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경기저축은행과 문희상 의원 가족 회사 간 부동산매매계약서.
여야는 ‘저축은행 국정조사’를 실시하기로 합의했다. 어떤 사람들이 증인으로 불려나올 것인지가 벌써 관심 사안으로 떠오른다.
저축은행의 불법·부실에는 은행 경영진과 금융 감독기관의 공생이 자리 잡고 있었다.
정치권도 저축은행의 불법을 비호하는 든든한 울타리나 청탁로비의 대상이었던 점이 드러나고 있다. 검사 출신 여권 인사인 은진수 전 감사위원이 저축은행 측으로부터 금품을 받은 혐의로 구속됐다. 공성진 전 한나라당 의원의 여동생이 저축은행으로부터 받은 1억8000여만원의 성격을 놓고 검찰 수사가 진행 중이다. 야당은 신삼길 삼화저축은행 명예회장이 여권 실세를 상대로 로비를 했다는 의혹을 제기하고 있다.
저축은행 사태의 파장은 야당 쪽으로도 번지고 있다. 임종석 전 열린우리당 의원의 보좌관은 삼화저축은행으로부터 1억여 원을 받아 임 전 의원의 전당대회 출마에 사용한 것으로 알려지고 있다.
“민주당이 더 문제”
여당인 한나라당은 “저축은행 비리의혹은 전(前) 정권인 야당이 더 문제”라고 역공을 펴고 있다.
청와대는 민주당 모 당직자를 지칭하면서 “목포 보해저축은행의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을 상향조정해 달라고 청와대에 부탁했다”는 의혹을 제기했다.
‘동아일보’에 따르면 보해저축은행의 모회사인 보해양조 임건우 회장은 2009년 2월 박지원 의원에게 500만원을 후원했다. 박 의원은 “당시는 저축은행이 아무런 문제가 되지 않던 시기”라고 해명했다고 한다. 이명규 한나라당 원내수석부대표는 감사원의 부산저축은행 감사에 대해 “박지원 의원이 국회 상임위에서 ‘개인 기업을 왜 감사하냐’고 따졌다. 누군가의 부탁을 받은 것으로 짐작할 수 있다”고 주장했다. 이에 대해 박 의원은 “내가 마치 저축은행을 비호한 것처럼 몰고 있다”고 반박했다.
이렇게 저축은행 사태를 둘러싼 공방이 진행되는 가운데 전직 저축은행 직원 두 명은 최근 ‘신동아’에 “야당이 집권하던 시절(2000~01년)에도 당시 여권 실세와 저축은행 사이에 석연치 않은 점들이 있었다”면서 “문희상 민주당 의원과 경기저축은행 간에 의혹이 있다”고 주장했다. 이들의 주장은 검증해볼 만한 공적인 필요성이 높아 보였다.
2000년 경기도 의정부시 동아신용금고는 BIS(국제결제은행 기준 자기자본비율) 기준 미달로 예금보험공사(이하 예보)에 의해 영업정지 처분을 받은 뒤 같은 해 12월경 진흥신용금고에 인수된다. 이후 동아신용금고는 경기코미트신용금고(현 경기저축은행)로 이름을 바꾸게 된다.
전직 직원들의 주장
이진주 전 동아신용금고 부장은 “진흥신용금고 측이 동아신용금고를 인수하는 과정에서 공적자금 1654억여 원이 들어갔다. 진흥신용금고 측은 자기 자본 68억여 원 정도 썼다. 인수과정에서 당시 여권 실세 개입 의혹이 있었다”고 주장했다.
동아신용금고(경기코미트신용금고)의 전 직원 김모씨는 “금고 인수와 관련해 ‘잘 도와달라’는 메시지를 의정부 지역 국회의원인 문희상 의원에게 전달한 적이 있다”고 말했다. 다음은 김씨와의 인터뷰 내용이다.
▼ 인수되기 전 동아신용금고는 어떤 상태였나?
“BIS 비율 기준 8% 밑으로 나와 2000년 3월경 영업정지 처분을 받았다. 그 이전에 두어 번 자구책을 제출했으나 금감원에서 인정을 못 받았다. 예보 측이 금고를 관리하면서 매각을 추진했는데 진흥신용금고와 다른 모 신용금고가 인수의향서를 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