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성산읍 삼달리 미천굴관광단지에 있는 일출관광랜드의 아열대동산
그래도 제주도에 들를 적마다 빼놓지 않는 일정이 하나 있다. 송악산을 찾는 일이다. 거대한 2중 분화구가 형성된 송악산 정상까지 오르는 경우는 드물고, 대개는 그 기슭의 전망 좋은 주차장에서 잠시 사방을 둘러본 뒤 다시 길을 재촉한다.
아주 짧고 다급한 일정이지만, 그렇게라도 하지 않으면 왠지 제주도에 다녀왔다는 느낌이 들지 않는다. 송악산을 품은 제주도 서남쪽 해안에는 제주도의 자연과 역사가 죄다 모여 있기 때문이다. 쪽빛 바다, 작은 섬, 아담한 갯마을, 봉긋한 오름, 우뚝한 한라산, 너른 들녘, 그리고 수난의 역사…. 송악산 아래 해안 절벽에 서면 제주도만의 독특한 자연풍광뿐 아니라 피눈물의 역사가 남긴 생채기까지 한눈에 들어온다.
송악산 정반대 편에 위치한 섭지코지 해안도 즐겨 찾는 곳 중 하나다. 특히 멋진 해돋이가 예상되는 날 새벽에는 성산일출봉과 마주보는 섭지코지를 향해 부리나케 달려가곤 한다. 비록 제주도의 변화무쌍한 날씨가 먼길 달려온 사람의 정성을 헛되게 하기 일쑤지만, 섭지코지의 야트막한 언덕에 서서 ‘순도 100%’의 맑은 해풍을 맘껏 들이켜는 것만으로도 다리품이 아깝지 않다.
송악산과 섭지코지는 제주도의 4개 시·군 가운데 남제주군에 속한다. 그밖에 제주도 제일의 해안 절승인 남원큰엉, 가장 유명한 관광지의 하나인 성산일출봉과 산방산도 남제주군에 딸린 명소다.
이런 점을 감안할 때 남제주군의 산업구조에서 관광산업이 차지하는 비중은 거의 절대적일 것으로 보인다.
그러나 실상은 전혀 다르다. 남제주군은 농업과 어업 등 1차산업의 비중이 62%에 이르고 전체 인구의 약 46%가 농민인, 전형적인 농촌 기초자치단체이다. 반면 관광산업을 포함한 3차산업은 32%에 불과하다.
지방채 발행 않고 예산운용
남제주군의 면적은 615㎢에 인구는 7만7000여 명쯤 된다. 제주도의 시·군 중에서 면적은 북제주군 다음으로 크고 인구는 가장 적다. 올해의 재정규모는 일반회계 2270억원, 특별회계 106억원을 합해 총 2376억원이다. 일반회계 규모만 따진다면 전국 89개 군단위 기초자치단체 중 네번째로 많다고 한다.
하지만 재정자립도는 16.5%에 불과하다. 인구와 면적에 비해 재정규모가 큰 데다 1차산업 비중이 매우 높다는 점을 고려하면 재정자립도가 낮을 수밖에 없는 현실이 쉽게 이해된다.
재정자립도, 즉 자생력이 낮고 중앙정부에 대한 의존도가 큰 남제주군은 나름대로 독특하고 합리적인 예산운용 원칙을 세워두고 있다.
그 첫째는, 지역 산업구조에서 가장 높은 비중을 차지하는 1차산업의 경쟁력을 강화하고 농업기반사업에 역점을 둔다는 점이다. 올해 투자규모를 보면 농업기반 조성에 247억원, 감귤·특용작물 분야에 45억원, 축산 분야에 75억원, 수산·산림 분야에 53억원 등 총 420여 억원이다. 그밖에 환경보전 분야에 대한 투자비가 474억원, 사회복지 분야가 187억원, 지역개발 투자비는 272억원이다. 이같은 투자비용이 전체 예산의 73.3%로 대단히 높은 편이다.
둘째로는, 지난해부터 지방채를 발행하지 않는 예산운용을 실천하고 있다는 점이다. 최대 921억원(2000년 말 기준)에 달했던 채무를 매년 평균 6.4%씩 줄여나가고 있다. 그 결과 지난해 말에는 764억원으로, 그리고 올해 말까지는 558억원까지 채무가 줄어들 것으로 예상된다.
그밖에 ‘인건비는 지방세로 해결하며, 중앙정부로부터의 지방교부세와 특별교부세를 최대한 확보한다’는 방침도 눈여겨볼 만하다. 이런 노력 덕택에 남제주군의 올해 예산은 민선 2기체제가 출범했던 1998년 당시의 1350억원에 비해 자그마치 44%나 더 늘었다고 한다.
지방자치제가 실시된 후 남제주군의 예산규모가 크게 늘었지만, 지역경제의 실상이 그리 밝지만은 않다. 무엇보다도 지역주민들의 주요 소득원인 감귤 가격 하락과 관광산업 침체로 인한 어려움이 적지 않다.
특히 감귤 가격 하락은 남제주군의 상당수 주민들에게 매우 심각한 현안으로 떠올랐다. 감귤농사 의존도가 매우 높기 때문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