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은상은 이곳에서 뛰놀던 어린 시절을 추억하며 ‘물 나면 모래판에서 가재 거이랑 달음질하고/ 물 들면 뱃장에 누워 별 헤다 잠들었지’라고 했다. 마창대교 위에서 만난 마산의 첫인상은 그의 시만큼이나 서정적이었다.
그러나 평화로운 감상은 오래가지 않는다. 다리를 건너 마산 쪽으로 다가서면 전혀 다른 풍경이 펼쳐지기 때문이다. 가포동 율구만 수역에서 진행 중인 대규모 토목공사가 첫 신호탄이다. 마산시는 이곳에 2만~3만t급 컨테이너선 5척이 동시에 정박할 수 있는 부두를 만들고 있다. 상당부분 진행된 토사 매립으로 율구만 지역에는 거대한 황토 나대지가 생겼다. 2011년 공사가 끝나면 1899년 개항한 마산항은 110여 년 만에 완전히 새로운 모습으로 바뀔 것이다.
시가지에 들어선 뒤에도 공사장은 곳곳에서 눈길을 잡았다. 시 역사상 최대 규모의 국책사업인 로봇랜드 조성 공사를 비롯해 해양신도시 조성, 마산밸리 건설, 진북산업단지 조성 등 10여 개의 대형공사가 동시 진행 중이기 때문이다.
“요즘 마산에서는 해머 소리가 멈출 날이 없지요. 동부지역 관문인 구암동부터 진주시와 경계지역인 진전면에 이르기까지 동서남북에 걸쳐 도시 구조에 대변화가 생겼습니다.”
끝없는 공사 행렬에 혀를 내두르는 기자에게 황철곤(56) 마산시장은 웃음을 지어보였다. 2001년 시장 당선 후 3선을 하며 10년째 마산 개발을 이끌고 있는 그는 이 ‘해머 소리’의 지휘자다.
6+6 프로젝트
“마산은 1970년대 이후 쇠락을 거듭했어요. 정치 경제의 중심이 수도권으로 옮겨가고 경남도청 등 도 단위 기관이 창원으로 이전하면서 도시 전체가 침체의 늪에 빠졌죠. 제가 시장에 취임했을 때는 외환위기 후유증까지 겹쳐 시민들의 자신감이 땅에 떨어진 상태였습니다. 시에 활력을 불어넣는 것이 급선무였지요.”
그는 ‘드림베이(Dream Bay) 마산’ 비전을 선포하고 ‘새로운 마산 건설’을 기치로 내걸었다. 천혜의 자연환경에 첨단 산업을 접목시켜 ‘꿈의 도시’를 만들겠다는 포부였다. 이를 위해 시작한 것이 ‘마산비전 6대 전략사업’과 ‘드림베이 6대 성장동력사업’, 곧 마산 변신 프로젝트다. 마산 전역에서 대규모 공사가 시작된 것은 이때부터다.
“마산항 개발은 ‘마산비전 6대 전략사업’ 가운데 하나입니다. 마산항을 항만과 도시 기능이 조화된 남해안권의 물류거점으로 만들기 위한 공사죠. 이외에도 내서읍·우산동·봉암동 일원에 지능형 홈산업 네트워크와 로봇산업단지를 건설하는 ‘마산밸리’ 조성, 진북면 신촌·망곡리 일원에 업종 전문화 산업단지를 세우는 ‘진북산업단지’ 조성, 구산면에 4계절 체류형 종합관광 단지를 만드는 ‘구산해양관광단지’ 조성 사업 등이 진행 중이에요.”
마산의 목가적인 풍경을 만끽하며 달린 마창대교도 알고 보니 ‘마산비전 6대 전략사업’ 중 하나로 추진해 2008년 7월 개통한 다리였다. 이 사업과 더불어 진행 중인 ‘드림베이 6대 성장동력사업’은 규모가 좀 더 크다. 로봇랜드 건설, 창포 임해산업단지 조성, 마산자유무역지역 산업구조 고도화사업 등이 이 카테고리에 속해 있다. 하나같이 마산을 근본적으로 바꿔놓을 대 역사(役事)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