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조윤선<br>●1966년 서울 출생<br>●세화여고, 서울대 외교학과, 컬럼비아대 법학석사<br>●김&장법률사무소 변호사, 한나라당 대변인<br>●‘미술관에서 오페라를 만나다’ 등
봉사하는 젊은이들과 함께하기
1980년대에 대학을 다닌 나는 인생이 100m 달리기인 줄로만 알았다. 결승점에 도착하는 순서대로 인생의 성패가 좌우된다 믿었다. 왜 뛰는지도 모르고 그저 신호가 울리면 남 따라 뛰는 트랙. 거기서 남보다 출발이 늦거나, 넘어지기라도 하면 영영 낙오되는 줄 알았다. 나에게 치열한 삶이란 한 번도 트랙에서 벗어나지 않고, 한 번도 한눈을 팔지 않으며, 한 번도 남을 앞서 보내지 않는 것만을 의미했다.
사회생활을 시작하고, 가정을 꾸리고, 아이를 낳아 키우면서, 인생은 남과 일렬로 서서 뛰는 겨루기가 아니라는 걸 깨닫기 시작했다. 우리에게 인생은 단지 광야에 홀로 서서 걸어내는 것이었다. 빨리 가면 즐거움을 놓치고, 멀리 간다 한들 아무도 칭찬해주지 않는다. 인간이 한 번도 가보지 못한 곳을 찾아 인류의 외연을 넓히지 않는 한 말이다.
그런데 최근 수많은 젊은이가 아프리카나 중남미의 오지를 찾아 금쪽같은 시간을 아깝다 하지 않고 봉사하는 모습을 보고 나는 참 창피했다. 나는 젊음을 벗어나서야 알게 되었던 것들을 요즘 젊은이들은 기특하게도 일찍 깨달았다. 지난 1월 아프리카의 탄자니아와 에티오피아에 가서 헌신하고 있는 젊은이들을 만났다. 어디서부터 어떻게 도와야 할지 막막한 곳이었지만 그들은 직접 몸으로 부딪치며 정성을 쏟았다. 말이 아닌 체온으로 온기를 불어넣어주는 이들의 행군에 동참하고 그들이 있는 곳을 하나하나 찾아가 그들이 가는 길을 더 넓게, 더 편안하게 만들어주고 싶다.
역사에 이름 남길 거장들 생전에 만나기
역사에 이름이 남은 예술가에게는 성인(聖人)과 다를 바 없는 무엇인가가 있다. 지난해에는 독일 신표현주의의 거장 게오르규 바젤리츠를 만났다. 팝아트의 쓰나미 속에서도 정통 회화성을 지켜낸 대가임에도 그는 마치 천진무구한 어린아이 같았다. 처음 만난 그와 헤어져 돌아오는 길 내내 눈물이 그치지 않았다.
현대미술은 더 이상 화폭 위의 표현만으로 평가되지 않는다. 이미 표현의 방법과 매개가 끝도 없이 확장되는 현대미술에서 한 작가에 대한 평가는 곧 그의 인생에 대한 평가일 수밖에 없다. 하나의 화폭에 담긴 작가의 인생이 얼마나 절절하고, 진실되고, 창의적인지에 의해 그 작가의 가치가 매겨진다. 그래서 역사상 그 어느 시기보다도 작가의 삶, 작가라는 인간 자체가 예술의 큰 부분을 차지한다. 현대 작가들의 작품세계는 그림과 화집만으로 완전히 이해하기 어렵다. 그들을 인간으로서 만나보아야 하는 이유가 여기에 있다.
지난해 바젤리츠를 만나고 난 후 그와의 만남에 대해 짧은 글을 한 편 썼다. 지금 여든 안팎의 거장들. 게르하르트 리히터, 안셀름 키퍼, 알렉스 카츠, 로베르토 인디아나…. 더 늦기 전에 이들을 만나 나와 동시대에 호흡한 천재들의 ‘기’와 ‘끼’를 느끼고 싶다. 그리고 그들과의 만남을 나의 글에 가두어 간직하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