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고승철의 읽으며 생각하기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고전 ‘당의정’

  • 고승철│저널리스트·고려대 미디어학부 강사 koyou33@empas.com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고전 ‘당의정’

1/2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고전 ‘당의정’

‘고전 톡톡’<br>채운·안명희 기획·엮음, 그린비, 496쪽, 1만7000원

“고전(古典)을 읽어야 한다.”

너무도 귀에 익은 조언이다. 얼마나 고전을 경시했기에 이렇게 강조할까. “부모를 공경하라”는 가르침이 불효 시대에 나온 맥락과 비슷하다 하겠다.

고전은 필독서라지만 아무도 안 읽는 책이라 흔히 일컬어진다. 곰팡내 풀풀 풍기는 옛날이야기, 전공자들만 읽는 전문서, 논술시험 준비하려면 요약본 정도만 읽어도 되는 책…. 이렇게 인식되지 않는지?

그런데도 ‘필독 고전 100선’ 따위의 책들이 끊임없이 소개된다. 고전 읽기가 중요하긴 중요한 모양이다. 고전의 가치를 곰곰이 따져보자. 숱한 책 가운데 수백 년, 수천 년 동안 생명력을 이어왔고 오늘날에도 읽힌다면 그만큼 귀중한 양서 아니겠는가. 저술 당시의 치열한 시대정신이 반영되었기에 오늘 우리에게도 공감을 주지 않으랴.

미국과 유럽의 명문대학에는 고전 강좌가 수두룩하다. 컬럼비아대학교는 고전 수십 권을 읽는 프로그램으로 이름났다. 서양 문화의 원천이 되는 호메로스의 ‘일리아스’와 ‘오디세이아’ 등은 필독서다. 서양 지식인들의 글에 나타나는 다양한 비유법은 이런 고전에 뿌리를 둔다.



바쁜 세상에 비실용적인 고전을 읽으면 시간 낭비 아닌가. 이런 질문을 던지는 이에게 반론 비슷한 사례 하나를 소개하겠다. 이병철 삼성그룹 창업자는 한국의 간판 기업인이었다. 실용 부문의 챔피언이라 할까. 그는 회사 운명이 걸린 결정을 할 때면 으레 ‘논어’를 다시 찬찬히 읽었다고 한다. 2500년 전 춘추전국 난세에 공자가 가졌던 고민을 반추하면 오늘날 난제에 대한 해법이 보이기 때문이다. 그는 얄팍한 자기계발서 따위는 손에 대지 않았다고 한다.

이병철 회장의 사례를 들먹이며 “부자가 되려면 고전을 읽으라”고 부추길 뜻은 추호도 없다. 고전에서 통찰력을 얻으면 실용적인 이로움도 얻는다는 의미다. 어느 분야에서든 고수가 되려면 고급 책을 가까이 해야 한다. 특히 자신의 삶의 주인이 되려는 사람은 오래된 고전에서 새로운 지혜를 찾게 마련이다.

고전을 읽으면 좋은 줄은 알지만 막상 책을 펼쳐 들면 한두 쪽만 봐도 골치가 아픈 경우가 대부분이다. 원문이 난해하고 번역도 난삽한 탓이다. 그러나 이런 난관을 돌파해야 한다. 만화책처럼 달콤하게 읽히는 고전은 거의 없다. 어려운 만큼 한 쪽, 두 쪽 넘기며 저자의 마음을 헤아려 가면 성취감은 더 크다.

고전, 조언 아끼지 않는 현자(賢者)

‘수유+너머’라는 독특한 이름의 연구 공간 구성원들이 숱한 고전을 읽고 서평, 독후감 등을 묶은 ‘고전 톡톡’을 내놓았다. ‘고전, 톡(talk)하면 통(通)한다’라는 부제에서 짐작하듯이 구성원들끼리 치열한 토론을 벌여 책의 알맹이를 찾아낸 듯하다.

집필자 25명 가운데 몇몇 분은 이미 여러 저서를 낸 저술가다. ‘열하일기, 웃음과 역설의 유쾌한 시공간’의 저자인 고전평론가 고미숙님, ‘고추장, 책으로 세상을 말하다’를 펴낸 재야 사회학자 고병권님, ‘언어의 달인, 호모 로스’를 쓴 채운님 등이 그들이다. ‘수유+너머’ 연구원인 길진숙님(고전문학), 문성환님(한국현대문학), 박성관님(진화론), 신근영님(과학철학), 최정옥님(중국 근대문학) 등도 관련 분야에서 활발한 강의 및 집필 활동을 펼치는 전문가들이다. 경기도 수지에서 ‘인문학 공간 문탁네트워크’를 꾸려가는 공동체 연구가 이희경님도 집필자로 참여했다. 책 서문에는 집필 의의와 과정이 잘 드러나 있다. 아래에 옮겨본다.

고전은 우리의 실생활에 유용하다. 살고 죽고 싸우고 욕망하고 아파하고 기뻐하는 우리의 ‘실생활’에서, 고전은 우리에게 조언을 아끼지 않는 나이든 현자요, 피가 되고 살이 되는 양식이요, 보장이 확실한 ‘생명보험’이다. … 필자 중에는 고미숙 선생님처럼 여러 권의 책을 출간한 ‘스타 필자’도 있지만, 필자 대부분은 처음으로 ‘공적 지면’에 글을 발표하는 신인들이다. 우리는 작년 한 해 동안 각자가 공부하는 장에서 열심히 읽고 열심히 썼으며, 열심히 경청하고 열심히 깨졌다. 우리가 ‘다시 읽은’ 고전들은 이 과정에서 선택되었고, 모두들 고쳐 생각하고 고쳐 쓰기를 수도 없이 반복했다. 열 번 고쳐 쓰기는 필수요, 무려 스무 번을 고쳐 쓴 필자도 있다. 이런 공동작업을 통해, 독자는 마침내 필자가 되었다!

서문에서 밝혔듯이 저자들은 나름대로 자신이 맡은 고전 텍스트를 충분히 소화해 자기 목소리로 토해냈다. 오늘날 시각으로 재해석한 부분도 적잖다. 500쪽에 달하는 두툼한 분량인데다 동서고금의 온갖 고전이 등장하니 책을 처음 잡을 때는 주눅 들기 십상이다. 그러나 걱정하지 마시라. 저자들의 처절한 고뇌 덕분인지 독자는 경쾌하게 술술 읽는 즐거움을 만끽할 수 있다. 며칠 동안 끓인 진한 사골국물을 단숨에 들이켜는 식도락처럼…. 기지가 번뜩이는 소제목을 훑어보는 것만으로도 고전 읽기의 묘미를 간접 체험할 수 있다.

1/2
고승철│저널리스트·고려대 미디어학부 강사 koyou33@empas.com
목록 닫기

부담 없이 읽을 수 있는 고전 ‘당의정’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