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체재 VS 보완재

키보드를 연결해 입력이 더욱 편리해진 애플의 태블릿PC ‘아이패드’.
물론 태블릿은 노트북이나 데스크톱 컴퓨터에 비해 컴퓨팅 파워가 떨어지고 속도가 느리다. 또한 풀 터치 방식의 풀 스크린으로 작동하기 때문에 키보드가 없어 타이핑이 불편하다. 특히 기존 노트북 컴퓨터에서 사용하던 소프트웨어들(한글, MS오피스, 인터넷 익스플로러 등)을 사용할 수 없어 컴퓨터와의 호환성도 떨어진다. 이런 이유로 ‘태블릿은 컴퓨터의 대체재로서 상대가 안 된다’는 의견도 만만치 않다.
하지만 아이패드를 시작으로 한 태블릿의 본격적인 등장은 이제 1년이 됐을 뿐이다. 스마트폰이 가져온 인터넷 사용 습관 변화가 말해주듯, 태블릿PC가 널리 보급되면 우리의 컴퓨팅 사용 습관과 환경도 크게 변화할 것이다. 굳이 윈도와 호환되는 소프트웨어를 사용할 필요가 없어진다. 인터넷 익스플로러가 아닌 다양한 브라우저로 인터넷을 사용하는 데 무리가 없는 세상이 되고 있다. 태블릿PC의 보급과 함께 컴퓨터에 설치된 소프트웨어나 특정 브라우저 없이도 어떤 디바이스에서나 컴퓨팅을 할 수 있는 세상이 더 빨리 다가오게 될 것이다.

노트북 컴퓨터를 대신하는 모토롤라의 스마트폰 ‘아트릭스’.
아이패드의 등장으로 가정에서 태블릿PC를 사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굳이 컴퓨터를 켜지 않아도 소파나 침대, 식탁, 거실이나 주방 어디에서나 태블릿PC를 쉽게 사용한다. 태블릿PC의 등장으로 방 안의 컴퓨터 앞에 앉아 있는 시간이 줄어들었다. 심지어 회사에서도 PC 앞에 앉아 있기보다는 비즈니스 전용 태블릿을 이용하는 빈도가 높아지고 있다. 회사로서도 초기 투자비와 유지, 운영비가 비싼 컴퓨터보다는 태블릿이 훨씬 경제적일 수밖에 없다. 외근을 하거나 사내에서 이동이 잦은 직장인들도 쉽게 휴대할 수 있는 태블릿을 선호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