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한국의 宗家|恩津 宋氏 同春堂 宗宅

禮學의 풍모 깃들인 위풍당당한 사대부 고택

  • 사진·글: 정경택 기자

禮學의 풍모 깃들인 위풍당당한 사대부 고택

1/2
  • 조선 후기를 풍미한 유학자 우암 송시열과 동춘당 송준길의 종택이 자리잡은 곳은 사통팔달의 교통요충지, 대전 회덕이다. 400년이 지난 지금도 사대부가의 상징인 정침과 사랑채를 온전하게 갖춘 고택엔 예학의 깊이와 여류 문인의 시향이 감돈다.


禮學의 풍모 깃들인 위풍당당한 사대부 고택

종가의 차남인 14대손 송윤진(오른쪽)씨와 종중이사인 11대손 송익순(왼쪽)씨.

경부고속도로를 달리다 보면 호남선으로 갈라지는 곳, 회덕 분기점이 나온다. 지금은 교통요충지로 유명한 곳이지만, 은진 송씨를 빼놓고는 회덕을 얘기할 수 없다. 지금도 연산의 ‘광김(光金)’과 회덕의 ‘은송(恩宋)’이라면 알아준다.

대덕문화원 자료에 따르면 이 고장의 인물 74명 중 송씨가 37명이나 된다. 이곳이 은진 송씨의 본거지임을 짐작케 하는 자료다. 은진 송씨가 이곳의 맹주로 자리매김한 데는 동춘당(同春堂) 송준길(宋浚吉·1606~72)과 우암(尤庵) 송시열(宋時烈·1607~89)이 있다. 둘 다 문묘에 오른 성현 18인에 속한다.

송준길의 종가가 있는 곳은 행정지명도 송촌동이요, 주변아파트 단지도 ‘선비마을’이다. 종손이 기거하는 곳으로서 사대부가의 상징이랄 수 있는 정침, 사랑채, 가묘, 별묘 등을 온전하게 갖춘 종택은 우리나라에서 이곳이 유일하다.

송준길의 호 동춘당은 별당의 이름에서 따온 것이다. 송준길과 송시열은 먼 숙질간으로 한집안인 데다 두 사람의 할머니가 자매간으로 외척이었다. 그러다 보니 송시열이 어려서부터 이곳에 와 송준길과 동문수학하며 김장생(金長生·1548~1631)의 예학(禮學)을 계승하게 되었는데 둘의 성격은 너무나도 달랐다.



송시열은 조선왕조실록에 그 이름이 가장 많이 오른 인물로서 조선 후기 모든 논쟁의 진원지였으며 사후에도 공과(攻過)가 거론될 만큼 ‘화약고’였던 데 반해, 송준길은 그의 호 동춘당(항상 봄과 같다는 뜻) 만큼이나 온화한 성격으로 영남학파와 기호학파의 예학을 아우른 인물이다.

1/2
사진·글: 정경택 기자
목록 닫기

禮學의 풍모 깃들인 위풍당당한 사대부 고택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