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Interview

64돌 재일한국민단 ‘못다 한 이야기’ 정진 단장

도쿄 한복판에 자리 잡은 한국대사관 터, 재일교포가 사들여 한국정부에 기증

  • 도쿄=허만섭│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64돌 재일한국민단 ‘못다 한 이야기’ 정진 단장

1/5
  • ‘거류민단’으로도 불렸던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은 10월3일 64주년을 맞았다. 올해는 한일강제합방 100년이 되는 해여서 이들의 감회는 남다르다고 한다.
  • 기자는 최근 일본 도쿄에서 정진 단장을 만나 재일교포들이 지난 64년간 살아온 이야기를 들었다.
64돌 재일한국민단 ‘못다 한 이야기’ 정진 단장


도쿄 아자부에 있는 소바(메밀가루로 만든 일본의 면 요리) 음식점인 ‘사라시나 본점’은 김종필 전 자민련 총재가 자주 찾던 곳이다. 김 전 총재는 1962년 한일청구권 협상의 주역으로 일본과는 관련이 깊은 정치인이다.

사라시나 본점에서 재일본대한민국민단(이하 민단)의 정진 단장, 허맹도 부단장, 한재은 부단장, 정몽주 사무총장, 하정남 기획실장과 점심을 함께했다. 민단의 중앙본부 빌딩이 걸어서 10여 분 거리에 있다. 기자는 ‘냉(冷)소바’와 ‘새우 덴뿌라’를 시켜 먹었다. 면이 탄성이 있고 새우도 살이 차 있고 바삭해 맛이 있었다. 식사를 하는 동안 정 단장 일행은 한국어에 일본어를 가끔 섞어가면서 대화를 나누었다.

한 부단장이 오사카의 재일교포 양로시설을 방문해 최고령 동포인 강옥이(105세) 할머니 등에게 5만엔씩 ‘장수축의금’을 전달하고 왔다는 이야기였다. 오사카의 양로시설은 원래는 조선인 학교였으나 학생이 줄면서 지금의 복지시설로 바뀌었다고 한다. 현재 일본에는 100세 이상인 교포 28명이 생존해 있는데 이들은 태어나자마자 한일강제합방을 맞이하면서 가장 먼저 근·현대사의 질곡으로 빠져든 세대인 셈이다.

정 단장은 “이분들은 누구 할 것 없이 여기 일본에 와서 식민지의 백성으로서 온갖 차별과 가난의 고통 속에서 살아왔다. 그러면서 자식들을 훌륭하게 성장시켜 재일교포사회의 초석을 쌓았다”고 했다.



식사가 끝나자 ‘소바유’라는, 소바 면을 고아낸 따뜻한 차가 나왔다. 간장을 조금 타서 마시는데 우리의 숭늉과 같은 구수한 맛이 났다. 민단 본부까지는 걸어서 갔다. 아자부는 에도 막부 시절 지배계층인 무사들이 주로 거주하던 지역으로 가는 방향의 오른쪽으로 나 있는 10번가 골목은 고급 쇼핑가로 통한다. 특히 이 곳은 서울의 광화문 사거리나 한남동처럼 도쿄에 주재하는 각국 외교 공관과 관저가 밀집되어 있다.

“조국 돕겠다며 줘버렸다”

한국대사관도 아자부에 있는데 지금은 기존의 공관과 관저를 뜯어내고 새로 짓는 중이었다. 대사관 터는 3000여 평 정도로, 세계적으로 땅값이 비싸기로 유명한 도쿄 중심가인 점을 감안하면 단일 시설물의 면적치고는 꽤 넓은 편이었다. 현지 부동산 전문가의 말에 따르면 대사관 터의 현 시세는 버블 붕괴 이전보다는 떨어졌지만 여전히 눈이 휘둥그레 질 정도의 액수였다. 정 단장은 “도쿄에 있는 모든 외교 공관 중에서 위치와 면적에 있어 미국대사관 다음 규모로 꼽히는 곳이 한국대사관”이라고 설명했다.

이 한국대사관은 한국과 일본이 1965년 수교하기 이전 대표부 시절부터 사용되어왔다고 한다. ‘1960년대 가난한 한국 정부가 어떻게 당시에도 도쿄의 외교중심지였던 이곳에서 다른 선진국 공관보다 훨씬 더 넓은 땅을 확보할 수 있었을까’라는 의문이 들었다.

정 단장의 설명은 좀 놀라웠다. 한국대사관 터는 일본의 귀족이 살던 곳이었는데 재일교포로 판본방직의 사주이던 서갑호씨가 ‘조국을 돕겠다’는 일념으로 사들여 한국 정부에 무상으로 줘버렸다는 것이다. 일본에는 한국대사관 외에도 도쿄, 요코하마, 오사카, 나고야, 고베, 후쿠오카, 삿포로, 센다이, 니가타, 히로시마 소재 10개의 한국영사관이 있는데 이들 영사관의 부지도 거의 대부분 재일교포가 한국 정부에 기증한 것이라고 한다.

1/5
도쿄=허만섭│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mshue@donga.com│
목록 닫기

64돌 재일한국민단 ‘못다 한 이야기’ 정진 단장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