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대가야 유적지인 지산리 고분군. 내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가야문화를 관광자원화함으로써 낙동강 대표문화권으로 자리 잡은 데 이어, ‘에코-워터 폴리스(Eco-Water Polis)’ 개발을 통해 연간 2000만명이 찾는 세계적인 문화관광특구로 비약할 꿈을 꾸고 있다.

2 지역특산품인 고령딸기.
3 2008년 5월 고령을 방문한 이명박 대통령이 대가야박물관을 둘러보고 있다.

5 지난해 개장한 대가야역사테마공원.
경북 고령군
‘잊힌 왕국’대가야 복원으로 비약하는 세계적인 문화관광특구
글 / 최호열 기자 사진 / 장승윤 기자, 고령군청 제공
입력2010-04-07 09:53:00
대가야 유적지인 지산리 고분군. 내년 세계문화유산 등재를 추진하고 있다.
쓰레기通 소장파 이동학의 민주당 개조론
고재석 기자
※‘이현준의 G-zone’은 기업 지배구조(Governance) 영역을 중심으로 경제 이슈를 살펴봅니다.백복인(58) KT&G 사장(CEO)의 임기 만료일이 약 3개월 남았습니다. 자연스레 그의 연임 도전 여부에 세간의 이목…
이현준 기자
9월 19일 뉴욕 기후 주간 행사에서 열린 ‘RE100 리더십 어워드’에서…
이현준 기자
국내 최초 자연번식으로 태어나 ‘행복을 주는 선물’이란 뜻의 이름을 갖게 된 푸바오는 이제 명실상부 ‘국민 판다’가 됐다. 13일 용인 에버랜드 판다월드 야외 방사장에서 월담을 시도했다가 실패한 뒤 한동안 외출금지 명령이 내려지기도 했다. 열흘 뒤 푸바오의 근황을 촬영하기 위해 에버랜드를 찾았다. ‘월담 해프닝’으로 팬들의 걱정을 샀던 푸바오는 실내 방사장에서 차분하게 안정을 찾으며 야외활동을 준비하고 있다. 아쉽게도 푸바오 관람시간은 한 팀당 5분으로 한정돼 있지만 하루 평균 8000여 명의 관람객이 찾는다. 푸바오는 하루 대부분의 시간 동안 평균 50kg의 음식을 먹는다고 하니, 관람객은 언제 찾아도 푸바오 먹방을 볼 수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