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 무협소설 명인열전 ①

‘불꽃의 작가’ 서효원

깊은 절망, 뜨거운 소망이 낳은 자아 부활의 武曲

  • 글: 전형준 서울대 교수·중국문학 junaura@snu.ac.kr

‘불꽃의 작가’ 서효원

1/5
  • 워룽성(臥龍生)과 진융(金庸). 30대 이상에겐 왠지 친근하게 느껴지는 이름이다. 두 사람은 대만과 홍콩을 대표하는 무협소설 대가. 무협지광은 아니었다 해도 청소년기에 이들이 쓴 무협소설 한두 권 안 읽어본 이는 드물다. 그러나 1970년대에 이들의 이름을 달고 소개된 작품 중 상당수는 국내 작가들의 작품이었다. 이들 모방작을 밑거름 삼아 1980년대부터는 독자적인 스타일의 한국 무협소설이 입지를 굳혀갔다. 체계적인 정리작업의 부재로 그저 추억 속의 통속소설로 빛이 바래가는 한국 무협소설의 문화적 의미를 되새겨보기 위해 주요 작가·작품론을 연재한다.<편집자>
‘불꽃의 작가’ 서효원
지난 가을 중국 난징(南京)에서 열린 국제학술대회에서 필자는 ‘한국 무협소설의 문화적 의미’라는 주제의 글을 발표했다. 이 발표문은 그 무렵 출간된 필자의 저서 ‘무협소설의 문화적 의미’ 중에서 한국 무협소설에 관한 내용을 간추려 요약한 것이었는데, 중국 신문 ‘중화독서보(中華讀書報)’는 이를 두고 “‘신무협’ 소설의 내용과 장르의 새로운 변화를 통해 한국 무협소설의 문화적 의미를 분석했다”고 소개했다.

그러나 당시 약정토론을 맡은 중국 학자(그는 중국에서 꽤 알아주는 문학평론가다)는 기본적으로 ‘한국 무협소설’에 대해 냉소적인 선입관을 갖고 있었고, 그것을 조심성 없이 거칠게 드러냈다(물론 그는 한국 무협소설 작품을 한 편도 읽어본 적이 없다!). 중국을 배경으로 하고 중국인을 주인공으로 하는 무협소설이 한국인에 의해 씌어졌다고 해서 자동적으로 한국 무협소설이 되는 것인가, 설사 그것을 한국 무협소설이라고 부른다 해도 거기에 무슨 대단한 문화적 의미가 있겠는가 하는 것이 선입관의 주된 내용이었다.

이러한 생각은 국내에서도 어렵지 않게 찾아볼 수 있다. 한국 무협소설을 ‘국적 불명’이라고 비난할 때 그 비난의 근거가 바로 이러한 생각이다.

그러나 정작 중요한 것은 배경이나 인물에 있지 않고 서사의 성격에 있으며, 바로 이 점에서 한국 무협소설은 중국 무협소설과 구별되는 뚜렷한 독자성을 갖추고 있다는 게 필자의 관점이다. 이러한 관점에 입각해서 한국 무협소설의 주요 작가와 작품들을 자세히 들여다보고자 한다. 자세히 들여다보기를 통해 한국 무협소설의 독자성을 확인할 뿐만 아니라 그 독자성이 무협소설 장르 일반이라는 지평에서 일종의 전위성을 띠며, 나아가서는 단순한 통속문학 내지 대중문학이라는 틀을 넘어 중요한 문화적 의미를 구현하고 있다는 점을 구체적으로 밝힐 수 있으리라 기대한다. 작가와 작품에 대한 자세한 검토 없이 막연한 일반론만 되풀이하는 것은 얼마나 공허한 것인지!

시한부 생명 12년간 128편 출간



우리가 처음 살펴볼 작가는 서효원(徐孝源)이다. 서효원은 한국 무협소설의 역사를 말할 때 절대 빠뜨려서는 안 되는 작가다. 한국인이 창작(번역이나 번안이 아니라)한 최초의 무협소설이 정확히 무엇인지는 확인할 길이 없으나, 대체로 1970년대 후반에 주로 대만 작가 워룽성(臥龍生)의 이름으로 출판된 작품들 가운데 상당수가 실은 한국인에 의해 씌어진 것이라는 사실은 잘 알려져 있다.

대표적인 예가 워룽성의 이름으로 출판된 ‘팔만사천검법’(1978?)이다. 이 작품을 쓴 김의민은 1979년 ‘을제상인(乙齊上人·제(齊)가 아니라 재(齋)로 쓰는 것이 적절하겠지만)’이라는 필명으로 ‘속팔만사천검법’을 출판했는데, 이 작품이 독자들로부터 크게 환영받은 것을 계기로 한국 무협소설은 더 이상 대만 작가의 이름을 빌리지 않고 제 이름을 걸기 시작했다.

하지만 작품 스타일이 여전히 워룽성의 모방에 머물렀기에 이들을 참뜻에서 한국 무협소설이라고 부르기에는 무리가 있다. 자기 스타일을 갖춘 한국 무협소설이 나오기 시작한 것은 1980년대 들어서의 일인 바, 앞으로 우리가 만나게 될 서효원, 야설록(夜雪綠), 금강(金鋼), 사마달(司馬達), 검궁인(劍弓人) 등에 의해서였다.

이들 중에서 우리가 서효원에 먼저 주목하는 것은 그의 비극적 삶과 관련이 있다. 1959년생인 서효원은 성균관대 산업심리학과에 재학중이던 1980년 3월 위암 수술을 받았고, ‘짧으면 6개월, 길면 1년, 아주 운이 좋으면 10년’이라는 시한부 생명을 선고받았다.

서효원의 무협소설 쓰기는 바로 이 시한부 생명의 시작과 더불어 시작됐다. 1980년 9월 첫 작품을 출간한 서효원은 1992년 12월 세상을 떠날 때까지 12년 동안 놀랍게도 128편, 1000여권이나 되는 무협소설을 써냈다(기네스북에 올라 마땅할 세계 최고의 기록이라고 한다).

이렇듯 엄청난 다작은 서효원 무협소설의 문체적, 서사적 특징과 긴밀한 관계가 있다. 짧은 문장의 숨가쁜 배열, 묘사는 거의 없고 있는 것은 오직 사건 전개의 속도감뿐인 문체, 기험(崎險)이라는 표현이 꼭 들어맞을 만큼 반전을 거듭하는 플롯…. 이런 특징들 때문에 다작이 가능했다고 할 수도 있고, 거꾸로 다작이기 때문에 이런 특징들이 생겨났다고 할 수도 있겠는데, 이러한 문체적, 서사적 특징은 1980년대 한국 무협소설의 일반적 특징이기도 하다. 이 점에서 서효원을 1980년대 한국 무협소설의 한 전형으로 꼽는 것은 확실히 근거가 있다.

1/5
글: 전형준 서울대 교수·중국문학 junaura@snu.ac.kr
목록 닫기

‘불꽃의 작가’ 서효원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