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별책부록 | 명사의 버킷 리스트

최성각 작가 · 풀꽃평화연구소장

당나귀 한 마리가 필요하다

최성각 작가 · 풀꽃평화연구소장

2/2
그러나 그런 엄청난 일들을 내 힘만으로 어찌할 수 없다는 절망감과 한계 때문에 나는 이내 쓸쓸한 심정에 휩싸이게 될 것이다. 내 품을 벗어난 두 딸자식이 사람보다 돈을 더 중요하게 여기는 물신의 가치관에 함몰되어 혹시 흔들리고 있지나 않는지 당나귀 위에서 안부전화를 걸어볼 것이고, 내 대단찮은 생애에 걸쳐 내가 맡아야 했던 여러 종류의 다양한 의무를 수행하는 과정에서 혹시 생각이 짧거나 넘쳤던 적은 없었는지 당나귀 잔등에서 흔들리면서 반성할지도 모른다. 우정에 대해서도 생각해볼 것이다. 언제 어느 때나 마음을 온전히 털어놓아도 되는 좋은 친구를 한 명쯤 갖기를 평생 그토록 갈망했지만, 내가 누군가의 좋은 친구가 되기 위해 스스로도 인정할 만큼 헌신한 적이 있던가, 냉철하게 자문해볼 것이다.

사랑하는 내 당나귀는 내가 뭔가 자숙하는 심정일 때에는 틀림없이 내 사색을 방해하지 않기 위해 천천히 걸을 것이고, 내가 활기차게 아침을 시작하면 덩달아 겅충겅충 달릴 것이다. 당나귀 잔등에서 내려선 뭘 하나? 나는 하루 종일 당나귀를 위해 아낌없이 시간을 사용할 것이다. 내 논에서 생산된 쌀겨를 마구간에 넉넉하게 깔아줄 것이고, 현미를 깎는 과정에서 부산물로 나온 ‘싸라기’는 여물을 끓일 때마다 듬뿍 넣어줄 작정이다. 당나귀가 좋아하는 풀을 나는 기어이 찾아내고야 말 것이고, 그 과정에서 나는 땅 위의 여러 풀에 대해 전보다 더 잘 알게 될 것이다. 사람을 말만 앞세우고 나약하게 만들기 쉬운 책보다는 언제나 과묵하고 믿음직스러운 당나귀와 더 많은 시간을 보낼 것이다. 삼태기를 둘러메고 들과 산에서 좋은 먹을거리를 구하고, 마구간은 언제나 신속하게 똥을 치워 늘 깨끗한 상태를 유지할 것이다. 당나귀 똥은 양지 바른 곳의 편평한 돌 위에 잘 펼쳐 말려 여물을 끓일 때 땔감으로 사용할 작정이다. 틀림없이 구수한 냄새가 진동할 것이다. 나는 일처럼 자주 당나귀의 목덜미를 쓰다듬어줄 것이고 그의 뺨에 내 뺨을 자주 비벼댈 것이다. 때 없이 내가 당나귀의 이름을 큰소리로 부르면, 검고 맑은 눈을 가진 당나귀는 어김없이 성의껏 반응할 것이고, 그 일련의 시간들은 어쨌거나 나를 무척이나 황홀하게 할 것이다. 대장간에서는 좋은 쇠붙이로 편자를 넉넉하게 주문해 맞춰놓을 것이다. 간혹 친구들이 찾아와 내 당나귀에 깊은 관심을 보일 때 그 친구가 평소 신중한 사람이었다면 기꺼이 고삐를 건네줄 용의가 있다. 그리고 안전하고 아름다운 내 논자락의 당나귀 길에서 산책해보라고 권할 것이지만, 절대 함부로 올라타지는 못하게 할 것이다.

어떤 예리하고 당돌한 젊은 친구가 “왜 하필이면 당나귀지요?”라고 물으면, 나는 “멋있잖아요!”라고 부드럽지만 단호하게 대답해줄 것이다. 그는 내 짧고 무뚝뚝한 답변에 자신이 왠지 묵살당한 것 같은 느낌에 잠시 사로잡히게 될 것이다. 그가 한 가지 간과하고 있는 것이 있으니, 죽기 전에 어떤 사람이 필생의 결단으로 당나귀를 키우든, 배추벌레를 키우든 그것은 궁금해 하기보다는 무조건 존중해줘야 하는 게 옳은 태도라는 게 그것이다.

누군들 안 그렇겠는가만, 나 역시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들과 관련해 당나귀와 노는 일말고도 사실 이것저것 몇 가지는 더 댈 수 있다. 시의원이나 구의원을 비롯해 사람들 모두 해외여행을 지나치게 좋아하는 것 같아 어떤 때에는 그 대열에 끼어들고 싶지 않을 때도 있지만, 온 세상을 젊은 날처럼 배낭 하나 둘러메고 한 번 더 돌아다니고 싶은 욕망도 있다. 악기 하나쯤은 제대로 배우고 싶고, 바둑실력도 좀더 심오해지고 싶고, 헨리 데이비드 소로의 흉내를 내서 통나무집도 한 채 내 힘으로 지어보고 싶고, 나를 모욕한 이들에게서는 기어이 사과를 받아내고, 내가 시민운동 하던 시절 본의 아니게 상처를 주었던 이들에게는 공의(公義)를 지나치게 앞세우느라 그랬노라고 정중하게 사과하고도 싶다. 한 사람의 책 중독자로서 평생 모은 내 약간의 책들은 ‘퇴골 마을도서관’이라는 이름으로 마을에 기증하게 될지도 모르겠다. 도서관 현판은 잘 마른 대추나무에 내가 직접 서각을 해 걸 작정이다. 시골까지 기꺼이 찾아온 이 세상의 진짜 책벌레들은 아마도 상당히 경건한 마음으로 도서관에 들락거리게 될 것이다. 당나귀가 쉴 때에는 사람들이 너무 쉽게 버린 목재들을 잔뜩 주워 모아뒀으니, 그것들로 의자나 탁자나 책 받침대를 만들어 사소한 신세를 진 이들에게 선물을 하는 것이다. 내 조잡한 목공작품을 선물 받은 이들이 즐거워해야 할 텐데, 그것까지는 모르겠다.

죽기 전에 하고 싶은 일들의 성사 여부는 아무리 생각해봐도 꼭 ‘돈의 문제’는 아닌 것만 같다. 내 비록 부유하지는 않지만, 필요 이상으로 지나치게 이것저것 많이 지니고 있는 것도 사실 아니겠는가. 죽기 전에 내 힘으로 쌀농사짓고 겨우 당나귀 한 마리 키우겠다는데 그것도 정녕 불가능한 일이란 말인가. 그나저나 ‘죽기 전’이 언제인가? 아직 살아 있는 ‘바로 지금’이 아니겠는가. 도가(道家)의 고수도 아닌 내가 내 죽을 때를 어찌 알 것이며, 설사 안다 한들 어찌 내가 그 순간을 내 마음대로 당기거나 늦출 수 있겠는가. 아무래도 몬순이 오기 전에 당나귀 구하러 히말라야로 들어가봐야겠다.

신동아 2011년 4월호

2/2
목록 닫기

최성각 작가 · 풀꽃평화연구소장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