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이들 브랜드의 공통적인 기술 변화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탑재했다는 점이다. 안드로이드 2.2 기반의 모토로라 아트릭스는 듀얼 코어 프로세서에 HD급 4인치 디스플레이를 장착했으며 지문인식 기능을 탑재, 소비자 관점에서 기술적 진보를 이뤄냈다는 평가를 받고 있다. 삼성전자의 차기 모델은 4.3인치 슈퍼 아몰레드 플러스 디스플레이에 듀얼 코어 프로세서와 근거리 무선통신용 칩인 NFC 등을 갖추었다.
가장 눈에 띄는 것은 LG전자다. 지난해 보급형 스마트폰 옵티머스원으로 겨우 체면을 유지했던 LG전자는 스마트폰 후발주자로서 그간의 부진을 설욕하듯 가장 먼저 듀얼 코어 탑재 스마트폰을 선보이며 자신만만한 행보를 이어가고 있다. 2월14일부터 4일간 스페인 바르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1’에서 야심작을 선보이며 주목받은 LG전자는 올 상반기 기술력은 물론 차별화된 애플리케이션 전략으로 스마트폰 시장을 잠식하겠다는 포부를 밝혔다.
두 개의 뇌, 듀얼 코어 스마트폰

지난 2월14일부터 스페인 바로셀로나에서 열린 ‘모바일 월드 콩그레스 2011’에 만들어진 LG전자 부스.
‘옵티머스 2X’는 LG전자가 자사의 모바일 기술과 멀티미디어 기술을 집약한 현존 최고 사양의 스마트폰이라고 자평하는 모델로, 엔비디아(社)의 1GHz ‘테그라2 듀얼 코어 프로세서’를 장착해 스마트폰의 속도와 성능을 혁신적으로 향상시켰다. 4인치 디스플레이, 16GB 내장메모리, 800만화소 오토포커스(AF) 카메라, 안테나 내장형 지상파 DMB, 1500mAh 대용량 배터리 등 2011년 전략 모델다운 최고 사양을 적용했다. 1080p 풀HD 영상 녹화는 물론, ‘미러링 HDMI(High Definition Multimedia Interface)’ 기능으로 HDMI를 지원하는 TV나 스크린에 연결하면 풀HD 영상이나 콘텐츠를 전체 화면으로 구현할 수 있다. 특히 ‘9축 자이로스코프 센서’를 내장해 TV 등에 연결하면 자동차, 스포츠 등 동작을 인식하는 역동적인 모션 컨트롤 게임을 큰 화면으로 실감나게 즐길 수 있다. TV 화면으로 영상통화가 가능한 것은 물론 3D TV와 연결하면 ‘옵티머스 2X’에 저장된 3D 영상을 TV 화면으로 감상할 수 있다. DLNA 규격을 갖춘 TV나 PC와 음악, 사진, 동영상 등을 무선으로 상호 공유해 재생할 수도 있다.
휴대전화에 적용된 세련된 디자인 감각으로 차별화를 강조해왔던 LG전자가 2011년 전략 스마트폰의 스타일 혁신을 강조한 모델 ‘옵티머스 블랙’은 유명 팝 아티스트인 키스해링의 작품을 디자인에 접목한 제품이다. LG전자가 새로운 모바일 및 디스플레이 기술과 디자인 경쟁력을 집약한 야심작으로 내세운 ‘옵티머스 블랙’은 밝기와 절전 성능을 대폭 개선한 ‘노바 LCD 디스플레이’를 탑재, 현존 스마트폰 중 화면이 가장 밝고 무게는 가장 가볍다. 노바 디스플레이는 기존 IPS LCD패널에 비해 작은 격자무늬를 적용한 것으로 더 많은 빛을 통과하면서도 전력 소모량은 50%가량 줄일 수 있다. 무엇보다 109g의 무게, 측면 두께 6㎜에 가장 두꺼운 부분도 9.2㎜에 불과한 슬림한 초경량 디자인이 매력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