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Interview

“경제학은 거짓말쟁이 해답은 불교에 있다”

‘불교 자본주의’ 신봉자 윤성식 교수

  • 송홍근 기자│carrot@donga.com

“경제학은 거짓말쟁이 해답은 불교에 있다”

1/5
  • 독특한 방식으로 고장 난 자본주의의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나선 한국 학자가 있다.
  • 미국에서 ‘주류’를 공부한 ‘일류’ 학자가 사회과학은 엉터리라고 선언하고
  • 궤도를 벗어났다. “돈이 신의 반열에 올랐다. 자본주의가 고장 난 것은
  • ‘돈교’ 탓이다. 종교는 종교로 해결해야 한다.” 그는 스티브 잡스, 안철수,
  • 보길도의 사례를 들면서 ‘불교자본주의’가 해법이라고 강조했다.
“경제학은 거짓말쟁이 해답은 불교에 있다”

● 1953년생<br>● 고려대 행정학과·오하이오대 경제학과<br> ● 일리노이대 대학원 석사(회계학)<br>● 동국대 대학원 석사(불교학)<br>● 캘리포니아대(버클리) 대학원 박사(경영학)<br>● 동국대 대학원 박사(불교학)<br>● 텍사스대(오스틴) 경영대학원 교수 <br>●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 위원장<br>● 고려대 정부학연구소장<br> ● 現 고려대 행정학과 교수

11월3일 점령(Occupy) 시위대가 미국 오클랜드에서 화물차에 실린 컨테이너 위에 올라가 ‘1% vs 99%’라는 팻말을 들고 서 있다. 컨테이너는 인류의 삶을 바꿔놓은 발명품이면서 세계화의 상징이다. 경제학자이자 언론인인 마크 레빈슨은 “한국이 무역대국이 된 배경에는 이 단순하고 멋대가리 없이 생긴 직육면체 상자의 역할이 컸다”고 말한다. 신고전학파경제학(신자유주의경제학)의 복음은 자본주의 생산력을 폭발적으로 늘렸다. 전 지구적으로 물류가 오가면서 부의 총량이 빠른 속도로 늘었다. 신자유주의는 자본과 상품의 가치를 배가하면서 생산력을 미친 듯 확장했으나 빈익빈, 부익부를 고착화한다는 결함을 가졌다. 점령 시위대(월가를 점령하라·Occupy Wall Street 등)는 컨테이너 탓에 1%는 천문학적 부를 쌓지만 99%는 실업과 저임금에 시달린다고 주장한다.

둘로 나뉜 사회가 바람직하다고 주장하는 사람은 없을 것이다. 2008년 글로벌 금융위기, 2011년 유럽 재정위기를 거치면서 ‘자본주의 이후의 자본주의’가 화두로 떠올랐다. 학자들은 자본주의를 보정하겠다면서 ○○자본주의, △△자본주의 식의 신조어를 내놓는다. 자본주의가 아닌 고삐 풀린 자본주의가 죽일 놈이라는 것이다. 장하준 영국 케임브리지대 교수는 화제작 ‘그들이 말하지 않는 23가지’의 첫마디를 이렇게 시작한다. ‘세계 경제는 만신창이가 되었다.’

여기, 특별하면서도 외로운 방식으로 고장 난 자본주의의 대안을 마련하겠다고 나선 한국 학자가 있다. 윤성식(58) 고려대 교수.

“가장 많은 사람이 믿는 종교는 기독교, 이슬람교, 불교가 아닙니다. 전지전능한 돈을 믿는 ‘돈교’가 세상을 지배합니다. 돈은 신의 반열에 올랐어요. 양극화로 신음하는 세계는 탐욕, 이기심을 부추긴 돈교 탓입니다. 사회과학으로는 대안을 내놓을 수 없어요. 종교 문제는 종교로 해결해야 해요. 기독교, 이슬람교는 전지전능한 유일신을 믿습니다. 돈이라는 신에 대항하기 어려워요. 돈은 가까이 있는 신이고, 다른 신은 멀리 있습니다. 불교는 신이 없어요. 인간이 부처입니다. 불교가 대안을 마련할 수 있어요.”

무슨 소리인지 알 듯 모를 듯하다.



그가 또렷한 발음으로 덧붙여 말한다.

“신고전학파경제학을 비롯한 사회과학은 엉터리예요. 정치학, 사회학, 행정학도 마찬가지고요. 불교에 답이 있습니다.”

그는 미국에서 ‘주류’를 공부한 ‘일류’ 학자다. 고려대에서 행정학을 전공한 후 미국 오하이오대에서 경제학을 공부했다. 일리노이대 대학원에서 회계학을 배웠다. UC버클리대 대학원에서 경영학 박사 학위를 받았다. 노무현 정부 때 정부혁신지방분권위원회(2004~2006년) 위원장을 지냈다. 2003년엔 감사원장 후보에 올랐으나 정치적 중립이 의심된다는 이유로 낙마했다. 신고전학파경제학을 공부하고 경영학 박사학위를 받은 그가 궤도를 벗어난 까닭은 뭘까.

“사회과학은 엉터리다”

“위기도 예측 못하는 학문이 과학입니까? 일이 터진 후에나 그럴싸하게 합리화하는 게 과학이에요? 시장주의 경제학은 기본 가정부터 틀렸어요. 회의를 느꼈습니다. 내가 오랫동안 헛짓을 했구나 하고요.”

▼ 궤도를 벗어났다는 비판은 없나요.

“그런 말 들어요.”

▼ 학문적으로 완전히 전환한 거군요.

“시장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 불교자본주의를 연구하는 일에 천착하고 있습니다.”

막스 베버(1864~1920)가 기독교를 틀 삼아 자본주의의 태동과 성장을 분석했다면(막스 베버, ‘프로테스탄트 윤리와 자본주의 정신’ 참조) 그는 불교를 이용해 ‘뭔가 잘못 돌아가는’ 자본주의의 대안을 마련하고자 한다.

“지금의 자본주의는 막스 베버가 이상적이라고 여긴 합리적, 시민적 경영과 노동의 합리적 조직을 특징으로 하는 청교도적 자본주의가 아닙니다. 정치적, 투기적 방향으로 나아가는 모험가적 자본주의예요. 베버의 표현을 빌리면 천민자본주의죠. 베버는 기독교가 자본주의 형성에 기여했다고 밝히면서 자본주의가 종국엔 기독교를 필요로 하지 않으리라고 내다봤습니다. 불교가 해답을 줘야 할 때예요.”

2006년과 지난해 2월 그는 각각 두 번째 석사학위, 박사학위를 받았다. 석사학위논문 제목은 ‘불교의 재정과 회계에 관한 연구’, 박사학위논문 주제는 ‘시장자본주의의 대안으로서의 불교자본주의 연구’다. 올해 10월에는 ‘불교자본주의’(고려대 출판부 펴냄)라는 제목의 학술서도 냈다.

1/5
이 기자의 다른기사 더보기
목록 닫기

“경제학은 거짓말쟁이 해답은 불교에 있다”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