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김형오<br>●1947년 경남 고성 출생<br>●경남고, 서울대 외교학과, 정치학과 석사<br>●동아일보 기자, 한나라당 사무총장<br>●국회의장
이들의 크고 작은 ‘희망 리스트’는 자신과의 약속과 다짐, 의지와 신념의 표현이기도 하다. 그 길은 ‘행복’을 향하고 있다. 그런 의미에서 버킷 리스트는 종착역이 ‘행복’이라고 적힌 여러 장의 티켓과도 같다.
우리는 누구나 인생에서 해피엔딩의 주인공을 꿈꾼다. 아름다운 마무리를 짓고 싶어한다. 내가 다녀간 세상에 무언가 의미 있는 흔적, 가치 있는 이름으로 남겨지기를 원한다.
그러기 위해서는 먼저 버킷 리스트를 가슴에 새겨야 한다. 성취하려면 도전해야 하고, 꿈을 이루려면 꿈을 품어야 하기 때문이다. 설령 도달하지 못하면 어떠리. 꿈을 향해 나아가는 사람은 훗날 적어도 그 꿈에 몇 발짝 더 가까이 다가가 있는 자신의 모습을 발견하게 될 것이다.
내가 아는 가장 아름답고 거룩한 버킷 리스트의 주인공은 김구 선생이다. 고등학교 때 ‘백범 일지’에 수록된 ‘나의 소원’이란 글을 읽으면서 얼마나 가슴이 뭉클했던가. 백범의 버킷 리스트는 오직 하나였다. 첫째도 ‘대한 독립’, 둘째도 ‘우리나라의 독립’, 셋째도 ‘우리나라 대한의 완전한 자주 독립’이었다.
나에게도 버킷 리스트가 있다. 크게는 손가락 다섯 개 안쪽으로 꼽을 수도 있겠지만, 소소한 것까지 나열한다면 웬만한 수첩 한 권으로도 부족할 것이다. 어떤 목록은 이미 이뤄 지운 것도 있고, 앞으로 새롭게 써나갈 항목도 있으리라.
나는 그 리스트를, 나의 소망인 동시에 약속이라고 생각한다. 나와의 약속도 있고 가족과의 약속, 국민과의 약속도 있다. 시대와의 약속, 역사와의 약속도 있다. 그러므로 나는 남은 생을 온전히 이 소망을 이루고 이 약속을 지키는 데 바칠 생각이다. 그중 몇 가지를 여기에 적어본다.
영어 연설
부끄러운 고백이지만 나는 영어를 잘 못한다. 뒤늦게 배워보려고 애는 쓰고 있지만 걸음이 더디기만 하다. 영어가 잘 들리지도 않고, 입도 쉽게 안 열린다. 외교학과 출신에 국회 외교통상위 소속으로서 영 체면이 안 서는 노릇이다.
그래도 기회만 닿으면 나는 영어로 연설하고 있다. 캄보디아 수도 프놈펜에서 개막한 아시아정당국제회의, 그리고 미국 스탠퍼드 대학에서 열린 학술회의에서 기조연설을 할 때도 영어를 사용했음은 물론이다. 그뿐만 아니라 주한 외국 대사관이 주최하는 국내 행사에서 축사를 할 때도 나는 웬만하면 영어로 연설하고 있다. 어느 날 그럴싸한 자리에서 그럴싸한 내용으로 적어도 5분은 머리를 숙이지 않은 채(원고를 보지 않고) 영어 연설을 하는 꿈은 그래서 내 버킷 리스트의 한 줄을 차지하고 있다.
아내와 손잡고 여행하기
내가 바쁘다는 핑계로 가족과 여행할 기회가 드물었다. 국회의장 재임 시절의 공식적인 해외 순방, 국정감사 기간을 틈탄 우리 땅 탐방에 몇 차례 아내를 동반한 것이 고작이다. 그때마다 아내는 소녀처럼 얼마나 즐거워하던지…. 탐방의 결과물인 두 권의 책(‘길 위에서 띄운 희망편지’ ‘사랑할 수밖에 없는 이 아름다운 나라’)을 쓰는 데도 아내의 도움을 많이 받았다.
여행이란 투자 대비 효과가 아주 큰 ‘생산적 소비 활동’이다. 심신 건강 유지에도 여행만한 것을 찾기 힘들다. 정계에서 은퇴해 시간이 자유로워지면 아내와 손을 잡고 추억과 낭만, 충전과 활력을 얻기 위해 자주 길을 떠날 생각이다. 그 여행길에 가끔은 손자 손녀들도 데려가고 싶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