淳吉) 총장은 “우리 대학은 항공 운송과 항공기 제작 산업에 필요한 고급 인력을 양성하는 항공교육의 메카로, 한국이 민항공 운송산업 세계 8위를 차지하는 데 견인차 역할을 해왔다”고 강조했다.

최근 항공대학교는 첨단 항공우주산업 시대를 활짝 열기 위한 사업의 일환으로 ‘항공우주센터’를 건립하고 있다. 오는 6월 이 센터가 완공되면 세계 각국으로부터 항공우주와 관련된 정보를 받아들이고, 서로 교류하면서 연구하게 된다. 또한 항공우주산업의 발전을 위해 기업체와 학교, 정부가 머리를 맞대고 협력하는 장소로도 활용할 예정이다. 또 센터 내에 ‘항공우주박물관’을 두어 일반인은 물론 미래 항공우주산업의 주역이 될 청소년에게 항공우주기술의 역사와 비전을 한눈에 보여줄 계획이다.

홍 총장은 “매년 2만여명의 학생들이 항공기와 비행기를 조종하는 장면, 비행기 제작하는 과정을 보기 위해 우리 대학으로 견학을 온다”며 항공우주박물관이 청소년들에게 항공우주산업을 더욱 쉽게 이해시키고 항공우주과학의 꿈을 심어줄 것으로 기대했다.

항공대는 이 센터를 건립하는 데 드는 50억원을 자체 충당하기로 하고 모금운동을 펼쳤다. 고양시에서 이 센터에 관심을 갖고 10억원을 후원했고, 동문과 교직원들이 모금에 앞장섰다. 아르바이트로 모은 돈을 선뜻 기부한 학생, 푼푼이 모은 100만원을 내놓은 학교 앞 하숙집 아주머니도 있어 항공대 식구들의 마음을 훈훈하게 했다.

항공대는 한국전쟁이 한창이던 1952년 6월 민간항공 분야 개척을 위해 교통고등학교 2년제 특설항공과로 부산에서 처음 문을 열었다. 휴전 후 서울 용산구로 자리를 옮겨 1953년 11월 4년제 국립항공대학으로 개편하였고, 1963년 경기도 고양시로 이전했다.

하지만 1970년대 당시 정부는 항공산업에 대한 비전을 제시하지 못했다. 항공대는 매년 신입생만 뽑을 뿐, 전문인력으로 양성할 여력이 없었다. 당시에는 항공산업보다는 군사 목적의 항공기술 개발을 더 우선했기 때문이다.

1978년 대한항공이 항공대를 인수했지만 사정은 별반 달라지지 않았다. 정부의 지원도 없을 뿐더러 국내 항공산업이 취약하다 보니 졸업생들의 취업도 막막했다. 또 항공운항과 정비기술만 다뤘기 때문에 외형적으로도 크게 성장하지 못했다.

1/3
글: 최희정 자유기고가
목록 닫기

최우수 특성화 대학 한국항공대학교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