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조건 야무지게 따져보고 ‘공세적 방어’로 버텨라

배우자 선택의 정치

조건 야무지게 따져보고 ‘공세적 방어’로 버텨라

1/4
  • 결혼은 인륜지대사라고 한다. 그러나 수많은 사람이 이혼을 한다. 이혼까지는 가지 않았지만 결혼 때문에 불행해졌다고 여기는 이도 많다. 아예 혼자 살기로 마음먹는 사람도 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떤 배우자를 선택해야 할까. 정치는 결혼 적령기의 사람들에게 ‘현실과 이상의 타협’을 제시한다.
조건 야무지게 따져보고 ‘공세적 방어’로 버텨라
결혼을 전제로 한 연애엔 두 종류가 있다. 애정을 중시하는 경우와 조건을 중시하는 경우다.

애정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애정, 곧 사랑만으로 충분할 수 있다. 두 사람 모두 애정지상주의자라면 혼인신고하고 함께 살면 그만이다. 그러나 애정을 중시하는 경우에도 정작 혼인 국면에 돌입하면 조건에 관해 다시 한 번 생각해보는 것이 일반적이다.

당사자는 조건을 따지지 않더라도 부모형제는 따지려들 수 있고 상대방이나 그 부모형제가 그럴 수도 있다. 실제로는 이 확률이 훨씬 높다고 봐야 한다.

애정파 vs 조건파

애정을 중시해 결혼하려 한다면 둘 사이의 사랑이 가장 큰 이슈다. 이 점은 결혼을 전제로 하지 않은 연애의 경우와 별반 다르지 않다. 당연히 애정이 식으면 결혼은 물 건너간다. 그렇다고 반전의 기회가 없진 않다. 결혼을 앞두고 상대방의 숨은 조건이 눈에 띄면, 애정이 좀 식었더라도 결혼까지 가기도 한다.



조건을 중시하는 경우에는 이미 연애 단계에서 조건에 관한 일차 검토가 이뤄졌기 때문에 혼인 단계에서는 확인만 하는 정도로 넘어가는 것이 일반적이다. 그러나 바로 이런 이유로 연애 초기에 더 깐깐하게 따져야 하는 문제가 남는다.

간혹 혼인 국면에 접어들어 재검토 과정을 거치는 사람도 있다. 내가 중시하는 조건과 부모형제가 중시하는 조건이 다를 수도 있어 내부 조정을 하기도 한다. 물론 상대방도 마찬가지 상황이라고 전제해야 한다. 그래서 어떤 경우에도 혼인 과정은 험난하다.

어떻게 조건을 따질 것인가. 쉬운 일이 아니다. 조건을 따져 연애를, 그것도 결혼을 전제로 한 연애를 한다는 것은 대단한 집중력이 필요한 일이다. 사실 이런 이유로 적지 않은 사람이 연애 한 번 제대로 못 해보고 청춘을 다 보내기도 한다. ‘아무나하고 연애를 할 수는 없다’ ‘연애를 하면 그 사람과 반드시 결혼해야 한다’ 이런 사고를 가진 사람이라면 더 어렵다.

당신의 ‘시장가치’는?

조건을 따지기로 마음먹었다면 제대로 야무지게 따져라! 이것이 내 생각이다. 조건을 따지는 것과 관련해 가장 먼저 해야 할 일은 내 조건에 관한 철저한 평가다. 결혼시장에서 나는 어느 정도의 상품인지를 먼저 알아야 한다는 것이다. 많은 사람은 본인의 조건을 아예 생각하지도 않거나 과대평가를 함으로써 불행을 자초한다.

‘내가 보기에 나의 시장가치는 이렇게 높은데, 왜 남들은 온당하게 평가해주지 않는 것일까.’ 많은 사람이 억울해하지만 시장은 냉정하다. 정말로 시장가치가 높으면 소비자들이 절대 그냥 놔둘 리가 없다.

그다음에 해야 할 일은 내가 원하는 조건을 명확하게 하는 것이다. 이 일, 쉬워 보이지만 잘 해내는 사람은 의외로 많지 않다. 상당수는 자신이 원하는 조건이 무엇인지 잘 모른 채 장보기에 나서곤 한다. 그냥 시장에 나가봐서 좋은 게 보이면 사겠다는 식인데, 매일 사다 먹는 반찬거리도 아니고 일생에 한두 번(?) 있을까 말까 한 기회를 이런 식으로 접근하는 것은 정말 무책임한 일이 아닐 수 없다.

내가 원하는 것이 무엇인지 모르기 때문에 나타나는 일반적 현상 가운데 하나는 남들이 좋다는 것을 앞다퉈 구입하는 현상이다. 재력, 학력이 좋아 보이면 일단 사고 보는 식이다. 이런 묻지마 투자는 하다못해 주식을 살 때도 피하는 일이다.



‘여러모로 괜찮다’의 함정

또 다른 현상은 ‘평균점수’가 높은 쪽을 일단 선호하는 현상이다. 재력, 학력, 성격 등 조건을 전반적으로 평가해 평균점수가 높으면 더 좋다고 판단한다. 그런데 이것이야말로 진정 무모한 선택이 아닐 수 없다. 평균점수는 높더라도 결정적인 하자가 있을 수 있기 때문이다. 더욱이 그것이 내가 가진 결정적 하자와 중첩되는 것이라면 나중에 엄청난 분란 요인이 될 수도 있다.

반대로 평균점수는 낮아 보이지만 결정적인 장점이 있을 수도 있다. 그것이 나의 결정적 단점을 보완하면서 시너지 효과를 낼 수도 있다. 그렇다! 조건을 따질 때에는 평균점수 따위에 연연하지 않아야 한다. 평균점수 높아 결혼해서 후회하는 사람, 우리 주변에 부지기수다.

이보다는 오히려 딱 한 가지 조건만 보고 선택하는 편이 더 성공적일 수 있다. 딱 한 가지만 본다면 어떤 것을 봐야 할까. 나의 결정적 단점을 보완해줄 수 있는 장점이 그것이다. 더욱이 당신이 평균점수가 높은 쪽이라면 더욱더 그런 선택이 빛을 발할 것이다.

1/4
이종훈│시사평론가 rheehoon@naver.com
목록 닫기

조건 야무지게 따져보고 ‘공세적 방어’로 버텨라

댓글 창 닫기

2023/10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