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중국의 리양(李陽·31)은 이른바 ‘미친 영어(Crazy English)’ 전도사로 중국 대륙에 널리 알려진 영어강사다. 1996년 중국 광둥(廣東)성 광저우(廣州)에서 시작해 지금까지 수천만명의 중국인들에게 영어를 가르친 화제의 인물. 베이징에 위치한 그의 회사 ‘스톤 클리즈(Stone-Cliz)’ 사무실에 매일 1000∼7000통의 편지가 답지할 정도다.
이 정도라면 그에게 엄청난 비법이 있는가 하겠지만, 기실 그 비법이란 게 평범하기 그지없다. 자신이 낼 수 있는 가장 큰 목소리로, 가장 빠르게, 가장 정확하게 영어 문장을 외치는 게 전부다. 영어를 배우려면 체면과 부끄러움은 던져버려야 한다는 주문 정도가 따라 붙는다.
실제로 그의 강좌는 ‘미친’이라는 수식어가 붙는 것에서도 짐작할 수 있듯이 열광의 도가니다. 수만명의 청중이 그의 선창과 손짓에 따라서 무아지경에서 한 목소리로 영어 문장을 외치는 것. 그의 강좌를 듣고 나면 영어에 자신감이 생긴다는 게 청중들의 한결같은 반응이라고 한다.
놀라운 것은 그가 학창시절 낙제를 밥먹듯이 한 열등생이었다는 사실이다. 중등학교 시절 그는 낮은 성적 때문에 끊임없이 보충수업을 받아야 했고, 86년 란저우(蘭州)대학 이과대학에 간신히 턱걸이로 입학했지만 2학년 1학기까지 3학기 동안 10개 과목에서 낙제점을 받았다.
게다가 그는 주의가 산만한데다 성격도 무척 소심한 학생이었다.
자신의 처지를 비관하던 그는 “나도 뭔가 한 가지는 잘해야 사회에 나가 제대로 살아갈 수 있겠다”는 생각을 하게 됐다. 그래서 내린 결론이 영어 정복. 88년 그는 한적한 혁명열사릉에 영어책 한 권 들고 가서 고래고래 고함을 질러가면서 읽어대기 시작했다. 그렇게 눈, 비를 맞아가면서 하루도 거르지 않고 4개월, 영어 소설책 등 10권을 읽고 난 뒤 치른 첫 영어시험에서 그는 전교 2등을 차지해 주변을 깜짝 놀라게 했다.
대학을 졸업한 리양은 90년 서안전자설비연구소에서 1년간 엔지니어로 근무했다. 이 기간 동안 그는 매일 새벽 건물 9층 옥상에서 영어, 프랑스어, 독어, 일어를 큰 소리로 읽으면서 ‘미친 영어’ 방법론을 정비해갔다.
92년에는 광둥인민라디오 방송국에 영어 아나운서로 발탁, 뉴스 진행과 토크쇼 사회자를 맡는 등 광저우 지역에서 인기인으로 성장했다. 동시에 각종 국제회의나 외교인사 방문에서 통역을 맡아 성가를 더욱 높여갔다고 한다. 리양의 영어는 많은 외국 언론의 관심을 끌었다. 미국의 ABC 방송, 영국의 BBC, 홍콩, 일본, 캐나다의 방송이 그를 취재했고, 99년 1월에는 시사주간지 ‘타임’에도 소개됐다. 다음은 ‘타임지’에 ‘Method or Madness?’라는 제목으로 실린 기사의 한 대목.
“(리양은) 외국어를 정복함으로써 중국은 세계 앞에 자랑스럽게 나설 수 있게 될 것이며, 엄청난 부를 가져다 줄 것이라고 주장한다. 그는 베이징의 대학생들 앞에서 외친다. ‘Make international money!(국제적으로 돈을 벌어라) Make money from foreigners!(외국인에게서 돈을 벌어라) This is the American dream - from rags to millions - and I want to make it a Chinese dream!(가난뱅이에서 백만장자가 되는 게 미국의 꿈이라면 나는 중국의 꿈을 이루겠다)” 돈을 벌려면 영어를 잘해야 한다는 중국인들의 인식이 그의 ‘고함치는’ 영어학습 방법론과 적절하게 맞아떨어짐을 잘 지적하고 있는 대목이다.
‘신동아’는 최근 서울을 방문한 리양과 99년 본지에 소개돼 화제를 불러 일으켰던 ‘발성훈련법의 괴짜강사’ 정인석 씨와의 대담을 마련했다. 》
정 인석 리양 선생의 명성은 익히 듣고 있었는데, 이렇게 만나보니 반갑습니다. 지금까지 대략 몇 명에게 영어를 가르쳤습니까?
리양 지난 10년간 약 2000만명 이상의 중국 학생들을 가르쳤습니다. 한 클라스에 4만∼5만명씩이었으니까 하루에 약 10만명씩 가르친 셈입니다.
정인석 정말 대단하군요.
리양 아니오. 그렇지 않습니다. 먼저 저에 대해 간단하게 얘기하자면, 저는 스스로 낙오자라고 생각했습니다. 제가 무언가를 이뤄낼 수 있다는 것은 생각하지도 못했어요. 제 부모님은 저를 많이 힘들게 하셨습니다. 저를 존중해주지 않았고, 저를 못난 놈이라고 여기셨지요. 그래서 저는 제 약점을 보완하려고 안간힘을 썼고, 나름의 방식으로 무언가를 이뤄보려고 노력했습니다.
