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SK하이닉스 공장. SK하이닉스와 삼성전자는 세계 D램 시장을 70% 가까이 점유한다.
지난해 삼성전자와 SK하이닉스는 각각 75조 원과 17조 원의 반도체 매출을 올려 8조7000억 원, 5조1000억 원대 영업이익을 냈다. 두 회사의 D램 세계시장 점유율을 합치면 66.6%(삼성전자 40.9%, SK하이닉스 25.7%). 두 회사의 존재감이 워낙 강해 ‘콘크리트 점유율’이라는 표현까지 나왔다.
‘초격차!’와 ‘반도체 내재화’
그러나 ‘빛나는 성적표’에도 불구하고 최근 ‘반도체 위기론’이 심심찮게 거론되는 것은 한국의 위상을 위협하는 외부의 공격이 만만치 않기 때문이다. 한국보다 기술력이 몇 차원 앞선 미국은 기술 격차를 더 벌려가고, 후발주자 중국은 무서운 속도로 쫓아올 기세다. 반면 반도체 관련 연구개발( R&D) 등 정부의 지원은 날로 축소되고, 그 여파로 반도체 인력은 제대로 양성되지 않고 있다. 주대영 산업연구원 연구위원은 “당장 눈에 보이는 실적에 취해 뿌리가 흔들리는 걸 못 보는 것 같다”며 안타까워했다.
“요즘 삼성전자 반도체 사람들이 술자리에서 외치는 건배사가 ‘초! 격! 차!’라고 한다.”
박재근 한양대 융합전자공학부 교수는 삼성전자 재직 시절 일본도 성공하지 못한 무결점 실리콘웨이퍼 기술을 개발한 한국 반도체 신화의 산증인 중 한 사람이다. 그는 요즘 ‘메모리 진출’을 선언한 중국의 움직임을 예의주시하고 있다. 박 교수는 “최근 한국의 반도체 실적이 좋은 이유는 D램 공급업체가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마이크론 외에는 없기 때문”이라며 “여기에 중국이 뛰어들면 D램 시장은 또 한 번 잔혹한 치킨게임을 겪게 될 것”이라고 우려했다. 이러한 위기감에 삼성전자가 건배사로 ‘초(超)격차’를 외칠 만큼 중국이 따라올 수 없도록 기술 격차를 벌려놓자며 마음을 다잡는다는 얘기다.
중국은 300억 달러에 가까운 반도체 국부펀드를 조성해 자국 기업 육성 및 해외 기업 인수·합병(M&A)에 박차를 가하고 있다. 업계엔 ‘중국의 반도체 쇼핑이 끝날 줄 모른다’는 말이 나돌 정도다. 가장 주목되는 기업은 칭화유니그룹(紫光集團). HP의 네트워크 장비 자회사 H3C(지분 51%)와 미국 하드디스크업체 웨스턴디지털(지분 15%)에 투자했을 뿐만 아니라 최근에는 일본 도시바·샌드디스크 인수 계획을 발표했다. 칭화유니그룹은 지난 7월 ‘미국의 자존심’ 마이크론(세계 3위 메모리업체)에 인수를 제안, 세계 반도체 업계를 혼란에 빠뜨리기도 했다.
중국은 기업만 사들이는 게 아니다. 전 세계 반도체 인력이 중국으로 빨려들어가기 시작했다는 소문이 무성한 가운데, 대만 D램 산업계의 리더로 평가받는 찰스 카오 난야 사장이 칭화유니그룹에 합류하기로 했다는 대만 언론의 보도가 나왔다.
돈과 시간은 중국 편?
중국이 ‘반도체 내재화’에 나선 것은 욕심이 아니라 냉정하고 합리적인 선택이라는 평가다. 전 세계 반도체 시장은 3400억 달러 규모인데, 이 중 중국이 소비하는 것이 2100억 달러다. 컴퓨터, TV, 휴대전화 등 반도체가 들어가는 제품 대다수가 중국에서 생산되기 때문. 이승우 IBK투자증권 연구원은 “중국의 연간 유가 수입액이 1300억 달러인데 반도체 수입액은 2000억 달러”라며 “그런 중국 처지에서 반도체는 당연히 자국 내에서 생산해야 한다고 여긴다”고 설명했다.
지난 9월 중국 반도체 업계를 돌아보고 온 KB투자증권은 관련 보고서에서 중국 산업 관계자들이 메모리에 대해 갖고 있는 생각을 이렇게 정리했다. ‘△메모리 산업에 반드시 진출한다 △주류 메모리 업체와의 제휴 혹은 메모리 업체 지분 인수가 필요하다 △투자 자금에 대한 제한은 없다.’
중국이 언제부터 메모리 반도체 양산에 들어갈 것인지에 대한 예측은 다양하다. 학계나 시장이 “돈과 시간은 중국 편”이라며 생각보다 가까울 미래로 여기는 쪽이라면, 삼성전자, SK하이닉스 등 기업들은 “반도체는 돈과 기술만 있다고 할 수 있는 일이 아니다”라며 다소 먼 미래로 본다.
중국에서 근무한 경험이 있는 한 기업 인사는 “반도체는 밤새워서라도 해내겠다는 집단적 집념이 필요한 산업인데, 중국인은 개인주의 성향이 강해 성과를 내기 어려울 것이다. 중국 반도체 기업과 협업하는 대만 사람들도 고개를 절레절레 흔들더라”고 전했다. 반면 박 교수는 “중국은 2~3년 내에 메모리 양산을 시작할 수 있을 것”으로 전망하며 “초기에 생산되는 저성능 제품을 군대 등에서 소화할 수 있다는 무시 못할 강점을 활용해 프리미엄 제품까지 빠르게 치고 올라올 수 있다”고 내다봤다.
한국이 ‘메모리 강자’라면 인텔 등 미국 기업은 ‘비(非)메모리 강자’다. 그런데 지난 8월 인텔은 마이크론과의 합작으로 새로운 메모리 기술 ‘3D 크로스 포인트(X-Point)’를 발표, 메모리 시장 진입을 선언했다. 이 기술은 D램과 낸드플래시의 장점만 결합한 것으로, 이 기술이 적용된 제품이 개발된다면 D램과 낸드플래시로 양분된 기존 메모리 반도체 시장의 경계를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 인텔은 이 기술의 상용화 시점을 내년으로 잡았다. 황철성 서울대 재료공학부 교수(서울대 반도체공동연구소장)의 설명을 들어보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