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김일성은 동면요법, 향기요법으로 장수 꿈꿨다”

김일성장수연구소 출신 한의사가 말하는 ‘황제건강법’

  • 박은경·자유기고가 siren52@hanmail.net

“김일성은 동면요법, 향기요법으로 장수 꿈꿨다”

1/8
  • 1998년 귀순한 북한 출신 한의사 석영환씨가 최근 한의원을 개원했다.
  • 그는 일명 ‘김일성장수연구소’로 불리는 청암산연구소에서
  • 연구원 생활을 했던 북한내 인텔리. 남북한 한의학을 접목시켜
  • 한의학 발전에 기여하고 싶다는 석씨로부터 그가 보고 들은
  •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건강관리법에 대해 알아보았다.
“김일성은 동면요법, 향기요법으로 장수 꿈꿨다”
올해초 모 방송의 건강 프로그램 ‘잘 먹고 잘 사는 법’이 장안의 화제가 됐다. 높은 시청률을 기록하면서 유기농산물의 인기가 치솟자 축산농가와 육류 유통관계자들 사이에 “방송에서 채식을 강조하는 바람에 애꿎게 된서리를 맞았다”는 볼멘소리까지 흘러나왔다. ‘잘 먹고 잘 사는 법’은 음식 가려먹기를 통해 건강하게 오래 사는 법에 대한 관심을 불러일으켰고, 이에 대한 뜨거운 호응은 삶을 최대한 연장하고픈 인간의 원초적 장수(長壽) 욕망이 반영된 결과다.

불로장생(不老長生)을 꿈꾸며 수많은 방사(方士)들을 삼신산(三神山)으로 보내 불사(不死)의 선약(仙藥)을 찾아 헤매게 한 진시황에 비할 바는 아니지만, 북한에도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장수를 위한 일명 ‘김일성장수연구소(이하 장수연구소)’가 비밀리에 가동되고 있다. 북한 주민들을 의식해 ‘기초의학연구소’란 공식 명칭을 붙인 장수연구소는 산하에 동의과학원(일명 동의연구소), 청암산연구소, 아미산연구소 등 여러 분과연구소를 거느리고 있다.

청암산연구소와 동의과학원 연구원 출신 한의사 석영환(38)씨에 따르면 장수연구소의 핵심은 동의과학원이다.

“철저히 베일에 가려진 장수연구소는 분과연구소마다 맡은 분야가 각기 다르다. 양·한방 기초의학에서 한약재, 식품에 이르기까지 연구분야가 세분화돼 있고, 김일성이 먹고 쓰는 생활필수품을 따로 재배·조달하는 기관이 있다. 쌀, 과일 등 북한 자체 농산품 관련연구와 함께 외국산 수입 농산품을 다루는 곳이 아미산연구소다. 내가 잠시 근무했던 청암산연구소는 한약재의 효능과 약리작용 등을 연구한다. 이외에 침 전문연구소 등이 따로 있다.”

기초의학연구소 산하 분과연구소가 정확히 몇 개인지, 이들 기관에 종사하는 인원이 몇 명인지, 그 내부에서 어떤 연구들이 진행되는지에 대해 한때 몸담았던 석씨조차 제대로 모를 만큼 장수연구소는 비밀에 싸여 있다. 그가 동의과학원으로 옮기기 전 근무했던 청암산연구소의 인원은 대략 300명 정도였다.



김일성·김정일 부자의 건강상태를 살피고, 만수무강과 장수를 위해 과학적으로 효능이 입증된 자연요법과 양·한방 비법을 연구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주민 수백명을 대상으로 임상실험을 한 곳도 장수연구소다. 석씨는 “임상실험 대상자는 김일성 부자와 나이·체질이 같고 유사한 질병을 가진 남성들 중에서 가려뽑았다. 그 전에 동물을 대상으로 약리·생리학적 검사를 미리 했다”고 밝힌다. 동물과 사람을 대상으로 한 임상실험은 장수연구소 명령에 의해 한방쪽은 고려의학병원에서, 양방쪽은 적십자병원에서 진행했다. 그 결과를 바탕으로 봉화진료소에서 김일성 부자를 진료했다. 그들의 고혈압과 당뇨·중풍을 한방으로 다스릴 수 있도록 심혈관계 질병에 대한 한약재의 약리작용과 치료법을 연구하는 게 연구사(연구원)인 석씨의 임무였다.

1/8
박은경·자유기고가 siren52@hanmail.net
목록 닫기

“김일성은 동면요법, 향기요법으로 장수 꿈꿨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