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빙상경기가 열린 M-웨이브.
손으로 면을 내는(手打) 메밀국숫집이 나가노 골목마다 자리 잡았다. 국수 삶는 냄새가 소바 집 밖으로 새어나온다. 8월 22일 나가노 홋포공원에서는 메밀국수 요리하기 체험 행사가 열렸다. 메밀가루에 물을 넣어 반죽한 후 치대 국수를 내는 어린이의 표정이 앙증맞다. 나가노는 소바키리(そばきり·일본식 메밀국수) 발생지다. 나가노에서 맛본 소바키리는 짭조름하면서도 단 게 일품이었다.
소바키리(そばきり) 발생지
1998년 나가노에서 열린 동계올림픽이 지역사회에 기여한 점을 주민에게 물으니 이번에도 예외가 없었다. 25년 경력 택시 운전자 미즈하라 야스오 씨는 “신간센(新幹線)이 들어온 것”이라면서 엄지를 세웠다. 신간센은 일본 고속철도 명칭. 히로시 히구치 나가노시 부시장은 “신간센 덕분에 나가노가 교통의 허브가 됐다”면서 웃었다. 신간센은 도쿄-나가노를 1시간 40분에 달린다.
나가노현은 일본 열도 정중앙에 있어 ‘일본의 마음(心)’이라고 일컬어진다. 해발 3000m 넘는 고산연봉이 치솟아 ‘동양의 알프스’ ‘일본의 지붕’으로도 불린다. 혼슈(本州·일본에서 가장 큰 섬) 가운데 위치한 내륙 현으로 간토(關東)와 간사이(關西) 중간에 위치해 일본 동서 문화의 영향을 골고루 받았다. 강원도처럼 여름엔 피서객, 겨울엔 스키어가 찾아온다. 면적은 1만 2598㎢로 경상남도와 비슷하다.
나가노 동계올림픽은 흑자, 적자를 따지는 수지타산을 기준 삼을 때 실패한 올림픽으로 손꼽힌다. “실패한 것으로 소문나는 바람에 도시 홍보 효과가 오히려 커졌다는 우스갯소리도 있다”고 나가노시 관계자는 말했다. 실패했다는 평가를 듣는 까닭은 나가노현과 나가노시가 한국 돈 12조 원에 달하는 지방채를 발행해 올림픽 개최 비용을 충당했는데, 경제 효과가 예상보다 낮았으며 올림픽 이후 지방정부의 재정 운영이 어려움을 겪어서다.
나가노는 올림픽 탓에 진 빚의 상환을 2017년 마무리한다. 계획대로라면 부채를 갚는 데만 19년이 걸린 셈이다.
나가노 올림픽은 나가노시와 하쿠바무라에서 나눠 열렸다. ‘무라’는 일본 행정구역상의 기초자치단체로 촌(村) 정도로 번역할 수 있다.

나가노의 명물 소바키리(메밀국수).
나가노에서는 빙상·썰매 종목, 하쿠바에서는 설상경기가 치러졌다. 나가노현을 강원도라고 치면 나가노가 스피드스케이팅 등 빙상경기가 열리는 강릉, 하쿠바가 스키·스키점프·스노보드 경기를 개최하는 평창 역할을 한 것이다. 나가노와 하쿠바의 경기장은 국비, 현비, 시비를 투입해 건설했다.
8월 21일 찾은 나가노의 M-웨이브(wave)는 9월 초순부터 시작하는 공연 준비에 한창이었다. 올림픽 때 스피드스케이팅 경기가 열린 M-웨이브는 현재 나가노 올림픽의 상징 구실을 한다. 1997년 완공 당시 ‘세계에서 가장 아름다운 빙상 경기장’이라는 찬사를 들었다. 건물 외관이 바다의 물결을 닮았다 해 wave(파도)라는 이름을 얻었다. 짓는 데 한국 돈 4524억 원이 들었다.
M-웨이브는 올림픽 이후 활용과 관련해 모범적 사례로 평가받는다. 겨울철에는 스피드스케이팅 경기장, 봄~가을에는 전시회장, 콘서트홀 등으로 활용된다. 유키오 마쓰모토 나가노시 문화스포츠진흥국 차장은 이렇게 말했다.
“나가노는 오랫동안 컨벤션 도시를 지향해왔다. M-웨이브에서 전람회가 열리면 숙박시설이 동이 난다. M-웨이브는 콘서트 때 2만 명을 수용한다. 공연, 전람회가 열리는 M-웨이브와 지역경제가 시너지를 낸다. 올림픽을 계기로 건설된 신간센과 숙박시설이 컨벤션 산업에 도움을 준다.”
나가노는 M-웨이브를 지으면서 사후 활용 문제를 최우선에 뒀다. 스피드스케이팅 경기는 2주간만 열리므로 올림픽이 끝난 후 용도 변경을 쉽게 하고자 관람석을 고정식이 아닌 이동식으로 설계했다.

M-웨이브(왼쪽)는 봄~가을 전시회장, 콘서트홀로 활용된다. 나가노역엔 올림픽을 계기로 신간센이 들어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