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Interview

‘거리의 사제’ 박문수 신부

“약자 편에 서는 게 정의구현, 정치적이지만 정당정치는 아니다”

  • 이남희│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irun@donga.com

‘거리의 사제’ 박문수 신부

1/5
  • 1969년 한국을 찾은 ‘벽안의 신부’는 40년간 도시 빈민의 곁에 있었다.
  • 국적도, 화려한 교수직도 버린 채 이들을 위한 공동체를 일궜다.
  • ‘거리의 사제’ 박문수 신부, 그가 우리를 부끄럽게 한다.
‘거리의 사제’ 박문수 신부
서울 마포구 신수동 서강대 옆 예수회 한국관구 본부. 조용한 건물 안으로 들어서자 ‘예수회 인권연대 연구센터’ 팻말이 눈에 들어온다. 지난해 2월 설립된 이곳은 가난한 소외층과 함께하는 단체들에 다양한 연구 자료와 정보를 제공하는 ‘사회운동의 싱크탱크’다.

이 센터를 이끄는 주인공은 미국 출신의 박문수(70·본명 프란시스 부크마이어) 예수회 신부다. 1969년 한국에 들어온 이래 그는 ‘거리의 사제’로 불리며 빈민구호에 앞장서왔다. 서강대 사회학과 교수로도 20년간 몸담았지만, 미련 없이 그 자리를 떠났다. 가난한 이웃과 함께 만들어가는 공동체에 오롯이 집중하기 위해서였다. 이제는 예수회 인권연대 연구센터 소장을 맡아, 활동가들을 위한 이론 연구에 집중하는 중이다.

지난 1월 서강대 총동문회(회장 김호연)는 ‘2011년 서강대 총동문회 신년하례식’에서 박 신부에게 ‘올해의 자랑스러운 서강인상’을 수여했다. 그의 헌신적 삶에 대한 존경과 감사의 표시였다.

꽃샘추위가 채 가시지 않은 3월2일 박문수 신부를 만났다. 그의 평온한 표정은 상대방의 마음을 금세 무장 해제시켰다. 고희(古稀)라는 사실이 잘 믿기지 않을 정도다. 사제복에 개량한복 저고리를 덧입은 모습은 친근하고 소탈하다. 느리지만 유창한 그의 한국말을 듣노라니 대학 시절 강의실로 돌아간 듯한 착각에 빠졌다.

막 대화를 시작하려는데 박 신부의 휴대전화 벨이 울린다. 서울 강남 지역 비닐하우스 마을 주민들이 그를 곧 방문한다는 전화였다. 빈민운동 현장에서 그는 든든한 조언자다.



‘공동체 정신’의 힘

▼ 그분들이 어떤 용건으로 신부님을 찾아오나요?

“지난해 강남, 서초, 송파구에 있는 비닐하우스 촌을 다니며 공동체에 대해 특강을 했어요. 이후 그분들의 회의에 참석할 때도 있었죠. 오늘은 제게 상의할 게 있어서 찾아온다고 하네요.”

▼ 철거민이나 비닐하우스 촌 주민들에게 주로 어떤 조언을 해주시나요?

“목표를 실현하기 위해 어떤 정신을 가져야 하고, 공동체를 만드는 데 어떤 어려움이 생기는지, 또 어려움은 어떻게 극복해야 하는지 그 원칙을 얘기합니다.”

▼ 그 원칙이라는 게 구체적으로 뭔가요?

“어려움에 처했을 때 힘을 한데 모아 자신들의 요청을 관철할 수 있는 공동체를 만들어야 합니다. 공동체의 목적이 확실해야 하고, 구성원은 ‘이 목적을 위해서 모였다’는 인식을 뚜렷하게 가져야 합니다. 또한 자신의 이기심을 극복하는 걸 배워야죠. 쫓기며 어렵게 살아온 이들은 아주 강하게 나의 것을 요청하지 않으면 무시당하는 경험을 많이 했기 때문에 이기적으로 변하기 쉬워요. 뽑힌 지도자에 대해 지나치게 많은 걸 요구하고, 그 요구가 그대로 이뤄지지 않으면 실망하고 싸우죠. 이런 일을 경계해야 합니다. 또 하나 주의해야 할 것은 소문입니다. 소문이 막 날아다녀요. 그 소문을 그대로 믿지 않고 확인해봐야 합니다. 그러기 위해서는 개방된 의사소통을 배워야죠. 우리끼리 갖고 있는 정보에 대한 이기심도 극복해야 해요. ‘함께해야 더 잘된다’는 정신이 있어야 공동체의 문제를 풀어갈 수 있어요. 욕심만 채우기보다 서로 존중하는 걸 배워야죠.”

▼ 이기심 때문에 구성원들끼리 싸우다가 더 큰 걸 놓치기 쉽죠.

“공동체에서 파가 갈려 끼리끼리 싸우는 일이 다반사로 일어나기 때문에, 공동체 정신을 잘 배워야 합니다.”

▼ 외부인이 공동체에 들어가, 구성원을 자극하고 갈라놓거나 폭력 시위를 조장하기도 합니다.

“외부에서 그런 전략을 쓰는 경우도 있죠. 그것을 극복하는 것이 중요해요. 그건 제가 강의할 수 있는 부분이 아니고 교육과 훈련을 많이 받은 조직가가 그 속에 들어가야 합니다.”

1/5
이남희│동아일보 신동아 기자 irun@donga.com
목록 닫기

‘거리의 사제’ 박문수 신부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