제가 영어교육 분야에서 조금 성공을 거두게 됐을 때, 저는 이것으로 다른 이들을 도울 수 있다면 더 바랄 게 없다고 생각했습니다. 그렇게 해서 더 큰 인기를 얻게 됐는데, 저는 그 인기를 더 많은 사람들을 돕고 좋은 영향을 끼치는 방향으로 활용했습니다. 인기 그 자체를 즐긴 건 아니었어요. 오히려 저는 영어를 가르치면서 큰 책임감을 느끼게 됐고, 이 일에 나름의 사명감을 느끼고 있습니다.
정인석 유년기는 어떻게 보냈습니까?
리양 저는 어린 시절을 신장 지방에서 보냈습니다. 매우 가난하고 모든 점에서 열악한 지역이지요. 먹을 것이 없어서 항상 굶주려야 했어요.
정인석 그런 곳에서 오늘날 이렇게 큰 성공을 거두었으니 리선생은 참 대단한 사람이군요.
리양 별 말씀을. 그냥 평범한 사람입니다.
정인석 영어를 가르치면서 재미있는 일화가 많을 것 같은데….
리양 중국은 인구가 13억명이나 돼요. 그래서 한 교실의 규모가 엄청납니다. 스타디움 같은 야외장소에서 한 수업에 대략 3만∼4만명을 모아놓고서 강의를 합니다. 얼핏 보면 록 콘서트 같은 분위기라고 할까요?(웃음)
재미있는 일들이 참 많았어요. 교도소에 가서 수감자들을 가르친 적도 있습니다. 영어는 고등교육을 받은 사람들의 전유물이 아니라 모든 사람들을 위한 것이라는 게 제 신념입니다. 그래서 농촌에서 농부를 가르치기도 했고, 할아버지 할머니들을 상대로 가르치기도 했습니다.
정인석 그렇게 많은 사람들을 가르친 경험에서 볼 때 리 선생은 영어의 왕도가 무엇이라고 생각하십니까?
수영 배우려면 일단 물속에 뛰어들어야
리양 그건 저보다 정 선생께서 더 잘 아시지 않습니까?(웃음) 다 아는 얘기지만 수많은 영어 교사들이 저지르는 가장 큰 오류는 단순한 단어 암기나 문법에 너무 치중한다는 것입니다. 예컨대 수영을 정말로 잘하고 싶다면, 일단 물에 뛰어들어 물도 마셔보고, 살려달라고 소리도 지르면서 물 속에서 살아남는 법을 배우는 것입니다. 수영장 옆에 앉아서 수영법에 관한 여러 가지 책을 읽고, 수영코치의 수영을 구경하면서 감탄만 하고 있어서는 결코 수영을 배울 수 없다는 것이지요.
영어도 마찬가지입니다. TV나 라디오로 영어 프로그램을 시청하거나 영어 강의를 듣는 것도 영어실력 향상에 도움이 됩니다. 그러나 가장 중요한 것은 입 근육을 사용해서 실제로 말하는 연습을 하는 것이지요. 저는 지금까지 30년 남짓 살아오면서 모국어인 중국어를 사용해왔습니다. 자연히 제 입과 혀의 근육은 중국어를 구사하기에 가장 적합하도록 발달했습니다.
영어를 잘하려면 이처럼 중국어에 적합하게 발달된 입과 혀의 근육을 영어 사용에 적합한 구조로 바꾸어야 합니다. 저 역시 나름의 훈련을 통해서 영어 사용에 적합한 혀를 갖게 됐지요.
사실 영어를 가르치는 게 참 복잡하고 어렵습니다. 듣기와 읽기, 작문 등 가르치고 배워야 할 것이 다양하기 때문입니다. 그렇지만 제 경우에는 영어교수법을 가급적 단순화시키려고 노력했습니다. 저는 학생들에게 영어는 쉽다, 실용적인 문장을 연습하라고 말합니다. 비교적 짧고 간단한 문장을 외우면서 학생들의 실력은 나날이 향상돼 갔고, 본인들도 성취감을 느낄 수 있었다고 합니다.
정인석 음성학적으로 볼 때 중국어는 굴절어의 성격을 갖고 있습니다. 그렇기 때문에 중국인들은 큰 소리로 영어를 읽는 것만으로도 큰 효과를 볼 수 있으리라고 봅니다. 그러나 한국어와 일본어는 그렇지 않아요. 한국인과 일본인의 억양이 중국어에 비해서 단조로운 것은 그 때문입니다.
리양 그래요. 한국어로는 ‘반갑습니다’, ‘안녕하세요’ 하고 말할 때 음의 고저가 없어요. 반면 영어에는 예컨대 ‘How are you doing?’ 같은 문장에서도 음의 고저가 분명합니다. 이런 게 한국인과 일본인이 영어를 배울 때 어려움이라고 생각해요.
정인석 그런 점에서 중국인들은 한국인이나 일본인에 비해서 영어를 배우기가 훨씬 유리하다는 거지요.
리양 그렇지만 한국인과 일본인 중에도 영어를 유창하게 말하는 사람이 많지 않습니까? 제가 보기에 그건 아마 언어를 배우는 방법상의 문제라고 봐요. 제대로 된 학습방법으로 배우면 영어를 잘할 수 있다는 거지요.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