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Global Asia - 신동아 특약

미국과 중국의 해군력 비교

“자국 연안 특화된 중국군 집중력, 미 항공모함 무용지물 만들 것”

  • 글·제임스 홈즈, 요시하라 도시│미 해군대학 부교수 번역·강찬구│동아시아재단 간사

미국과 중국의 해군력 비교

2/3
미국과 중국의 해군력 비교

1월9일 밤 공군기 편으로 중국 베이징 공항에 도착한 로버트 게이츠 미국 국방장관(왼쪽)이 마샤오톈 중국 인민해방군 부총참모장과 악수하고 있다. 게이츠 장관은 3박4일의 방중 기간에 량광례 중국 국방부장과 국방장관 회담을 했다.

그러나 이를 근거로 중국 해군의 규모나 힘이 미 해군의 2배라고 말하는 것은 터무니없다. 중국 해군의 통계치에는 감시정이나 해양조사선, 예인선은 물론 실제 대함전(fleet encounter)에는 거의 도움이 되지 않는 구식 나룻배들까지 포함돼 있기 때문이다. 이는 미 해군이 보유한 일부 함선도 마찬가지다. 경제난에 따른 예산 감축으로 미 해군이 속 빈 강정 신세로 전락했던 1970년대에 건조된 함정들, 즉 올리버해저드페리급(級) 유도미사일 프리깃 같은 플랫폼도 숫자에 포함돼 있는 것이다. 당시 제한된 예산 속에서 함정 숫자에만 초점을 맞추다 보니 비싸지 않은 군함을 대량으로 구매하자는 결론이 나왔고, 이러한 정책이 전투력 저하로 이어졌음은 잘 알려진 사실이다.

단순통계를 믿을 수 없는 이유는 그뿐이 아니다. 미 해군의 훈련 및 배치방식에 따르면 전체 함대의 3분의 1은 해외에 배치되고, 또 다른 3분의 1은 훈련이나 정비 라인에 투입되며, 나머지 3분의 1은 장기수리에 들어가 아예 전투수행이 불가능한 상태다. 따라서 개념상으로 사령관이 운용할 수 있는 해군 자산은 전체의 3분의 2밖에 되지 않는다.

게이츠 장관이 근거로 든 총톤수 비교는 어떨까. 이 역시 함대의 전투력를 종합적으로 측정하는 데에 믿을 만한 기준이 못 된다. 덩치가 큰 전투함일수록 더 많은 무기를 실을 수 있고, 더욱 범위가 넓은 레이더와 전투시스템을 탑재할 수 있으며, 연료 적재량이 커져 항해거리도 멀어지는 것은 사실이다. 그러나 예를 들어 살펴보면 이러한 접근방식이 가진 한계가 단번에 눈에 들어온다. 한때 최고의 수상 전투함으로 불린 아이오와급 전투함(지금은 생산되지 않음)은 배수량이 5만8000t에 달하는 반면 현재의 DDG-51 알레이버크급 유도미사일 구축함은 9494t에 불과하다. 그러나 두 전투함이 가상전투를 벌일 경우 알레이버크급 구축함은 아이오와급 전투함의 사정거리 밖에서 장거리 대함 유도미사일을 발사해 이 전투함의 엄청난 화력을 쉽게 제압할 수 있다. 장담컨대 승리는 언제나 알레이버크급에 돌아갈 것이다.

더욱이 정치지도자들이나 해군 지휘관들은 전함의 덩치가 클수록 이를 실전에 투입하기를 꺼리는 묘한 특성을 갖고 있다. 러일전쟁의 경우를 보자. 도고 헤이하치로가 이끄는 일본의 연합함대에 맞서기 위해 러시아가 태평양 소함대를 출정시켰다면 잃을 것보다는 얻을 게 훨씬 많았겠지만, 당시 러시아 함대는 그냥 항구에 머물렀다. 해당 함대에 걸려 있는 자본과 국가적 명예가 크면 클수록 실제로 전투에 투입될 가능성은 줄어든다. 단호한 정치적·군사적 리더십이 부재할 경우 대형 함대는 쓸모없는 자산이 될 공산이 크다는 것이다.

양국 해군의 병력 숫자로 접근한다면 답이 나올까. 미 해군 소속 장병은 총 32만9000명이며 해병대 소속 장병은 20만2000명으로 중국 해군 병력의 2배에 달한다. 대규모 함대를 이끌기 위해서는 그만큼 많은 인원이 필요하고 해병대는 강력한 자체 공격력을 보유하고 있으므로 언뜻 이러한 비교가 타당한 것으로 보일 수도 있다. 그러나 병력규모 또한 작전상황에 따라 크게 영향 받기는 마찬가지다. 예컨대 대함전 중에 지상작전이 전개되지 않는 한 해병대원들은 별다른 기여를 할 수 없다. 오히려 수송수단이 취약한 경우에는 표적으로 전락하고 만다. 항공모함 비행단의 해병대 소속 조종사들만이 적군에 타격을 가할 수 있다.



총톤수나 병력이 해군력을 측정하는 기준으로 사용될 수 있는 경우는 다음과 같다. 동일한 작전 수행을 위해 두 개 함대가 조직되고 총체적으로 한 함대가 다른 함대를 대체한다고 가정한다면 총톤수가 더 많은 함대가 더 강하다고 할 수 있을 것이다. 덩치가 큰 배가 더 많은 화력을 장착할 수 있고, 연료 적재량도 많고, 방어시스템도 한층 개선된다. 더 넓은 지역에서 더 오랜 기간 작전을 펼칠 수 있게 되는 것이다. 게이츠 장관이 해군협회 연설을 통해 설명하려 했던 점은 바로 이 부분인 듯하다. 그러나 이는 세계 각국의 모든 해군 함대가 미 해군과 동일한 목적과 작전과제를 갖고 있다고 가정하는 경우에나 맞는 말이다. 기껏해야 신빙성이 결여된 가정이고 더욱이 중국 상황에는 전혀 맞지 않다.

2/3
글·제임스 홈즈, 요시하라 도시│미 해군대학 부교수 번역·강찬구│동아시아재단 간사
연재

Global Asia - 신동아 특약

더보기
목록 닫기

미국과 중국의 해군력 비교

댓글 창 닫기

2023/04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