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수학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들의 공부 비법

“어려운 문제 풀었을 때 느끼는 카타르시스가 원동력”

수학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들의 공부 비법

2/4
한편 정영헌군은 아빠와 함께 많은 시간을 보내며 수학적 흥미를 키웠다. 정군이 유치원에 다닐 때 서점에서 사온 산수문제집을 아빠와 함께 푸는 재미가 쏠쏠했다는 것.

박두성군도 어릴 때부터 수학을 좋아했다. 초등학교 때는 예습 위주로 수학공부를 했는데, 선생님이나 친구들이 수학을 잘한다고 칭찬해주는 게 신이 나 문제집을 열심히 풀었다.

폭넓은 독서로 수학실력 향상

조세익군은 다섯 살 때부터 초등학교 6학년까지 학습지로 수학을 공부했다. 조군의 어머니 임선엽(46)씨는 “하루에 세 장씩 거르지 않고 수학학습지 문제를 푼 것이 가장 큰 요인”이라고 말했다. 7년 이상 하루도 빼지 않고 일정한 시간에 공부한 것이 수학의 기초체력을 다지는 데 도움이 됐다. 송용수군도 그저 수학이 재미있어서 초등학생 시절부터 수학문제집 푸는 재미에 푹 빠졌다고 한다. 물론 학교에서 수학을 잘하는 축에 들었다.

위의 다섯 학생이 유아시절부터 수학문제를 풀며 수학에 흥미를 갖게 된 케이스라면, 이번 대회에서 금메달을 차지한 휘문고 3학년 이승명군은 폭넓은 독서를 통해 수학실력의 기초를 다진 케이스이다.



“금메달을 받게 돼 무척 기분이 좋아요. 운이 좋아 문제가 잘 풀렸던 것 같아요.”

이군은 IMO 출제문제 형식인 기하, 정수, 대수, 이산수학 가운데 특히 기하 분야에서 뛰어난 실력을 발휘했다. 정수(正數)는 ‘…-3, -2, -1, 0, 1, 2, 3…’이라는 식으로 체계적인 정석을 따르고, 대수(代數)는 방정식을 근간으로 하며, 이산수학은 컴퓨터공학 등 다른 분야와의 연계적 창의력을 중시한다. 한편 기하(幾何)는 2·3차원의 공간 구조를 연구하는 학문. 때문에 기하 문제를 풀기 위해서는 다양한 접근 방법이 요구된다. 독서광이라 불릴 만큼 어린 시절부터 다독한 경험이 이군의 기하 실력 향상에 작용했다.

“하루에도 몇 권씩 책을 읽었어요. 매번 책을 사줄 순 없어서 주로 구청에서 운영하는 이동도서관을 이용했지요. 지금까지 승명이에게 사준 책을 모두 합해도 아마 10만원어치도 채 되지 않을 거예요.”

이군의 어머니 최종순(43)씨는 이군이 초등학교 1학년 때부터 2주일에 15권의 책을 읽었다고 한다. 이동도서관이 격주로 집 앞에 오는데, 1인당 세 권까지 빌릴 수 있었다. 그래서 엄마, 아빠는 물론 옆집아이 이름까지 대며 책을 빌리곤 했다. 책을 하도 많이 빌리다 보니 전에 빌린 책을 또 빌리는 일도 생겼다. 이군은 그래도 재미있다며 한번 더 읽었다. 초등학교 6학년 때는 책에 지나치게 빠진다 싶어 부모가 독서를 금지시킬 정도였다.

이군 또한 수학 학습지를 받아보곤 했지만 이군이 수학의 세계에 매료된 것은 ‘수학의 역사’ 등과 같은 책을 통해서였다. 이군은 책을 통해 수학의 핵심은 논리이며 고대 종교에서 수학적 논리가 탄생했다는 것, 또 수학은 ‘학문의 여왕’으로 법학, 경제학, 종교학과도 밀접하게 연관된다는 것을 알게 됐다. 피타고라스, 아인슈타인, 존 내시 등의 위인전을 읽으면서도 수학에 대한 관심을 키웠다. 이군은 중학교 1학년 때 특별활동으로 수학반을 선택하면서 수학경시에 관심을 갖기 시작했다.

사설 경시대회가 큰 자극

자칭 타칭 수학을 잘한다는 학생 대부분은 수학경시대회를 거친다. 주변의 권유나 본인의 의지에 따라 초등학교 고학년 때부터 사설 수학경시대회에 출전하고, 중학교에 들어가면서부터는 한국수학올림피아드를 목표로 집중적으로 공부하게 된다.

그런데 이번 국제수학올림피아드에서 메달을 획득한 6명의 학생 모두 학원 교육을 받았다는 공통점이 있다. 이들은 “학원을 통해 실력을 단계별로 향상시켰다”고 입을 모은다.

정영헌군은 아버지에게 수학을 배우는 데 한계가 있어 초등학교 2학년 때부터 수학학원을 다녔다. 그러나 3·4학년 때 출전한 경시대회에선 상을 타지 못했다. 정군은 “기분이 상해 학원에서뿐만 아니라 집에 와서도 혼자 2∼3시간씩 공부했다”고 말한다. 결국 정군은 4학년 때 수학경시대회에 나가 대상을 탔다. 대상을 받고 나니 수학이 더욱 재미있어졌다. 정군은 5학년 때 초등학교 전과정을 끝내고 중학교 수학을 공부했다.

박두성군은 5학년 때 처음으로 경시대회에 출전했지만 역시 좋은 성적을 거두지 못했다. 성적순위는 30% 범주에 들 정도였다. ‘제대로 공부하지 않았기 때문’이라고 생각한 박군은 수학학원을 다니기 시작했다. 매일 2∼3시간씩 수학을 공부하며 다양한 문제를 접하다 보니 자연스레 실력이 늘었다. 박군도 이때 6학년 수학까지 마치고 중학교 수학을 미리 공부했다.

송용수군도 5학년이 끝나갈 무렵 수학경시대회에 출전했다. 송군은 혼자 공부하는 것보다는 학원에서 준비하는 것이 나을 것이라는 판단에 경시대회를 앞두고 학원에 다니기 시작했다.

“학원에서 경시대회를 준비하고 있는 친구들을 보곤 정말 암담했어요. 제 실력으로 경시대회 문제를 제대로 풀 수 있을까 싶었죠.”

지금 생각하면 별것 아닌데 당시에는 꽤나 심각하게 고민했다는 송군. 수학 실력이 친구들보다 뒤졌다는 생각에 아침에 학원에 나가 하루종일 공부하다 집에 돌아오곤 했다. 이렇게 두 달 동안 열심히 공부한 덕에 경시대회에서 동상을 받았다. 송군은 동상을 손에 쥐며 ‘다음에 더 잘해야지’ 하는 각오를 다졌다.

2/4
글: 장옥경 자유기고가 writerjan@hanmail.net
목록 닫기

수학올림피아드 메달리스트들의 공부 비법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