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신동아 로고

통합검색 전체메뉴열기

‘신동아’ 독자들을 위한 이달의 경제보고서 16

사우디 흔들리면 3차 오일쇼크

세계 경제성장률 1.4% 하락

  •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jplee@lgeri.com 이근태| 연구위원 이광우| 책임연구원

사우디 흔들리면 3차 오일쇼크

2/4
사우디 흔들리면 3차 오일쇼크
그러나 이러한 중·소 산유국에서 정세불안이 동시에 발생해 원유 공급 차질이 겹친다면 국제유가는 현 수준에서 40달러 이상 급등할 전망이다. 리비아, 수단, 알제리 등의 전체 원유 생산량이 하루 364만배럴에 달하는데, 이만큼의 원유 생산이 한꺼번에 중단되는 경우에는 세계 원유의 여유생산능력이 108만배럴(세계수요 대비 1.2%)로 줄어들면서 2008년 수준(148만배럴, 세계수요 대비 1.7%)보다 더욱 낮아질 것이다(그림2 참조). 따라서 중동 및 북아프리카에서 정세불안이 확산되는 가운데 원유 공급 여력이 급속히 위축되고 공급 불안이 고조되면서 국제유가가 2008년 7월 사상 최고치인 배럴당 147달러(서부텍사스산 원유 기준) 이상으로 상승할 가능성이 크다.

마지막으로 사우디아라비아, 이란 등 거대 산유국에서 반정부 시위가 격화되면서 공급 차질이 발생하는 최악의 시나리오다. 이 경우 국제유가가 두바이유 기준으로 배럴당 200달러를 넘어서면서 2차 오일쇼크 이상의 파장이 닥칠 수 있다. 사우디아라비아와 이란의 원유 생산량은 일일 860만배럴, 370만배럴로 세계 원유 생산량 대비 각각 9.8%, 4.2%에 달하고, 사우디아라비아의 원유 여유생산능력은 세계 전체의 80.2%(리비아 포함) 규모다. 지금까지 원유 공급 차질이 가장 심각했던 시기는 이란 혁명이 발생한 1978년 11월부터 6개월간으로 일일 560만 배럴(세계 원유 소비량 대비 8.7%)이 부족했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원유 생산과 수출이 전면 중단되면 원유 공급 차질의 규모는 세계 원유 소비량 대비 9.8%를 넘는 사상최고치를 기록하게 될 것이다.

따라서 사우디아라비아에서 공급 차질이 빚어질 경우에는 국제유가가 과거 1,2차 오일쇼크 당시에 기록된 상승폭을 넘어설 것으로 보인다. 원유 공급 차질에 따른 1,2차 오일쇼크 시기의 국제유가 상승률은 최고 유가 기준으로 각각 134.6%, 166%였다(그림3 참조). 현재의 국제유가(두바이유 3월2일 기준 배럴당 109.04달러)에 1,2차 오일쇼크 시기의 유가 상승률을 적용하면 국제유가는 배럴당 256~290달러에 달한다. 사우디아라비아에서 심각한 공급 차질이 발생할 경우에 국제유가는 배럴당 200달러 이상으로 폭등할 수 있다는 뜻이다. 다만 이란의 경우에는 원유 생산 비중이 사우디아라비아보다 작으므로 국제유가 급등폭도 사우디아라비아 공급 차질에 따른 유가 상승폭보다는 작게 나타날 것이다.

국제유가 급등과 향후 중동 위기의 확산은 국내외 경제에도 심각한 영향을 끼칠 것이다. 세계 경제는 리먼브러더스 쇼크의 후유증에서 점차 벗어나면서 2010년에 4%를 넘는 성장세를 기록하고 2010년 하반기에는 미국의 양적 금융완화 정책에 힘입어 더블딥 우려를 불식해 2011년에도 호조를 보일 것으로 예상됐다. 1월25일에 발표된 국제통화기금(IMF)의 세계 경제 수정 전망 보고서를 보면 2011년 세계 경제성장률은 0.2% 포인트 상향 수정된 4.4%, 미국은 0.7% 포인트 상향 수정된 3%로 전망됐다. 그러나 국제유가의 급등은 이러한 세계 경제에 대한 낙관적인 전망을 어렵게 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밖에 없다.

사우디 흔들리면 3차 오일쇼크


2/4
이지평| LG경제연구원 수석연구위원 jplee@lgeri.com 이근태| 연구위원 이광우| 책임연구원
목록 닫기

사우디 흔들리면 3차 오일쇼크

댓글 창 닫기

2023/06Opinion Leader Magazine

오피니언 리더 매거진 표지

오피니언 리더를 위한
시사월간지. 분석, 정보,
교양, 재미의 보물창고

목차보기구독신청이번 호 구입하기

지면보기 서비스는 유료 서비스입니다.