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나의 독서일기

‘가벼운 책 읽기’를 위한 변명

  • 글: 황정민 KBS아나운서 energy71@dreamwiz.com

‘가벼운 책 읽기’를 위한 변명

1/2
‘가벼운 책 읽기’를 위한 변명
연극 ‘TV동화 행복한 세상’/사진제공 정동극장처음 원고 청탁을 받고 돌덩이를 삼킨 것처럼 불편했다. ‘신동아’류의 시사지들이 갖는 어렵고 딱딱한 느낌이 말할 수 없이 무겁게 다가왔다. 뚝심있게 “못 쓰겠습니다”를 되풀이하지 못한 게 잘못이었다. 이럴 때, 내가 할 수 있는 일은 다른 이들이 ‘독서일기’란 지면에 어떤 글을 썼는지 살펴보는 작업이리라. 일종의 커닝인 셈이다. 예상대로 내가 손댄 적 없는 분야의 책들이 목록에 올라 있었다. 한결같이 이름만 들어본 책들이었다. 감은 잡히지 않고 ‘사람들은 이렇게 어려운 책들을 읽으며 살아가고 있구나. 이렇게 딱딱한 책들은 내 취향이 아닌데’하는 공포감만 몰려왔다. 이 난국(?)을 어떻게 헤쳐 나가야 할지 캄캄했다.

그렇게 일주일을 고민한 끝에 내린 결론은 ‘막가파’식 돌파였다. 어려운 책 골라서 아는 척 흉내내봐야 금방 탄로날 테고, 캄캄한 길을 헤매다보면 그 길이 또 그 나름대로 지도를 만들 수는 있을 것이므로 천박하지만 즐거운 독서일기를 날것 그대로 공개하자고 결심한 것이다.

책 읽기라는 ‘행복한 집착’

서점에 가서 책들을 보면 우선 욕심이 생겼다. 서점 판매대에 남겨둔 책은 항상 아쉽고 그리웠다. 집에 들고 왔다 해도 한 번 보고 던져버릴 게 분명하지만, 꼭 방안 책꽂이에 꽂아야 마음이 흡족했다. 하지만 하루에도 얼마나 많은 책이 쏟아지는지. 예쁜 자태로 유혹하는 책은 또 얼마나 많은지. 급기야 무슨 강박증 같은 것에 사로잡히고 말았다. 날아오는 공을 계속 받아쳐야 하는 게임 속 주인공처럼 필사적으로 책을 찾았다. 뛰다 지쳐 쓰러질 때까지 쫓기는 듯한 책읽기는 계속됐다. 누구에게나 불가능한 일이었다. 물론 그때는 지금보다 시간도 많았고, 딱히 공부를 열심히 하지도 않았고, 괜찮은 남자 친구를 만난 것도 아니었기 때문에 할 수 있는 한 모든 시간을 바쳐 독서에 몰두했다. 행복한 집착이었다.

돌아보면 ‘허기’ 때문이었다. 지적인 허기. 늘 배고팠다. 무언가로 머리를 채우지 않으면 뇌가 텅텅 비어버릴 것만 같았다. 누군가 머리 뚜껑을 열어 보고 “어, 안이 텅 비었네”라고 소리칠까봐 두려웠다. 복잡다단했던 시간들을 거쳐 한 꺼풀씩 벗겨져 나가는 양파처럼 매일 체력과 지력과 의지가 소진되는 생활 속에서 무언가로 속을 채워가지 않으면 언젠가 수렁으로 빠져버릴 것이라는 불안감이 있었다.



소화가 되든 말든 꾸역꾸역 채워나가야 했다. 내용을 생활 속에서 실천한다거나 음미할 사이도 없이 읽고 또 읽었다. “베스트셀러를 읽어야 대화를 주도할 수 있다”는 선배의 말을 비웃으면서도, 나 또한 어쩔 수 없이 일단은 베스트셀러에 먼저 손이 가곤 했다.

탐독의 대상, 무라카미 하루키

그런 식으로 책을 읽으면서 균형을 생각하기는 어려웠다. 당연히 과식에 편식이 뒤따랐다. 탐독 1순위는 무라카미 하루키의 글이었다. 장편 ‘국경의 남쪽, 태양의 서쪽’을 비롯해 그의 작품을 많이 읽었다. 주위, 특히 남성들의 평가는 ‘그래서 하고 싶은 얘기가 뭔데?’하는 식이었지만, 유독 끌리는 작가였다. 하루키의 나른함과 게으름이 좋았다. 현실에서 바쁘고 지친 마음을 그에게서 위로받고 싶었다. 특별히 분주한 것 같지 않은 주인공이 집에 돌아와 혼자 느긋하게 자기의 일상을 떠올리며 생각에 잠기는 모습에 나까지 편해지곤 했다. 자리에 누워서도 회사 일이나 사람들과의 관계를 떠올리며 아직도 한낮의 뜨거움으로 달아오르는 나에 비해 그는 늘 서늘하고 관조적이다. 집착하지 않고 늘 평온하다.

그에게선 무게가 느껴지지 않는다. 조금이라도 무게를 세상에 싣고 싶어하는 나와는 정반대다. 정반대 성격인 사람과 결혼하는 사람들의 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 같다. 작가와 작품은 별개라지만, 하루키의 생활상을 소개한 인터뷰를 보고 나는 그를 닮아가기에 열중했던 적도 있다.

마라톤을 열심히 한다는 그의 말에 한동안 마라톤도 해보고 그를 만나면 좋아한다는 한마디라도 해야겠기에 일본어도 배웠다. 가장 탐나는 자리는 그의 아내 자리였다. 세계 여기저기를 여행 다니며 글을 쓰는 그의 곁에서 사진을 찍는다면 얼마나 행복하겠는가.

1/2
글: 황정민 KBS아나운서 energy71@dreamwiz.com
목록 닫기

‘가벼운 책 읽기’를 위한 변명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